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시작하며 / 이 책을 보는 법 / 디지털 일러스트란
〈롱 쇼트 편〉 내려다본 롱 쇼트의 도시 City 01 카와카미 료 [Interview & Gallery] [Concept] 직접 답사한 자료를 이용한 애니메이션 배경 같은 풍경 Step1 러프를 구상하고 밑그림을 그린다 / Step2 밑색 작업을 한다 / Step3 프린트 디테일을 추가한다 / Step4 디지털로 세부 묘사를 더한다 / Step5 하늘을 그린다 / Step 6 마무리를 한다 [Colume] 도시의 풍경화는 ‘정물’의 집합체다 / ‘밑색’이란? City 02 하야시나오유키 [Interview & Gallery] [Concept] 판타지 세계관의 신전이 있는 해안 도시 Step1 러프를 그린다 / Step2 디자인을 구상한다 / Step3 건물을 그린다 / Step4 앞쪽의 길을 그린다 / Step5 세부를 묘사한다 / Step 6 마무리를 한다 [Colume]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 / 실루엣 디자인 / 건축물을 디자인하는 방법 / 거리의 색채 설계 〈클로즈업 편〉 확대해서 그린 도시 City 03 후지와라요시토 [Interview & Gallery] [Concept] Blender 3D를 이용한 동양풍 강변 도시 Step1 Blender로 가이드를 만든다 / Step2 Procreate로 그린다 / Step3 Procreate로 세부를 그린다 / Step4 세부를 묘사한다 / Step5 빛과 그림자를 넣는다 / Step6 마무리한다 [Colume] 위치 관계부터 그리는 순서, 레이어를 구성한다 / 대비를 확인하면서 그린다 City 04 후지모토골드 [Interview & Gallery] [Concept] 1980년대 맨해튼을 연상시키는 도시의 아침 풍경 Step1 러프를 그린다 / Step2 레이아웃을 그린다 / Step3 블록인을 한다 / Step4 광원을 설정하고 음영을 넣는다 / Step5 최종 가공을 한다 [Colume] 텍스처를 이용해 아날로그 느낌을 더한다 City 05 시나 [Interview & Gallery] [Concept] 여러 세대가 어우러진 해 질 무렵의 온화한 상점가 Step1 러프를 그린다 / Step2 메인 선화를 그리고 채색한다 / Step3 배경을 칠한다 / Step4 전경을 칠한다 / Step5 가공하고 마무리한다 [Colume] 인물과 인공물의 밸런스 / 브러시를 설정한다 / 캐릭터의 자세로 이야기를 더한다 City 06 pasoputi [Interview & Gallery] [Concept] 암흑 속에서 화려하게 반짝이는 사이버펑크 네온시티 Step1 러프·밑그림·회색으로 채색한다 / Step2 도시를 구성한다 / Step3 테이블·소품·소파를 그려 넣는다 / Step4 인물과 전체를 수정하고 마무리한다 [Colume] 명암을 확인한다 |
김재훈의 다른 상품
| 저자의 말 |
카와카미 료 : 현실의 거리와 풍경은 상상만으로는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거리와 풍경을 실제로 보고 느낀 것을 표현해 보았으면 합니다. 어렵다면 먼저 집 한 채, 다음은 집과 나무 같은 식으로 조금씩 대상물을 늘려가면서 그려보세요. 하야시나오유키 : 배경을 시작했을 무렵에 풍경 사진을 최대한 정밀하게 모작하는 것을 연습했습니다. 시간이 오래 걸려도 좋으니 꼼꼼하게 사진 한 장을 그려보면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습니다. 오리지널 작품을 만들 때 처음부터 큰 규모의 배경은 그리기 어려우므로 집 하나만 그리는 식으로 소규모 작품부터 시작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후지와라요시토 : 원근법을 배우고 사진을 모작하는 것도 유용하지만 밖으로 나가서 스케치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 풍경에는 사진이나 이론과 비교할 수 없는 정보가 존재합니다. 그 정보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후지모토골드 : 공간을 그리므로 원근법 지식이 있으면 표현의 폭이 넓어집니다. 현실에는 정확한 원근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지나치게 얽매이지 않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선 제대로 그릴 수 있어야 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사물의 크기 등도 꾸준히 관찰했더니 공간인식력이 높아진 경험이 있습니다. 시나 : ‘잘 그리자’라는 부담감을 덜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실제 세계, 특히 도시는 원근법이 뒤죽박죽입니다. 너무 정확하게 그리면 오히려 위화감이 느껴집니다. 자연스럽게 그린다는 마음가짐이 배경 작업의 허들을 낮추고 즐겁게 그릴 수 있게 해주는 듯합니다. pasoputi : 시골이나 도시의 아름다움, 나라마다 다른 건물과 분위기의 매력이 눈에 들어오면 배경 그리기가 즐거워집니다. 뮤직비디오와 영화도 무대에 따라서 감상이 달라지므로 영상을 많이 보기를 추천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