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머리말
프롤로그 1 경제와 전쟁의 순환, 그 이론과 역사 농업 사회의 경제와 전쟁 상업 사회의 경제와 전쟁 산업 사회의 경제와 전쟁 2 바다 위의 농업 제국 스페인 레콘키스타 스페인의 해외 진출 농업 제국의 전성기?: 카를 5세에서 펠리페 2세까지 농업 제국의 쇠퇴 경제와 전쟁의 악순환?: 농업 제국의 역사적 한계 3 최초의 상업 국가 네덜란드 네덜란드의 역사적 배경 네덜란드 독립 전쟁: 황금기의 출발점 확대 재투자 체제의 완성: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가속성의 상실 잉글랜드와의 전쟁과 그 결과 네덜란드 확대 재투자 체제의 역사적 한계 4 상업 사회에서 산업 사회로: 18세기 영국 상업 사회의 형성 확대 재투자 체제의 확립 상업 사회에서 산업 사회로 5 영국 산업 사회의 완성과 쇠퇴 산업 혁명의 요소들 산업 제국 영국의 전성기(1840~1870) 산업 시대 영국의 쇠퇴 국가 정책과 산업 사회 6 미국 산업 사회의 형성 식민지 시대 미국 경제 미국 혁명에서 헌법 제정까지 확대 재투자 체제에서 확대 재생산 체제로 확대 재생산 체제로 이르는 길: 남북 전쟁 7 미국 산업 사회의 완성 남북 전쟁의 경제적 결과 대량 생산 체제의 발전 제1차 세계 대전과 그 결과 대공황에서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전후 국제 경제 질서와 미국의 글로벌 확대 재생산 체제 에필로그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
TAI-YOO, KIM,金泰由
김태유의 다른 상품
김대륜의 다른 상품
우리는 역사를 통해 무수한 패권국들이 명멸해 갔음을 알 수 있다. 서양 고대의 아테네와 로마에서부터 현대의 영국과 미국까지, 또 동양 고대의 진· 한에서부터 현대의 일본과 중국까지 그 과정도 다채롭고 화려하다. 과연 이들은 어떻게 패권국의 지위를 얻었고, 또 어떻게 잃어버렸는지 궁금해지지 않을 수 없다.(13쪽)
이 책의 집필은 인류 역사를 장식한 숱한 문명과 그 문명을 주도했던 국가들의 흥망성쇠를 결정하는 조건들에 대한 의문에서 비롯되었다. 다시 말해, 패권을 가능하게 한 패권의 비밀에 대한 의문으로 요약할 수 있다.(13쪽) 대표적인 농업 제국은 아니지만 상업 사회와 근접해 있는 스페인의 농업 사회를 비롯하여 상업 사회의 확대 재투자 체제, 산업 사회의 확대 재생산 체제로 이행되는 인류 문명의 발전과 진화의 중심선critical path상에 위치한 주요 패권국들을 살펴보고자 한다.(30쪽) 산업 혁명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지금까지의 논의를 바탕으로 정의하자면, 산업 혁명이란 생산 기술의 혁신이 일어남으로써 주거래 상품이 제조업 상품으로 바뀌고, 경제 구조가 산업 사회의 확대 재생산 체제로 이행하는 사회경제적인 급격한 변화를 말한다.(61쪽) 스페인 제국은 해상 제국임에도 농업 경제의 논리에 철저히 지배되고 있었다. 스페인 제국의 흥망은 환경 변화에도 과거의 원리에 얽매어 있는 제국이 감당할 수밖에 없는 비극적 운명을 잘 보여 준다.(123쪽) 중상주의적 경쟁이 치열해지기 시작한 17세기 중반부터 19세기 초까지 어떤 한 나라가 유럽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경제적인 패권을 장악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조건을 갖추어야 했다. 영국은 네덜란드와 마찬가지로 상업 사회를 지향했지만 네덜란드와 달리 상업화와 제조업을 동시에 발전시켰으며, 영국민의 상업적 이해관계를 정책에 반영하는 제도적인 틀을 완성했다. 이를 토대로 경쟁국의 군사· 외교적 위협과 상업적인 도전으로부터 자신들의 이해관계를 보호, 증진할 수 있는 재정적인 기반과 군사적인 힘을 갖출 수 있었다.(210-211쪽) ---본문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