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군주론
마키아벨리가 바라본 권력의 기술과 본질
베스트
처세술/삶의 자세 top100 1주
가격
16,800
10 15,120
YES포인트?
84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이 상품의 태그

상세 이미지

책소개

목차

역자의 말

〈군주론〉주요사건 연대기
〈군주론〉역사적 배경
군주론
헌정사 ------------------------------------------------------------------------ 17
(1장) 다양한 통치 형태와 그에 이르는 길 --------------------------------- 19
(2장) 상속된 군주국에 대하여 ----------------------------------------------- 23
(3장) 혼합된 통치에 대하여 ------------------------------------------------- 28
(4장) 알렉산더 사후 다리우스의 제국이 후계자들에게 반란을
일으키지 않은 이유 ---------------------------------------------------------- 41
(5장) 자치 정부 형태를 가진 도시와 군주국을 다루는 방법 -------------- 48
(6장) 자신의 무기와 용기로 쟁취한 새로운 통치에 대하여 --------------- 53
(7장) 외부 지원과 운으로 얻어진 새로운 군주국에 대하여 --------------- 60
(8장) 범죄로 인해 권력을 잡은 자들에 대하여 ---------------------------- 72
(9장) 백성에 의해 이양된 통치 --------------------------------------------- 80
(10장) 군주국의 힘을 평가하는 방법 --------------------------------------- 88
(11장) 영적 군주국에 대하여 ----------------------------------------------- 94
(12장) 군대의 다양한 유형에 대하여 -------------------------------------- 101
(13장) 보조 병력에 대하여 ------------------------------------------------- 110
(14장) 군주가 전쟁에서 지켜야 할 것들 ---------------------------------- 118
(15장) 군주가 칭찬과 비난을 얻는 방법 ---------------------------------- 124
(16장) 관대함과 인색함에 대하여 ----------------------------------------- 129
(17장) 잔인함과 온화함에 대하여 ----------------------------------------- 135
(18장) 군주는 언제 자신의 말을 지켜야 하는가 ------------------------- 142
(19장) 멸시와 증오는 피해야 한다 ---------------------------------------- 149
(20장) 요새와 기타 보안 시설은 군주에게 유용한가 해로운가 --------- 163
(21장) 군주가 어떻게 행동해야 위대한 명성을 얻을 수 있는가 -------- 171
(22장) 장관들에 대하여 ---------------------------------------------------- 178
(23장) 아첨꾼은 피해야 한다 ---------------------------------------------- 183
(24장) 이탈리아 군주들은 어떻게 자신들의 영토를 잃었는가 ---------- 189
(25장) 운명이 인간 사건에 미치는 영향 --------------------------------- 194
(26장) 이탈리아를 외세로부터 해방시키기 위한 호소 ------------------ 201
〈군주론〉이 갖는 현대적 의의와 영향
● 〈군주론〉의 현대적 의의 ---------------------------------------------- 210
● 주요 학자들의 해석 ---------------------------------------------------- 213
● 논쟁점과 비판 ---------------------------------------------------------- 216
● 〈군주론〉의 영향력 ---------------------------------------------------- 219
부록
● 〈군주론〉에 관한 고찰 ------------------------------------------------ 224
● 마키아벨리 인물소개 -------------------------------------------------- 253
● 알아두면 유익한 〈군주론〉의 배경지식(인물편) --------------------- 256
● 알아두면 유익한 〈군주론〉의 배경지식(용어,지명,사건편) ---------- 291

저자 소개2

니콜로 마키아벨리

 

Niccolo Machiavelli,Niccolo di Bernardo dei Machiavelli

르네상스 시대 피렌체 공화국의 외교관이자 탁월한 정치이론가. 이탈리아(피렌체)의 관료이자 외교관이자 군사 전략가였으나, 말년의 저술로 정치사상가의 반열에 오른 마키아벨리는 피렌체에서 몰락한 귀족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의 기록은 많지 않은데, 변변치 않은 교육 환경에서 홀로 역사와 정치에 관한 공부를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청년 시절에는 말직으로 근무하다가 서른 살이 되어서야 80인회의 사무국의 서기에 임명되었고, 능력을 인정받았는지 곧 10인군사위원회의 사무국장과 서기를 맡았다. 1492년 피렌체가 ‘위대한 로렌초(로렌초 일 마니피코)’의 사망으로 통치력 부재 상황을
르네상스 시대 피렌체 공화국의 외교관이자 탁월한 정치이론가. 이탈리아(피렌체)의 관료이자 외교관이자 군사 전략가였으나, 말년의 저술로 정치사상가의 반열에 오른 마키아벨리는 피렌체에서 몰락한 귀족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의 기록은 많지 않은데, 변변치 않은 교육 환경에서 홀로 역사와 정치에 관한 공부를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청년 시절에는 말직으로 근무하다가 서른 살이 되어서야 80인회의 사무국의 서기에 임명되었고, 능력을 인정받았는지 곧 10인군사위원회의 사무국장과 서기를 맡았다.

1492년 피렌체가 ‘위대한 로렌초(로렌초 일 마니피코)’의 사망으로 통치력 부재 상황을 맞았을 때, 마키아벨리는 공화국의 외교관으로서 국운이 풍전등화인 피렌체를 살려내려고 강대국 사이를 필사적으로 오갔고, 국제 정치의 민낯을 낱낱이 목격하며 ‘강한 군대, 강한 군주’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교황청에 사절로 파견갔다가 만난 발렌티노 공작(체사레 보르자)에게 이탈리아 반도를 통일해줄 강력한 신생군주의 역할을 기대했지만 체사레는 맥없이 병사해버렸다. 마키아벨리는 시민군 양성을 추진하는 등 나름의 노력을 기울였지만 메디치 가문이 군주로 돌아오자 공화국의 일꾼이었던 죄로 감옥에 갇혔다. 이후 특별사면을 받고 나와서 새 군주 로렌초 데 메디치에게 ‘필요한 경우에는 비도덕적인 수단도 행사해서 평화를 지키는 강력한 지도자가 되어라’는 조언을 담은 『군주론』을 썼다.

1506년에 피렌체 시민군의 조직을 계획하여 이듬해 9인위원회의 서기장이 되어 피렌체의 정복 전쟁에서 군대를 양성하는 책임을 맡았다. 1512년에 공직을 떠난 그는 산 카스치아노 근처의 저택에서 집필하며 루첼라이 가문의 소유인 오르티 오리첼라리 정원에서 여러 문인을 만났다. 이때 그는 메디치가의 요청을 받아 주로 통치론에 관한 글을 써 권력자들에게 헌정했다. 그러나 그는 불우한 말년을 보내다 1527년에 사망했다.

대표 저서로는 『군주론』을 포함하여 『카스트루치오 카스트라카니의 생애』, 『결혼한 악마 벨파고르』, 『리비우스 역사 논고』, 『만드라골라』, 『우리나라의 언어에 관한 연구 또는 대화』, 『이탈리아 10년사: 1494~1504』, 『전술론』, 『카피톨리』, 『클리치아』, 『트리시노』, 『프랑스 사정기事情記』, 『피렌체 정부 개혁론』, 『피렌체사』, 『황금 나귀』, 『후회에 대한 권고』 등이 있다.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다른 상품

랭브릿지

 
Bridge of Language, 랭브릿지는 언어의 다리를 연결하자는 모토를 가진 전문 번역그룹으로, 문화와 언어의 장벽을 넘어 글로벌 소통을 지향합니다. 다양한 전문 번역가로 구성되어 원문에 충실하면서도 자연스럽고 읽기에 편안한 번역을 제공합니다. 언어의 다리를 통해 세계 어디서나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랭브릿지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4년 09월 04일
쪽수, 무게, 크기
312쪽 | 152*225*20mm
ISBN13
9791197951626

책 속으로

군주는 언제 자신의 말을 지켜야 하는가?
군주는 맹수의 본능을 잘 활용할 줄 알아야 하며, 여우와 사자의 특성을 모두 갖추어야 합니다. 사자는 덫을 피할 수 없고, 여우는 늑대를 막아낼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여우처럼 덫을 알아보고, 사자처럼 늑대를 쫓아내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사자 역할만 하려는 사람들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합니다.
현명한 군주는 그가 한 말을 지킬 필요가 없는 상황, 즉 그 말을 지키는 것이 자신에게 불리하거나 그 말을 할 당시의 이유가 사라졌을 때는 그 말을 지킬 필요가 없습니다. 모든 사람이 선하다면 이 조언은 가치가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대다수 사람들은 선하지 않고 그들이 당신에게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면 당신도 그들에게 약속을 지킬 필요가 없습니다.
--- p.143

마키아벨리가 알려주는 핵심내용 정리
1. 신의와 기만사이의 균형
군주가 신의를 지키는 것과 때로는 기만을 사용하는 것 사이에서 어떻게 균형을 잡아야 하는지 논의합니다. 그는 군주가 필요에 따라 기만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2. 인간의 본성파악
인간은 본래 신의를 잘 지키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며, 군주가 신의만을 고집하다가는 손해를 볼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3. 기만전술의 필요성
군주는 외교와 전쟁, 정치에서 때로는 기만을 통해 목적을 달성해야 합니다. 이는 군주의 생존과 권력 유지에 필수적일 수 있습니다.
4. 여우와 사자의 비유
군주는 여우의 교활함과 사자의 힘을 모두 갖추어야 한다고 비유합니다. 이는 군주가 상황에 따라 기만과 강함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5. 실질적 이익을 위한 외양과 내면의 차이
군주는 외적으로는 신의와 도덕을 지키는 것처럼 보여야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필요할 때 기만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는 군주가 백성의 신뢰를 유지하면서도 실질적인 이익을 얻기 위함입니다. --- p.146

오늘날의 시각에서 해석해 본 〈군주론〉의 주요 내용
-제18장- (약속과 신뢰 : 21세기 리더의 덕목)
군주가 약속을 지키는 것보다 상황에 따라 약속을 깨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는 군주가 필요할 때는 기만과 속임수를 사용하여 자신의 이익을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마키아벨리는 인간이 기본적으로 변덕스럽고 신뢰할 수 없기 때문에, 군주는 항상 약속을 지킬 필요가 없으며, 필요하다면 약속을 깨는 것이 더 현명한 선택일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주장은 이후 시대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19세기 유럽의 외교에서는 실용주의가 중요시되었으며, 국가 간의 조약이나 협정이 자주 깨지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비스마르크의 현실 정치(Realpolitik) 역시 마키아벨리의 철학에 영향을 받아 국가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외교 정책을 추구했습니다. 이는 국가 간의 신뢰보다는 상황에 따른 이익 추구가 우선시되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20세기의 여러 독재자들도 마키아벨리의 주장을 현실 정치에 적용했습니다. 히틀러는 여러 국제 조약을 깨고 자신의 침략 정책을 추진했으며, 이는 단기적으로는 독일의 이익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마키아벨리의 주장이 일정 부분 타당성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마키아벨리의 주장이 많은 한계를 드러냅니다. 오늘날의 정치와 외교에서는 신뢰와 투명성이 중요한 가치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지도자나 국가가 약속을 깨고 기만적인 행동을 하면, 이는 국민의 신뢰를 잃고 국제 사회에서 고립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대의 국제 관계에서는 조약과 협정이 중요하며, 이를 어기는 국가는 국제적인 비난과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마키아벨리의 접근법이 현대 정치 환경에서는 적용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p.147

출판사 리뷰

500년 전, 악마의 책으로 불리며 금서로 지정되었던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은 오늘날 『타임』과 『뉴스위크』가 선정한 “세계 100대 도서”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으며, 하버드와 옥스퍼드를 비롯한 세계 유수의 대학들과 서울대 등 국내 명문대학에서 필독서로 지정되어 왔습니다. 이미 뛰어난 역량을 가진 여러 전문가들에 의해 수많은 번역본이 출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군주론〉 번역에 도전한 이유는 이 고전을 처음 접하는 독자들이나 오랜만에 다시 읽는 이들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입문서를 제공하기 위해서입니다.

〈군주론〉의 이해를 돕기 위해 주요사건 연대기(1430-1530)를 통해 당시의 역사적 배경을 제공합니다. 이는 독자들이 마키아벨리가 어떤 환경에서 이 책을 썼는지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이어서 다양한 통치 형태와 그에 이르는 길, 상속된 군주국과 혼합된 통치, 그리고 알렉산더 사후 다리우스의 제국이 후계자들에게 반란을 일으키지 않은 이유 등 여러 주제를 통해 권력의 다각적인 면모를 탐구합니다.

마키아벨리는 자치 정부 형태를 가진 도시와 군주국을 다루는 방법, 자신의 무기와 용기로 쟁취한 새로운 통치, 외부 지원과 운으로 얻어진 새로운 군주국, 범죄로 인해 권력을 잡은 자들, 백성에 의해 이양된 통치 등 다양한 사례를 통해 군주가 직면할 수 있는 여러 상황에 대한 현실적인 조언을 제공합니다. 그는 군주국의 힘을 평가하는 방법, 영적 군주국, 군대의 다양한 유형과 보조 병력, 그리고 군주가 전쟁에서 지켜야 할 것들에 대해서도 깊이 있는 분석을 합니다.

이 책은 군주가 칭찬과 비난을 얻는 방법, 관대함과 인색함, 잔인함과 온화함, 군주가 언제 자신의 말을 지켜야 하는지, 멸시와 증오는 피해야 한다는 등의 주제도 다룹니다. 요새와 기타 보안 시설의 유용성, 군주가 어떻게 행동해야 위대한 명성을 얻을 수 있는가, 장관들에 대한 조언, 아첨꾼을 피해야 하는 이유 등도 상세히 설명합니다. 이탈리아 군주들이 어떻게 자신들의 영토를 잃었는지, 운명이 인간 사건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탈리아를 외세로부터 해방시키기 위한 호소까지 포함된 이 책은, 다양한 시각에서 권력을 분석합니다.

〈군주론〉의 현대적 의의와 영향은 오늘날에도 크며, 주요 학자들의 해석, 논쟁점과 비판, 이 책이 미친 영향력 등을 통해 그 중요성을 재조명합니다. 부록에서는 W. K. Marriott의 〈군주론〉에 대한 고찰과 유익한 배경지식, 그리고 마키아벨리 인물 소개를 통해 독자들이 이 책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은 권력과 통치의 복잡한 속성을 이해하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필독서로서, 현실적이고 냉철한 정치 철학을 제공하는 중요한 작품입니다.
15,120
1 15,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