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서론>
<언설적 규칙성> 1. 언설의 단위들 2. 언설적 형성 3. 대상의 형성 4. 언표행위적 양태들의 형성 5. 개념의 형성 6. 전략의 형성 7. 결론 <언표와 문서고> 8. 언표의 정의 9. 언표적 기능 10. 언표의 기술 11. 희박성, 외재성, 축적 12. 역사적 아프리오리와 문서고 <고고학적 기술> 13. 고고학과 지성사 14. 시원적인 것과 규칙적인 것 15. 모순들 16. 비교적 사실 17. 변화와 변환들 18. 과학과 지식 <결론> |
Michel Paul Foucault
미셸 푸코의 다른 상품
푸코의 철학을 이해하기 위헤서는 최소한 세가지의 지적 배경을 지니고 있어냐 한다. 우선 무엇보다도 다른 프랑스 철학자들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푸코에 있어서도 그의 철학을 떠받쳐주고 있는 과학적 기초를 이해해야 한다. 푸코에 있어 이 기초는 바로 과학사이며 프랑스에서는 언제나 인식론이라는 과목이 과학사의 철학적 이해로 정의되어 왔다는 사실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푸코의 철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오귀스트 꽁트로부터 쿠르노, 포앙카레, 메이에르송 등을 거쳐 카바이에스, 바슐라르, 깡길렘에 이르기까지의 나아가 오늘날의 미셸 세르에 이르기까지의 프랑스 철학의 이 부분을 빼고서 프랑스 철학을 이해하겠다는 것은 마치 존재론을 빼고서 희랍철학을 이해하겠다는 것과 마찬가지의 잘못인 것이다. 한국에서 프랑스 철학이 올바르게 이해되지 못하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이유는 프랑스 철학이 지니고 있는 이러한 성격 자체가 이해되어 있지 않기 때문인 것이다. |
고고학 : 언설들의 다양성을 환원시키거나 그들을 총체화해야 하는 통일성을 그리는 것이 아닌, 그들의 다양성을 상이한 구조들 내에 재분배해야 하는 분석적 방법, 고고학적 분석은 통일화하지 않고 복수화하는 것이다.
--- p. 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