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사회 개혁이냐 혁명이냐
베스트
정치/외교 top100 19주
가격
6,900
10 6,210
YES포인트?
60원 (1%)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 본 도서의 개정판이 출간되었습니다.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세상문고·고전의세계

책소개

목차

제1부
1. 베른슈타인의 방법
2. 자본주의의 적응
3. 사회 개혁을 통한 사회주의의 도입
4. 관세 정책과 군국주의
5. 이론의 실천적 결과와 일반적 성격

제2부
1. 경제 발전과 사회주의
2. 경제적 민주주의와 정치적 민주주의
3. 정치권력의 장악
4. 붕괴
5. 이론과 실천에서의 기회주의

해제 로자 룩셈부르크, 영원한 혁명가
1. 왜 로자를 읽는가
2. 로자 룩셈부르크의 생애
3. 개량주의-수정주의와의 투쟁, 사회 개혁이냐 혁명이냐
4. 새로운 전략론 대중 스트라이크
5. 사회주의적 민주주의에 대한 인식
6. 한 마리 독수리로서 이후 로자 룩셈부르크의 영향

저자 소개1

로자 룩셈부르크

관심작가 알림신청
 

Roza Luksemburg,Blutige Rosa

1871년 3월 5일 제정러시아령 폴란드의 자모슈치에서 태어난 로자 룩셈부르크는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이자 혁명가이다. 16세 때부터 지하혁명운동에 참가했으며, 1898년 취리히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1895년 독일로 이주하여 「작센 노동자 신문」 「라이프찌히 인민 신문」 등에 참여하면서 독일사회민주당 내의 베른슈타인을 필두로 하는 수정주의자들에 맞서 마르크스주의를 옹호하였다. 제2인터내셔널의 파리대회(1901년), 암스테르담대회(1904년0에 참석, 제2인터내셔널의 유력한 좌파지도자로서의 지위를 확림했으며, 1905년 러시아혁명이 터지자 바르샤바로 잠입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었
1871년 3월 5일 제정러시아령 폴란드의 자모슈치에서 태어난 로자 룩셈부르크는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이자 혁명가이다. 16세 때부터 지하혁명운동에 참가했으며, 1898년 취리히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1895년 독일로 이주하여 「작센 노동자 신문」 「라이프찌히 인민 신문」 등에 참여하면서 독일사회민주당 내의 베른슈타인을 필두로 하는 수정주의자들에 맞서 마르크스주의를 옹호하였다.

제2인터내셔널의 파리대회(1901년), 암스테르담대회(1904년0에 참석, 제2인터내셔널의 유력한 좌파지도자로서의 지위를 확림했으며, 1905년 러시아혁명이 터지자 바르샤바로 잠입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었다.

제1차 세계제국주의전쟁을 전후하여 카우츠키 등 독일사회민주당의 중앙파와 결별한 뒤, 카알 리프크네히트와 프라츠 메링 등과 함께 독일공산당의 전신인 스파르타쿠스동맹을 결성했다. 1915년 2월부터 1918년 11월까지 거의 옥중에 있었으며, 독일 혁명의 시작과 함께 석방되어 독일공산당 결성(1918년 12월 말)과 기관지 「적기」간행에 진력했으나 1919년 1월의 베를린봉기 실패 후 체포되어 1월 15일 살해되었다.

이때부터 1월 15일은 세계의 노동자와 평화를 애호하는 인민들에게는 잊혀질 수 없는 엄숙한 기념일이 되었다. 그날은 '로자 룩셈부르트와 리프크네히트의 날'로 불리며 레닌, 리프크네히트, 룩셈부르크의 머릿글자를 따서 '3L Day'로 명명되었다.

주요저서로 『자본축적론』, 『사회 개혁이냐 혁명이냐』, 『사회민주주의의 위기』, 『러시아 혁명』이 있다.

로자 룩셈부르크의 다른 상품

번역 : 김경미
김경미는 독일 마부르크 대학에서 마르크스주의 정치경제학을 공부했다. 특히 1980년대 말 현실사회주의가 몰락하면서 마부르크 대학 정치학과의 휠베르트Georg F lberth 교수 밑에서 힐퍼딩Rudolf Hilferding의 금융자본에 대한 분석을 마르크스의 이론과 비교하여 박사학위논문을 썼다. 그의 주요 관심은 현대 자본주의의 새로운 정치경제적 발전과 현상들을 마르크스주의의 이론적 틀을 통해서 설명해보는 데 있다.

송병헌은 1908년대 당시의 많은 사람들처럼 그 역시 대학 생활을 정치적 억압에 고통 받고 자유를 갈구했던 시기로 기억한다. 광주학살 이후 우연히 참여했던 한 가톨릭 청년모임에서 만난 동료 학생들과 노동자들, 수녀와 신부들의 절망과 고통, 간절한 소망이 그에게 깊은 영향을 주었다. 이어 대학원에서, 반레닌주의적 서구마르크스주의자로서 20세기 초 독일공산당의 주요 이론가였던 카를 코르쉬Karl Korsch에 대해 석사논문을 썼다. 그는 박호성 교수 아래서 나이 든'고고학적 박사과정생'으로서 사회주의의 개념에 관한 학위논문을 썼다. 그의 주요 관심은 사회주의'위기'의 본질과 지적 연원을 사상사적으로 해명하는 데 있다.

품목정보

발행일
2002년 01월 31일
쪽수, 무게, 크기
180쪽 | 231g | 128*205*20mm
ISBN13
9788970133027

책 속으로

이 글의 제목을 처음 본 순간 놀랄지도 모른다. 사회 개혁이냐 아니면 혁명이냐? 그렇다면 사회민주주의는 사회 개혁을 반대할 수 있다는 말인가? 또는 사회민주주의는 사회 혁명, 즉 자신이 최종 목적으로 설정한 현존하는 질서의 전복을 사회 개혁에 대립시킬 수 있단 말인가? 물론 그렇지 않다. 사회 개혁을 위한, 또 기존의 기반 위에서 노동하는 대중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그리고 민주적 제도를 위한 일상적인 실천 투쟁은 사회민주주의가 프롤레타리아 계급투쟁을 지도하며, 정치 권력을 장악하고 임금체계를 폐지한다는 최종 목표에 이를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사회민주주의를 위한 사회 개혁과 사회 혁명 사이에는 분리될 수 없는 연관이 존재한다. 왜냐하면 사회민주주의에서 사회 개혁을 위한 투쟁은 수단이며, 사회 혁명은 목적이기 때문이다.

자본주의 사회의 생산 관계는 점점 더 사회주의적인 것에 접근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반해 자본주의 사회의 정치적 법적 관계는 자본주의 사회와 사회주의 사회 사이에 더 높은 벽을 세운다. 이 벽은 사회가 개량됨으로써도 그리고 민주주의의 발전을 통해서도 약화될 수 없으며 반대로 더욱 강화되고 높아질 뿐이다. 따라서 이 벽을 무너뜨리는 것은 오로지 혁명의 망치질, 즉 프롤레타리아가 정치 권력을 장악하는 것뿐이다.

리뷰/한줄평6

리뷰

8.2 리뷰 총점

한줄평

10.0 한줄평 총점

클린봇이 부적절한 글을 감지 중입니다.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