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베스트셀러
사랑, 예술, 광기, 운명
슈테판 츠바이크 아포리즘 양장
베스트
비평/창작/이론 51위 비평/창작/이론 top100 7주
가격
14,000
10 12,600
YES포인트?
7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상세 이미지

책소개

목차

일러두기
프롤로그

사랑
예술
열정
광기
운명
죽음

에필로그
슈테판 츠바이크
책 소개
출처

저자 소개3

슈테판 츠바이크

관심작가 알림신청
 

Stefan Zweig

1881년 오스트리아의 수도 빈에서 부유한 유대계 방직업자 아버지와 이름난 가문 출신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빈에서 높은 수준의 교양교육과 예술교육을 받으며 성장했다. 어린 시절부터 섬세한 감각과 문학적 감수성을 지녔던 그는 수많은 고전작품을 읽으며 해박한 지식을 쌓았고, 청소년기에는 보들레르와 베를렌 등의 시집을 탐독하면서 시인으로서의 습작기간을 거쳤다. 대학에서 독문학과 불문학, 철학, 사회학, 심리학 등을 두루 섭렵했으며, 특히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지대한 영향을 받았다. 이런 배경으로 스무 살의 나이에 첫 시집 『은빛 현』으로 문단에 데뷔하여 일찌감치 작품
1881년 오스트리아의 수도 빈에서 부유한 유대계 방직업자 아버지와 이름난 가문 출신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빈에서 높은 수준의 교양교육과 예술교육을 받으며 성장했다. 어린 시절부터 섬세한 감각과 문학적 감수성을 지녔던 그는 수많은 고전작품을 읽으며 해박한 지식을 쌓았고, 청소년기에는 보들레르와 베를렌 등의 시집을 탐독하면서 시인으로서의 습작기간을 거쳤다. 대학에서 독문학과 불문학, 철학, 사회학, 심리학 등을 두루 섭렵했으며, 특히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지대한 영향을 받았다.

이런 배경으로 스무 살의 나이에 첫 시집 『은빛 현』으로 문단에 데뷔하여 일찌감치 작품성을 인정받는 작가로 자리매김한 그는 세계 여러 나라를 자유롭게 여행하면서 한 시대를 풍미하는 여러 예술가들과 교류하며 드높은 정신세계를 구축했다. 『은빛 현』을 필두로 수많은 소설 및 전기들을 발표하기 시작한다. 1938년 히틀러가 정권을 장악하자, 유태인 탄압을 피해 런던으로 피신했다가 미국을 거쳐 브라질에 정착한다.또한 2차 세계대전 이전 백만 부 이상의 판매를 기록한 대중적인 작가이자 다른 나라 언어로 가장 많이 번역된 작가로 독일/오스트리아 문학사에 이름을 올리고 있기도 하다.

츠바이크는 ‘벨 에포크’라 일컬어지는 유럽의 황금 시대에 활동했다. 예술과 문화가 최고조로 발달했던 그 시기를 그는 진정으로 사랑했다. 그러나, 그토록 사랑했던 유럽이 한방의 총성으로 촉발된 세계대전을 통해 돌이킬 수 없는 나락으로 떨어지는 것을 눈앞에서 목도하게 된다. 황금 시대의 빛과 영광을 박살낸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그것을 구축한 그들 유럽인들이었다. 이 때의 심경은 자신의 삶을 중심으로 유럽의 문화사를 기록한 자전적 회고록 『어제의 세계』에 잘 드러나 있다.

극심한 상승과 하강을 삶을 통해 모두 경험한 이후, 섬세한 그의 심성은 더 이상 부조리한 세계에서 버티지 못하고 고난의 망명생활 속에서 심한 우울증에 시달리다가, 1942년 2월 브라질의 페트로폴리스에서 부인과 동반자살로 생을 마감한다. 종종 ‘평화주의자’ 또는 ‘극단적 자유주의자’라는 평을 받던 그는 “나는 이 시대에 어울리지 않는다. 이 시대는 내게 불쾌하다”라는 내용의 유서를 남기고 자유로운 죽음을 선택하였다.

비극으로 생을 마감했지만, 그가 쓴 수많은 소설과 평전은 오늘날까지도 세계 여러나라의 언어로 번역되어 수많은 독자들로 부터 사랑을 받고 있으며, 상당부분 영화화되기도 했다. 또한 다른 예술영역에까지 영향을 미쳤는데, 대표적인 예가 천재 감독 웨스 앤더슨의 2014년 작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THE GRAND BUDAPEST HOTEL)이다. 앤더슨은 이 영화가 슈테판 츠바이크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다고 밝힌 바 있다. 영화는 츠바이크의 소설 '초초한 마음'의 첫 단락을 차용해서 시작하며, 엔딩 크레딧에서 “inspired by the writings of Stefan Zweig” 라는 문구를 삽입하여 그 사실을 확고히 했다.

슈테판 츠바이크의 다른 상품

부산에서 태어나 서울대 인문대학 독문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공군사관학교에서 독일어 전임교수를 역임했고, 독일 마르부르크 대학에서 수학했다. 박사 후 연수(Post-doc) 과정으로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에서 현대독문학을 연구하였고, 오랫동안 서울대학교에서 강의하였으며, 한양대학교 연구교수, 덕성여자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홍익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전 한국 토마스만 학회 회장이다. 제18회 한독 문학 번역상(제11회 시몬느 번역상)을 수상하였고, 대중을 위한 공개 강연도 자주 하고 있다.(http://www.pres
부산에서 태어나 서울대 인문대학 독문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공군사관학교에서 독일어 전임교수를 역임했고, 독일 마르부르크 대학에서 수학했다. 박사 후 연수(Post-doc) 과정으로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에서 현대독문학을 연구하였고, 오랫동안 서울대학교에서 강의하였으며, 한양대학교 연구교수, 덕성여자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홍익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전 한국 토마스만 학회 회장이다. 제18회 한독 문학 번역상(제11회 시몬느 번역상)을 수상하였고, 대중을 위한 공개 강연도 자주 하고 있다.(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15079)

주요 저서로는 『‘마법의 산’ 읽기』, 『아이러니』, 『토마스 만』, 『전설의 스토리텔러 토마스 만』, 『토마스 만의 생각을 읽자』, 『헤르만 헤세의 생각을 읽자』, 『프란츠 카프카의 생각을 읽자』, 『이해와 소통 글쓰기』 등 10여 권이 있으며, 주요 역서로는 『교양』(공역), 『정신병리학 총론』(공역, 전4권), 『역사의 지배자』, 『작약등(芍藥燈)』, 『아이 사랑도 기술이다』, 『마의 산』(전3권), 『변신』, 『괴테, 토마스 만, 니체의 명언들』, 『로스할데』,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토니오 크뢰거』, 『베네치아에서의 죽음』, 『독일 전설』(공역, 전2권), 『사기꾼 펠릭스 크룰의 고백』, 『내가 아는 나는 누구인가』,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백만장자와 수도승』 등 30여 권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병과 문학』, 『문학과 정치』, 『문학과 음악』, 『독일 문학 작품에 투영된 자본주의 경제』, 『비교문학 ? 토마스 만과 염상섭의 비교』 등 30여 편이 있다.

윤순식의 다른 상품

고려대학교 독문학과에서 토마스 만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고려대와 한양대, 동덕여대 독문과에서 강의했다. 현재는 주로 독일 문헌의 번역 작업을 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토마스 만에 있어서 독일적 유미주의의 정치적 현실화 문제」, 「토마스 만의 ‘부덴브로크 일가’ : 시민사회 반영으로서의 가족공간과 몰락의 의미」, 「루카치의 문예비평과 총체성」, 「가다머의 영향이론에 입각한 전통과 권위의 문제」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브루노 힐레브란트의 『소설의 이론』, 위르겐 슈람케의 『현대소설의 이론』, 『토마스 만 전기』, 『쇼펜하우어, 니체, 프로이트』, 『마법의 산』, 『
고려대학교 독문학과에서 토마스 만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고려대와 한양대, 동덕여대 독문과에서 강의했다. 현재는 주로 독일 문헌의 번역 작업을 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토마스 만에 있어서 독일적 유미주의의 정치적 현실화 문제」, 「토마스 만의 ‘부덴브로크 일가’ : 시민사회 반영으로서의 가족공간과 몰락의 의미」, 「루카치의 문예비평과 총체성」, 「가다머의 영향이론에 입각한 전통과 권위의 문제」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브루노 힐레브란트의 『소설의 이론』, 위르겐 슈람케의 『현대소설의 이론』, 『토마스 만 전기』, 『쇼펜하우어, 니체, 프로이트』, 『마법의 산』, 『프로이트 연구 1』, 『프로이트 연구 2』, 헤르만 헤세의 『페터 카멘친트』, 『황야의 늑대』, 『안락사 논쟁의 새 지평』, 슈테판 츠바이크의 『환상의 밤』 등 다수가 있다.

원당희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5년 03월 10일
판형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228쪽 | 114*188*18mm
ISBN13
9788955868395

책 속으로

도스토옙스키는 60년 동안 신에 대한 고통으로 고뇌했고, 자신의 모든 고통처럼 신을 사랑했다. 그는 무엇보다 신을 사랑했는데, 그도 그럴 것이 신은 온갖 고통 가운데 가장 영원한 고통이었기 때문이다.
--- p.17

아, 나의 사랑은 오직 생동하는 인간의 내부로 들어가 타인들의 떨고, 웃고, 호흡하는 열정과 하나가 되어 그들의 혈관을 고동치며 흘러야 하리. 나의 사랑은 군중 속에서 아주 사소하고 이름 없이 파묻혀, 때 묻은 세계의 불결한 암반일지라도 그걸 맛있게 파먹는 사소한 벌레처럼 되어야 하리. 오직 충만함의 내부로, 소용돌이의 맨 밑바닥까지 깊숙이 들어가, 내 자신의 충만함으로부터 쏘아진 하나의 화살처럼 미지의 세계, 그러나 실현될 수 있는 저 공동체의 왕국으로 뛰어 들어가야 하리.
--- p.43

사랑은 진실로 숨결과 입술로 사랑이라고 말하며 떳떳이 고백할 때야 비로소 사랑이 된다.
--- p.47

참다운 예술은 이기적이다. 예술은 예술 그 자체와 완성만을 원할 뿐이다. 순수 예술가란 오직 작품만을 생각하도록 허용받은 자로서, 그는 그가 작품을 수여할 인류를 생각지 않아도 좋은 것이다.
--- p.65

예술이 더 높은 것처럼 보이는 힘에 예속되어 봉사해야 하는 순간, 그것은 거장의 자리에서 무섭게 달아나 버린다.
--- p.67

광산의 칠흑 같은 깊이에서 광부들이 가장 귀한 광물을 캐내듯, 예술가란 항상 가장 위험한 내면에서 타오르는 진실과 최종적 인식을 얻는다.
--- p.83

영원히 분열된 것은 하나의 통합을, 영원히 쫓기는 자는 휴식을 얻고자 한다. 마찬가지로 열정의 급류를 통해 영원히 움직이는 자, 그 지류를 흘러가는 자는 바다라는 출구와 평온함에 이르고자 한다.
--- p.93

릴케처럼 순수한 서정시인들이 오늘날 소란하고 전반적인 파괴의 시대에 과연 다시 한번 존재할 수 있을까? 내가 사랑하면서 탄식하고 있는 대상은 이미 사라져 버린 종족이 아닐까? 모든 운명의 태풍이 거세게 몰아치는 현대에서 그들은 직접적인 후예를 갖지 못하는 종족이 아닐까?
--- p.169

거리에서 쓰러진, 세상에서 가장 낯선 사내를 사람들이 발견했다. 그들은 환자를 토리노에 있는 비아 카를로 알베르토 거리의 낯선 방으로 데려갔다. 그의 정신적 죽음에 대한 증인이 아무도 없듯이, 그의 정신적 삶의 증인 또한 거의 없다. 그의 몰락을 두르고 있는 어둠과 성스러운 고독만이 존재한다. 정신의 찬란한 빛을 보여 준 천재는 아무도 모르게 자신의 밤으로 명멸해 들어갔다.

--- p.197

출판사 리뷰

니체, 도스토옙스키, 톨스토이, 발자크, 카사노바…
인간은 죽어도 그의 세계관은 다른 인간에게 영향을 미친다.
살아 있을 때보다 더 강렬하게…

슈테판 츠바이크가 예술적으로 묘사한
마성적이고 천재적이며 열정적인 인간들의 삶!

슈테판 츠바이크가 쓴 전기는 단순한 사실이나 기록의 재생이 아니다. 그는 대상 인물들을 마치 소설의 주인공처럼 재창조한다. 그리하여 그들의 삶은 환상적인 색채를 띤 소설처럼 느껴진다. 여기서 츠바이크가 꾀하는 것은 소설적 전기 혹은 전기적 소설이라는 흥미로운 시도이다. 예컨대 도스토옙스키에 대한 전기에서 그는 형식을 초월한 소설적 상상력을 발휘한다. “운명이 그를 사랑하기에 그의 삶은 고통스럽고, 운명이 그를 너무나 강하게 사로잡고 있기에 그는 자신의 운명을 사랑한다”(『도스토옙스키를 쓰다』). 츠바이크 본인은 자신의 전기들을 ‘정신의 유형학’으로 정의하였다.

반면에 그는 자신의 에로티시즘적 소설들을 ‘감정의 유형학’이라 기술한 바 있다. “저는 그래서 어두운 심연 속에 떨어지듯 저의 운명 속으로 떨어졌습니다. 모든 것은 제 마음속에서 자라나 꽃을 피웠고, 그것이 만나는 것은 오직 당신이라는 사람, 유일한 밀담 대상인 당신에 대한 꿈, 바로 그것이었습니다”(『모르는 여인의 편지』). 이처럼 그의 인간 탐구는 소설 속 인물의 심리에 대한 풍부한 묘사로 드러난다. 이 책 『사랑, 예술, 광기, 운명: 슈테판 츠바이크 아포리즘』은 이러한 정신의 유형학과 감정의 유형학을 그의 아포리즘적 문장을 통해 소개하고 있다.

전 세계 대중의 사랑을 받은 독일 문학계의 거장 슈테판 츠바이크,
사랑, 예술, 열정, 광기, 운명, 죽음으로 대변한 사랑과 공감의 미학

1881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난 슈테판 츠바이크는 남다른 감수성으로 어린 시절부터 문학과 예술에 열중하였다. 그는 인간의 내면과 속성을 탐구하여 문학적 필치로 지면에 펼치고 독자를 그 속으로 끌어들인다. 그의 열정적인 인간 탐구는 다음과 같은 언급에서도 드러난다. “인간에게서 관계와 관계를 헤아리는 것이 나를 핏속까지 자극한다. 특수한 인간들은 그들의 순수한 현존을 통하여 내 인식 욕구에 불을 지른다.”

『사랑, 예술, 광기, 운명: 슈테판 츠바이크 아포리즘』은 슈테판 츠바이크의 작품에서 명언이나 격언, 경구처럼 우리의 마음을 찌르거나 감동을 주는 문장들을 모아 놓은 것이다. 이 책에 인용한 문장의 원전은 전기로는 『세계를 건축한 거장들』, 『인류 운명의 순간들』, 『마리 앙투아네트: 어느 평범한 인물의 초상』, 『정신을 통한 치료: 메스머, 메리 베이커 에디, 프로이트』가 있고, 자서전으로는 『어제의 세계』, 소설로는 『모르는 여인의 편지』, 『감정의 혼란』, 『체스 이야기』, 『환상의 밤』, 『과거로의 여행』이 있다.

그의 문학은 한마디로 사랑과 공감의 미학이라 할 수 있다. 사랑과 공감은 츠바이크 문학의 원형적 모티브이며, 그의 모든 감성적 표현은 이것으로부터 나온다. 문학에서 주도 동기가 음악에서 테마 음악이듯이, 사랑, 예술, 열정, 광기, 운명, 죽음은 그의 작품을 대변하는 주제어들이다. 그러나 이 주제어들은 예술적으로 상통하고 교차하는데, 사랑은 예술, 열정, 광기, 운명, 죽음으로도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리뷰/한줄평10

리뷰

7.0 리뷰 총점

한줄평

9.3 한줄평 총점
12,600
1 12,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