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크레마클럽 EPUB
eBook 모비 딕
전면 개역판 EPUB
작가정신 2024.04.09.
원서
Moby Dick
가격
19,600
19,600
YES포인트?
98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 상품의 태그

카드뉴스로 보는 책

카드뉴스0
카드뉴스1
카드뉴스2
카드뉴스3
카드뉴스4
카드뉴스5
카드뉴스6

상세 이미지

소개

목차

어원 21
발췌록 23

제1장 어렴풋이 보이는 것들 43
제2장 여행 가방 51
제3장 물보라 여관 57
제4장 이불 76
제5장 아침식사 81
제6장 거리 83
제7장 예배당 87
제8장 설교단 91
제9장 설교 94
제10장 진정한 친구 107
제11장 잠옷 112
제12장 간추린 생애 114
제13장 외바퀴 손수레 117
제14장 낸터컷 123
제15장 차우더 126
제16장 배 130
제17장 라마단 148
제18장 퀴퀘그의 표시 155
제19장 예언자 160
제20장 출항 준비 165
제21장 승선 168
제22장 메리 크리스마스 172
제23장 바람이 불어가는 쪽 해안 178
제24장 변호 179
제25장 덧붙임 185
제26장 기사들과 종자들 186
제27장 기사들과 종자들(계속) 191
제28장 에이해브 선장 197
제29장 에이해브 등장, 이어서 스터브 등장 202
제30장 파이프 205
제31장 매브 여왕 207
제32장 고래학 209
제33장 작살잡이장 226
제34장 선장실의 식탁 229
제35장 돛대 망루 237
제36장 뒷갑판 245
제37장 저물녘 256
제38장 황혼 258
제39장 첫 번째 밤번 260
제40장 한밤중, 앞갑판 261
제41장 모비 딕 271
제42장 고래의 흰색 283
제43장 잘 들어봐! 295
제44장 해도 296
제45장 진술서 303
제46장 추측 314
제47장 거적 짜기 317
제48장 최초의 추적 320
제49장 하이에나 333
제50장 에이해브의 보트와 부하들 그리고 페달라 336
제51장 유령의 물보라 339
제52장 ‘앨버트로스’호 344
제53장 사교 방문 347
제54장 ‘타운호’호의 이야기 352
제55장 괴상한 고래 그림들 378
제56장 덜 잘못된 고래 그림들과
제대로 된 포경 장면 그림들 384
제57장 그림?이빨?나무?철판?돌?산?별 등에 나타난 고래들 389
제58장 크릴 392
제59장 오징어 395
제60장 작살줄 399
제61장 스터브, 고래를 죽이다 403
제62장 작살 던지기 410
제63장 작살 받침대 412
제64장 스터브의 저녁식사 413
제65장 고래고기 요리 423
제66장 상어 학살 426
제67장 고래 해체 428
제68장 담요 430
제69장 장례 434
제70장 스핑크스 436
제71장 ‘제러보엄’호의 이야기 439
제72장 원숭이 밧줄 447
제73장 스터브와 플래스크, 참고래를 잡은 뒤 이야기를 나누다 452
제74장 향유고래의 머리 - 비교 연구 459
제75장 참고래의 머리 - 비교 연구 464
제76장 파성퇴 468
제77장 거대한 하이델베르크 술통 471
제78장 기름통과 들통 473
제79장 대초원 478
제80장 머리 482
제81장 ‘피쿼드’호, ‘융프라우’호를 만나다 484
제82장 포경업의 명예와 영광 498
제83장 역사적으로 고찰한 요나 502
제84장 창던지기 504
제85장 물보라 507
제86장 꼬리 513
제87장 무적함대 520
제88장 학교와 교사들 535
제89장 잡힌 고래와 놓친 고래 539
제90장 머리냐 꼬리냐 544
제91장 ‘피쿼드’호, ‘로즈버드’호를 만나다 548
제92장 용연향 556
제93장 조난자 559
제94장 손으로 쥐어짜기 565
제95장 사제복 569
제96장 정유 화덕 571
제97장 램프 577
제98장 쌓기와 치우기 578
제99장 도블론 금화 581
제100장 다리와 팔 - 낸터컷의 ‘피쿼드’호와 런던의 ‘새뮤얼 엔더비’호가 만나다 590
제101장 술병 599
제102장 아르사시드 군도의 나무 그늘 605
제103장 고래 뼈대의 치수 610
제104장 화석 고래 613
제105장 고래의 크기는 줄어드는가? 절멸할 것인가? 618
제106장 에이해브의 다리 623
제107장 목수 626
제108장 에이해브와 목수 630
제109장 선장실의 에이해브와 스타벅 635
제110장 관 속의 퀴퀘그 639
제111장 태평양 646
제112장 대장장이 648
제113장 대장간 651
제114장 도금장이 655
제115장 ‘피쿼드’호, ‘배철러’호를 만나다 658
제116장 죽어가는 고래 661
제117장 고래 파수꾼 663
제118장 사분의 665
제119장 세 개의 촛불 668
제120장 첫 번째 밤번이 끝날 무렵의 갑판 678
제121장 한밤중 - 앞갑판 뱃전 679
제122장 한밤중의 돛대 망루 - 천둥과 번개 681
제123장 머스킷총 682
제124장 나침반 바늘 686
제125장 측정의와 줄 690
제126장 구명부표 695
제127장 갑판 699
제128장 ‘피쿼드’호, ‘레이철’호를 만나다 702
제129장 선장실 707
제130장 모자 709
제131장 ‘피쿼드’호, ‘딜라이트’호를 만나다 715
제132장 교향곡 717
제133장 추적 - 첫째 날 723
제134장 추적 - 둘째 날 735
제135장 추적 - 셋째 날 746

에필로그 762
옮긴이의 덧붙임 765
작가 연보 783
부록 793

저자 소개2

허먼 멜빌

관심작가 알림신청
 

Herman Melville

미국의 소설가. 1819년 무역상이던 아버지 앨런과 어머니 머라이어의 둘째아들로 뉴욕 파르 거리 6번지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을 유복하게 보냈지만 13세 때 가세가 기울어 학업을 중단한다. 그때부터 멜빌은 은행이나 상점의 잔심부름, 농장일 등을 전전한다. 20세에 처음으로 상선의 선원이 되어 바다로 나간 그는 22세에 포경선을 타게 된다. 이때 항해를 하면서 얻은 경험은 그의 작품의 주요 소재가 된다. 이후 포경선의 선원과 미 해군이 되어 5년 가까이 남태평양을 누볐다. 포경선에서 탈주해 마르키즈 군도의 식인종과 함께 보낸 경험을 바탕으로 쓴 첫 작품 『타이피Typee』
미국의 소설가. 1819년 무역상이던 아버지 앨런과 어머니 머라이어의 둘째아들로 뉴욕 파르 거리 6번지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을 유복하게 보냈지만 13세 때 가세가 기울어 학업을 중단한다. 그때부터 멜빌은 은행이나 상점의 잔심부름, 농장일 등을 전전한다. 20세에 처음으로 상선의 선원이 되어 바다로 나간 그는 22세에 포경선을 타게 된다. 이때 항해를 하면서 얻은 경험은 그의 작품의 주요 소재가 된다. 이후 포경선의 선원과 미 해군이 되어 5년 가까이 남태평양을 누볐다.

포경선에서 탈주해 마르키즈 군도의 식인종과 함께 보낸 경험을 바탕으로 쓴 첫 작품 『타이피Typee』(1846)로 평단의 호평을 받으며 작가의 길로 들어선다. 바다 생활을 담은 『오무Omoo』 (1847)에 이어 발표한 『마디』(1849)에는 철학적 논의들을 담았지만 평단의 차디찬 반응에 멜빌은 다시 생활고에 시달리게 된다. 바다에서의 모험으로 돌아가 『레드번』(1849), 『하얀 재킷』(1850)을 발표하지만 형편은 나아지지 않았다. 『바틀비, 월 스트리트의 한 필경사 이야기Bartleby, the Scrivener: A Story of Wall-Street』(1853)는 1856년 다른 중단편들과 함께 『회랑 이야기The Piazza Tales』라는 제목의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대표작 『모비 딕Moby Dick or The Whale』(1851)조차도 그 실험적인 형식으로 인해 혹평에 시달린다. 그는 작가로서 큰 인기를 얻지 못했고, 뉴욕 세관의 감독관 자리를 얻어 근무했다. 그래서 소설 창작은 접고 시 창작에만 몰두했다. 남북 전쟁을 그린 『전쟁 시와 전쟁의 양상』, 종교적 장시 『클라렐』, 그리스와 이탈리아 여행의 인상을 담은 『티몰레온』이 그때의 시집들이다. 마지막 소설 『선원 빌리 버드 인사이드 스토리Billy Budd, Sailor: An inside story』를 원고로 남긴 채, 1891년 9월 심장 발작으로 세상을 떠났다.

에이해브 선장이 머리가 흰 거대한 고래에 도전하는 내용을 다룬 『모비 딕(백경)』은 멜빌의 대표작으로, 당시에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으나 작가 하수에 인정받은 작품이다. 이 소설은 포경선 선원들의 생활을 생생하게 그리는 한편, 악·숙명·자유의지 등의 문제에 대한 철학적 고찰까지 담고 있다. 그의 다음 작품인 『피에르』는 전작처럼 경험에 입각한 해양 이야기에서 탈피하여, 시골의 부유한 평민 집안의 외아들 피에르가 이복누이 이사벨을 구하려다가 빠져 들어간 비극적인 삶을 그리고있다.

이 작품은 캘비니즘적 그리스도교 사상에 의지하면서도 때로는 그 범주를 넘은 견해를 제시하여 인간심리의 착잡함을 비유적·상징적으로 묘사하고 있어 당시의 독자들에게는 잘 이해가 가지 않았지만 이 역시 오늘날에 와서 더욱 각광받는 부분이 되었다.

근대적 합리성을 거부하는 철학적 사고, 풍부한 상징성이 뭍어나는 작품을 쓴 하먼 멜빌. 살아생전에는 단순한 해양 탐험 소설을 썼다과 평가되었을런지 모르지만 1920년대에 극적으로 재평가되었고, 현대에 와서는 친구 N.호손과 더불어 인간과 인생에 비극적 통찰을 한 상징주의 철학적 작가로, 미국이 낳은 가장 위대한 작가의 한 사람으로 꼽히고 있다.

허먼 멜빌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불문학과를 졸업하고 대학원 국문학과를 중퇴했으며, 1988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소설이 당선되어 작가로 데뷔했다. 영어,불어,일어를 넘나들면서 존 파울즈의 『프랑스 중위의 여자』, 허먼 멜빌의 『모비 딕』,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월든』,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 알렉상드르 뒤마의 『삼총사』, 쥘 베른 걸작선집(20권),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15권) 등 많은 책을 번역했다. 역자 후기 모음집 『번역가의 서재』를 펴냈으며, 1997년에 제1회 한국번역대상을 수상했다.

김석희의 다른 상품

관련 분류

품목정보

발행일
2024년 04월 09일
이용안내
  •  배송 없이 구매 후 바로 읽기
  •  이용기간 제한없음
  •   TTS 가능 ?
  •  저작권 보호를 위해 인쇄 기능 제공 안함
지원기기
크레마,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PC(Mac)
파일/용량
EPUB(DRM) | 26.53MB ?
글자 수/ 페이지 수
약 55.2만자, 약 17.5만 단어, A4 약 346쪽 ?
ISBN13
9791160263411

출판사 리뷰

“나는 사악한 책을 썼습니다”(허먼 멜빌)
다양한 암시와 상징으로 오늘날까지도
무수한 해석과 평가를 양산하고 있는 문제작

집착과 광기에 사로잡힌 한 인간의 투쟁과 파멸을 그린 전율적인 모험소설이자 최고의 해양문학, 미스터리와 공포가 충만한 고딕소설이자 뛰어난 상징주의 문학 또는 자연주의 문학. 이처럼 다양한 각도로 해석되고 평가되는 『모비 딕』의 화자는 방랑벽을 타고난 허먼 멜빌 자신의 분신과도 같은 존재인 ‘이슈메일’이다.

이슈메일은 육지 생활에 염증을 느끼고 경이롭고 신비로운 괴물, 거대한 고래를 직접 만나기 위해 뉴욕 맨해튼을 떠나 뉴베드퍼드에 도착한다. 그리고 이곳 여인숙에서 만난, 문신을 한 괴기한 야만인 퀴퀘그에게 기독교도에게서 좀처럼 발견할 수 없었던 진정한 인간애를 느끼게 되고, 그와 함께 낸터컷으로 향한다. 그들은 포경선 ‘피쿼드’호에 승선하게 되고 크리스마스날 운명적인 항해에 나서는데, 배에 오르기 직전 일라이저라는 광인에게 파멸적인 운명에 대한 경고를 듣게 된다. ‘바다에 도전하는 자는 영혼을 잃게 될 것’이라는 신부의 경고를 듣지 않고 포경선 ‘피쿼드’호에 오른 이슈메일은 출항한 지 며칠이 지나서야 모습을 드러낸 선장 에이해브를 보고 놀란다. 한쪽 다리가 없는 그는 고래뼈로 만든 의족을 하고 있었고, ‘모비 딕’을 찾아 복수하기 위해 이 배에 타고 있었다.

에이해브는 무리한 항해를 말리는 일등항해사이자 독실한 기독교도인 스타벅의 충고도 뿌리치고 모비 딕을 쫓아 대서양에서 희망봉을 돌아 인도양으로, 또 태평양으로 항해를 계속한다. 그리고 마침내 오랜 항해 끝에 그동안 여러 포경선에서 던져진 작살이 무수히 꽂혀 있는 흰 고래를 발견하게 된다.

“도서관을 누비고 대양을 편력한 결과의 소산”
24만 단어, 전체 135장으로 구성된
고래에 대한 방대하고도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전서

19세기 미국의 포경업계는 큰 번영을 구가했다. 포경선 수는 전 유럽의 포경선을 다 합친 수의 세 배나 많았다. 당시 미국의 고래잡이들을 오랫동안 괴롭히던 거대하고 흉포한 고래 ‘모카 딕Mocha Dick’에 대한 이야기가 1839년 5월 《니커보커 매거진》에 실렸는데, 이보다 앞선 1820년에 일등항해사 출신의 오언 체이스는 『포경선 ‘에식스’호의 놀랍고도 비참한 침몰기』를 펴내면서 ‘모비 딕’이란 흉포한 고래가 적도 바로 남쪽에서 ‘에식스’호를 침몰시켰다고 쓰기도 했다.

1941년, 젊은 포경 선원이었던 멜빌은 ‘애커시넷’호를 타고 고래잡이를 나갈 때 이 책을 읽었고 나중에 『모비 딕』을 쓰기 전 오언 체이스의 아들과 만나서 정보를 얻기도 했다. 『모비 딕』의 모티브는 바로 이 『포경선 ‘에식스’호의 놀랍고도 비참한 침몰기』였다.

『모비 딕』은 거대한 흰 고래를 죽이려는 집념에 사로잡혀 바다를 헤매는 에이해브의 추적에 얽힌 이야기지만 본문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고래학’이다. 고래의 생태와 활동, 포경 기술과 포획한 고래의 처리 및 가공에 대한 설명은 너무도 상세하여 마치 교과서 같은 느낌을 준다. 그런 이유로 지난 세기 초까지 이 소설은 도서관의 문학 서가보다 오히려 수산업 서가에 꽂혀 있곤 했다. 멜빌은 마르키즈 제도의 식인종 마을에 살았던 경험을 그린 『타이피』를 쓸 때도 남태평양에 관한 모든 문헌을 샅샅이 뒤진 끝에야 작품을 완성했는데, 특히 이 『모비 딕』을 쓸 때는 그 과학적 정확성에 완벽을 기하고자 했다.

24만 단어, 전체 135장으로 구성된 이 소설은 우선 고래에 대한 어원 탐구에서부터 시작된다. 이어지는 문헌 발췌 부분에는 『성경』에서 플리니우스의 『박물지』를 거쳐 셰익스피어, 몽테뉴, 존 밀턴의 『실락원』, 제임스 쿡의 『항해기』, 너새니얼 호손, 찰스 다윈까지, 거대한 괴물 또는 힘센 거인 ‘고래’에 대해 거론한 글들이 폭넓게 소개된다. 놀랍도록 꼼꼼한 이 기록들은 도서관의 책들을 통해 얻어낸 것이며, 멜빌은 심혈을 기울여 완성한 자신의 이 소설을 “도서관을 누비고 대양을 편력한” 결과의 소산이라고 말했다.

“지나간 내 생애의 거센 파도여,
내 죽음의 물결을 더욱 높게 일게 하라!”
방랑자 이슈메일이 지켜본 바다, 그리고 인간의 비극

비극적인 서사시 『모비 딕』은 소설의 화자 이슈메일이 포경선에 올라 이 항해의 목적을 알게 되기까지를 그린 부분, 대서양에서 희망봉을 돌아 태평양까지 이어지는 항해 부분, 마지막으로 모비 딕과의 결투와 ‘피쿼드’호의 침몰을 그린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이 이야기들을 처음부터 끝까지 이끌고 가는 것은 에이해브가 아닌 화자 ‘이슈메일’이다. 그는 에이해브 선장이 이끄는 포경선 ‘피쿼드’호에 승선하여 흰 고래 ‘모비 딕’을 쫓는 항해를 처음부터 끝까지 지켜본다. 엄혹한 삶의 현실을 밑바닥까지 체험한 이슈메일은 침착하고 냉정하고 분석적인 태도로 우리에게 세상이라는 가면 너머의 진실을 보여주며, 파멸을 향해 내달린 ‘피쿼드’호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인물이 되어 동료의 죽음을 대가로 얻은 삶의 비밀을 전한다.

이슈메일의 눈에 비친 선장 에이해브는 불가지의 존재를 용납할 수 없고 또 직접 자신이 알아낼 수 있다고 자신하는 존재였다. 선장은 이슈메일을 비롯한 선원 모두에게 ‘모비 딕’보다 더한 두려움과 공포의 대상이었다. 태평양에서 펼쳐진 3일간의 대격투. 이슈메일은 바다와 함께 에이해브와 모비 딕의 대결을 지켜본다. 거기에는 삶의 한가운데로 쳐들어와 만사를 부질없는 것으로 만들어버리는 싸늘한 침묵, 그리고 어떠한 기록도 허락지 않는 바다의 관용 또는 무자비함이 있을 뿐이었다.

“미국 근대문학은 『모비 딕』과 함께 시작되었다!”
인간 사유의 깊이와 광활한 상상력의
한 정점을 표상하는 대작

『모비 딕』은 미국 문학의 최고 걸작으로 꼽히지만 출간 당시 평론가들은 물론 일반 독자들의 반응은 냉담했다. 1851년 가을, 『모비 딕』이 처음 출간되었을 때 이 소설을 헌정받은 작가 너새니얼 호손은 “이 책은 정말 대단하다! 나에게 큰 감동을 안겨준다”라고 극찬했지만, 멜빌이 일흔두 살의 나이로 죽기 전까지 미국에서 3,000부 남짓 팔리는 등 상업적으로도 실패한 작품이었다. 그러다가 작가 탄생 백주년이 지난 1920년대에 칼 밴 도렌(『미국의 소설』), 레이먼드 위버(『허먼 멜빌』 평전) 같은 문학가들이 그의 생애와 작품을 연구하고 재평가하면서 그 위대성을 논하는 평문이 쏟아지기 시작했다. 위버는 『모비 딕』을 “19세기 미국이 낳은 가장 뛰어난 소설적 상상력”이라고 평했으며, 루이스 멈포드는 “셰익스피어의 『햄릿』, 단테의 『신곡』과 같은 수준의 문학작품”이라고 상찬했다. 영국의 소설가 서머싯 몸은 『모비 딕』을 세계 10대 소설 가운데 하나로 꼽으며 문학적 위상을 높이 세웠다. 소설의 첫 문장인 “내 이름을 이슈메일이라고 해두자”는 세계문학에서 가장 유명한 문장으로 일컬어지기도 한다.

노벨연구소가 선정한 세계 100대 문학작품의 하나이기도 한 『모비 딕』은 토머스 핀천, 코맥 매카시, 윌리엄 포크너, 버지니아 울프, 조이스 캐롤 오츠 등 현대 영어권 작가들에게 가장 많은 영향력을 끼친 작품으로 꼽힌다. 인간 사유의 깊이와 광활한 상상력의 한 정점을 표상한 이 작품은 세계문학의 판테온에서 빠트릴 수 없는 대작으로서, 마침내 그 명성이 세상에 알려진 이후 한 세기가 지난 지금까지도 찬란하게 빛나고 있다.

비극도 너무 장엄하면 슬픈 게 아니라 아름답게 느껴진다. 그걸 미학에서는 ‘숭고미’라고 하는데, 내가 뭔가 고양되는 느낌, 그래서 내 삶이 구원받는 느낌이 드는 것?그게 문학을, 예술을 추구하고 경험하는 이유가 아닐까. (…) 감히 말하건대, 『모비 딕』만큼 그런 독서의 즐거움을 주는 책도 드물 것이다. - 김석희(번역가)

리뷰/한줄평58

리뷰

9.8 리뷰 총점

한줄평

9.5 한줄평 총점

클린봇이 부적절한 글을 감지 중입니다.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