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문명의 오만과 문화의 울분
문화수용전략에 관한 융합적 연구 ― 화혼양재와 동도서기 그리고 위정척사
가격
20,000
20,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왜 화혼양재를 알아야 하는가?

제1장·문화수용전략으로서의 화혼양재와 동도서기, 그리고 위정척사
1. 중국에서도 배울 것이 없었던 문화국가, 식민지로 전락하다
2. 문화수용전략이라는 관점
3. 화혼양재는 성공한 문화수용전략이었는가?
4. 화혼양재는 의미가 불분명해야만 했다? 상징과 슬로건으로서의 화혼양재
5. 이 책의 구성

제2장·산업혁명과 이데올로기로서의 화혼양재―이제는 지식산업혁명으로
1. 산업혁명이란 무엇인가?
2. 일본의 산업화
3. 선발국의 산업혁명 vs 후발국의 산업혁명
4. 화혼양재(和魂洋才)

제3장·화혼양재의 계보와 의미 변환―화혼한재와 야마토다마시, 그리고 야마토고코로
1. ‘화(和)’란 무엇인가?
2. ‘화혼’ 또는 ‘야마토다마시’의 행로
3. ‘화혼양재’: ‘화혼’과 외래 문화의 수용
4. 결론에 대신하여: 화혼양재에 대한 질문과 해석

제2부 화혼양재와 동도서기: 현장과 사례 연구

제4장·국가의 정치제도와 근대 국가 건설과정의 화혼양재
―봉건론과 군현론의 줄타기와 한재(漢才)
1. 막말 유신기의 봉건·군현론―한재(漢才)에서 화혼양재로
2. 도쿠가와 시대의 봉건·군현론
3. 왕정복고는 군현제? ‘막부의 봉건’에서‘천황의 봉건’으로
4. 판적봉환(版籍奉還): 봉건과 군현 사이의 줄타기
5. 폐번치현과 군현의 설득: “서양 각국은 모두 군현”

제5장·일본의 산업화 초기의 화혼양재―제철산업과 근대화에 대한 검토
1. 화혼양재의 흔적을 찾아서
2. 도쿠가와 시대의 제련 산업
3. 막부 말기 서양 제철 기술의 도입
4. 메이지 유신 초기의 산업화
5. 일본 산업 발전기와 철강 산업
6. 일본 초기 산업화 과정과 성공 요인

제6장·외국 유통업 세븐일레븐의 도입 과정에서 본 화혼양재
1. 서양의 기업을 화혼의 기업으로?
2. 세븐일레븐 재팬의 성공 요인
3. 세븐일레븐 재팬을 통해 본 화혼양재

제7장·동도서기론적 과학 인식
―17~19세기 중국과 조선에서 만난 이질적인 두 과학
1.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과학’은 서양의 ‘과학’을 어떻게 대했을까?
2. 서양 과학의 ‘동아시아적’ 수용: 첫 만남 이후 19세기 중엽까지
3. 조선 학인들의 과학담론
4. 서양 과학을 ‘과학’으로 수용하다: 19세기 말 조선에서 근대 과학의 형성

맺음말·위장척사와 동도서기, 그리고 중체서용은 과연 실패한 전략이었는가?

참고문헌

저자 소개7

서울대 인류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국사학과에서 수학했다. 외무부에 근무했고 해군장교로 병역을 마쳤으며 일본에서 장기 현지조사를 수행해 미국 하버드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강원대 인류학과, 국민대 국제학부를 거쳐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장, 한국이민학회장,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공동체로서의 회사』(1995), 『세계의 한민족: 아시아ㆍ태평양』(1996) 등의 저서, 『시화호 사람들은 어떻게 되었을까』(1998), 『인류학 민족지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2012)등의 공저가 있고『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2006)
서울대 인류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국사학과에서 수학했다. 외무부에 근무했고 해군장교로 병역을 마쳤으며 일본에서 장기 현지조사를 수행해 미국 하버드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강원대 인류학과, 국민대 국제학부를 거쳐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장, 한국이민학회장,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공동체로서의 회사』(1995), 『세계의 한민족: 아시아ㆍ태평양』(1996) 등의 저서, 『시화호 사람들은 어떻게 되었을까』(1998), 『인류학 민족지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2012)등의 공저가 있고『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2006), 『처음 만나는 문화인류학』(2003) 등을 책임 편집했으며 『문화인류학의 역사』(1994), 『현대 육군의 개혁』(2001), 『국경을 넘는 방법: 문화, 문명, 국민국가』(2006) 등을 공역했다.

한경구의 다른 상품

1960년에 태어났다. 서강대학교 영문학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류학과를 거쳐 도쿄대학 대학원에서 인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메이지유신과 패전이라는 계기를 통해 변화해온 일본문화에 관한 역사인류학적 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20세기 한국과 일본의 심성체제 비교, 일본의 출판과 교육 등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공저 『문명의 오만과 문화의 울분』 외에, 『편집자의 시대』『독서와 일본인』『슈리성으로 가는 언덕길』『일본의 역사를 새로 읽는다』『일본인의 인류학적 자화상』『사전, 시대를 엮다』 등 다수의 번역서가 있다.

임경택의 다른 상품

朴薰

1965년생.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에서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도쿄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국민대학교 일본학과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메이지유신의 기원, 정치 변혁과 공론(公論), 대외 인식 등과 관련해 논문을 써 왔다. 논문으로 「明治維新과 ‘士大夫的 정치문화’의 도전」, 저서로 『메이지 유신은 어떻게 가능했는가』, 『근대화와 동서양』(공저), 역서로 『일본의 설계자, 시부사와 에이이치』 등이 있다. (주요 저서) 『메이지유신과 사대부적 정치문화』, 서울대출판문화원, 2019; 「武士の政治化と「??」: 一九世紀前半の日本における「士大夫
1965년생.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에서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도쿄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국민대학교 일본학과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메이지유신의 기원, 정치 변혁과 공론(公論), 대외 인식 등과 관련해 논문을 써 왔다. 논문으로 「明治維新과 ‘士大夫的 정치문화’의 도전」, 저서로 『메이지 유신은 어떻게 가능했는가』, 『근대화와 동서양』(공저), 역서로 『일본의 설계자, 시부사와 에이이치』 등이 있다.

(주요 저서) 『메이지유신과 사대부적 정치문화』, 서울대출판문화원, 2019; 「武士の政治化と「??」: 一九世紀前半の日本における「士大夫的政治文化」の台頭」, 『公論と交際の東アジア近代』, 東京大學出版會, 2016; 「幕末政治變革と‘儒敎的政治文化’」, 『明治維新史硏究』 8, 2012; 『講座 明治維新 1: 世界史のなかの明治維新』(共著), 有志舍, 2010.
[현재 연구 프로젝트] 일본 국가주의 기원 연구

박훈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금속공학과에서 학사,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은 이후 일본 NEC 및 KIST의 연구원을 거쳐 1996년부터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금속의 제조 및 가공에 관련된 연구를 하고 있고, 서울대학교 철강연구센터 센터장 및 신소재공동연구소 소장, 대한금속·재료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POSCO 석좌교수이다. 또한 2019년부터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으로 원자력 발전이 안전을 확보하면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에 참여하고 있다. 공학교육학회 부회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 수석부원장 등을 역임하면서 우리나라 공학 교육 전반의 개선에 노력하였으며
서울대학교 금속공학과에서 학사,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은 이후 일본 NEC 및 KIST의 연구원을 거쳐 1996년부터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금속의 제조 및 가공에 관련된 연구를 하고 있고, 서울대학교 철강연구센터 센터장 및 신소재공동연구소 소장, 대한금속·재료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POSCO 석좌교수이다. 또한 2019년부터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으로 원자력 발전이 안전을 확보하면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에 참여하고 있다.

공학교육학회 부회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 수석부원장 등을 역임하면서 우리나라 공학 교육 전반의 개선에 노력하였으며, 전공 분야 연구 외에도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과 자유전공학부에 참여하면서 교양과 기초 교육 전반의 개선에 노력했다. 『과학기술 글쓰기』(공저)와 『공학문제해결 입문』(공저)과 같은 강의 교재 저술에 참여했으며, 한송엽공학교육상과 서울대학교 교육상 등을 수상하였다.

최근에는 인류 문명의 발전과 미래에 대한 이해와 전망에도 관심이 있으며, 그 일환으로 『문명 다시 보기』(공저)와 『문명의 오만과 문화의 울분』(공저) 등의 저술에 참여하였고 『불, 에너지, 재료의 역사』를 쓰게 되었다.

이경우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원장 국내에서 일본 경제를 심층 연구하는 대표적인 석학으로서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일본 경제를 분석한 ‘삼프로TV’의 유튜브 동영상은 288만 조회 수를 기록할 정도로 깊은 통찰을 주었다. 서울대 경영대학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1996년 일본 게이오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쓰쿠바대학 부교수를 거쳐 2002년부터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SK텔레콤, LG CNS, 아모레 등의 자문교수를 역임했고, 문재인 정부 때 대통령 비서실 경제보좌관과 신남방정책 위원장, 국제금융센터 이사장을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원장

국내에서 일본 경제를 심층 연구하는 대표적인 석학으로서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일본 경제를 분석한 ‘삼프로TV’의 유튜브 동영상은 288만 조회 수를 기록할 정도로 깊은 통찰을 주었다. 서울대 경영대학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1996년 일본 게이오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쓰쿠바대학 부교수를 거쳐 2002년부터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SK텔레콤, LG CNS, 아모레 등의 자문교수를 역임했고, 문재인 정부 때 대통령 비서실 경제보좌관과 신남방정책 위원장, 국제금융센터 이사장을 역임했다. 한국자동차산업학회 회장과 중소기업학회 부회장을 지냈다.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 - 저성장 시대 기적의 생존 전략》, 《새로운 대한민국의 구상 포용국가》(공저) 등 40여 권의 저서가 있다. 그중 일부는 영어, 러시아어, 일본어, 중국어로 출간되었다.

김현철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계산통계학과에서 통계학과 컴퓨터사이언스를 공부한 후, 대학원에서 서양과학사와 한국과학사를 공부했다. “조선후기의 수리학(水利學)”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에는 줄곧 조선후기 서구 과학과 전통 과학의 만남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우주론을 중심으로 그 양상과 성취에 대해서 연구해왔다. 처음에는 18세기 영·정조대의 과학 활동 및 사대부 지식인들의 과학관을 중심으로 연구를 했으나, 조선 초기 세종대 과학의 성취에도 관심이 많으며, 요즘에는 19세기 조선 지식인들의 과학 활동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저서로 『조선후기 水利學과 水利담론』과 『우리역사 과학기행』(2006년 중앙일보
서울대학교 계산통계학과에서 통계학과 컴퓨터사이언스를 공부한 후, 대학원에서 서양과학사와 한국과학사를 공부했다. “조선후기의 수리학(水利學)”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에는 줄곧 조선후기 서구 과학과 전통 과학의 만남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우주론을 중심으로 그 양상과 성취에 대해서 연구해왔다. 처음에는 18세기 영·정조대의 과학 활동 및 사대부 지식인들의 과학관을 중심으로 연구를 했으나, 조선 초기 세종대 과학의 성취에도 관심이 많으며, 요즘에는 19세기 조선 지식인들의 과학 활동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저서로 『조선후기 水利學과 水利담론』과 『우리역사 과학기행』(2006년 중앙일보와 동아일보가 선정한 ‘올해의 책’)이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문중양의 다른 상품

TAI-YOO, KIM,金泰由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웨스트버지니아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미국 콜로라도광업대학교에서 자원경제학 박사를 받았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박사후과정, 아이오와주립대학교 경영시스템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자원공학과 산업공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한국자원경제학회, 한국혁신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공학한림원의 원로회원이다. 초대 대통령 정보과학기술 수석보좌관으로 신성장동력산업의 지정과 육성, 이공계 공직 진출, 과학기술부총리제도 신설, 기술혁신본부의 설치, 이공계 박사 5급 특채 등 한국 4차산업혁명의 기초작업을 기획하고 추진했다. ‘국가발전 원리’라는 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웨스트버지니아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미국 콜로라도광업대학교에서 자원경제학 박사를 받았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박사후과정, 아이오와주립대학교 경영시스템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자원공학과 산업공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한국자원경제학회, 한국혁신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공학한림원의 원로회원이다.
초대 대통령 정보과학기술 수석보좌관으로 신성장동력산업의 지정과 육성, 이공계 공직 진출, 과학기술부총리제도 신설, 기술혁신본부의 설치, 이공계 박사 5급 특채 등 한국 4차산업혁명의 기초작업을 기획하고 추진했다.
‘국가발전 원리’라는 한 가지 화두에 천착하여 공학, 경제학, 지정학, 역사학 등의 학문의 경계를 넘나드는 문명사학자이자 4차산업혁명을 연구하는 미래학자이다. 저서로는 《Economic Growth》, 《정부의 유전자를 변화시켜라》, 《은퇴가 없는 나라》, 《패권의 비밀 The Secrets of Hegemony》, 《국부의 조건》, 《한국의 시간》, 《한국의 선택》 등이 있다.

김태유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1년 06월 25일
쪽수, 무게, 크기
240쪽 | 148*210*20mm
ISBN13
9788933707937

책 속으로

대부분의 후발국의 실패가 수구세력의 승리 때문이고 일본의 성공적 산업화가 개혁세력의 승리 덕분이라면, 일본의 경우 개혁세력과 수구세력의 힘겨루기 과정에서 처음에는 열세에 놓여 있던 개혁세력의 승리를 가능케해 준 ‘그 무엇’인가가 있었기 때문에, 즉 다른 후발국들에는 없고 일본에는 있었던, 일종의 캐스팅 보트 역할을 했던 그 무엇이 분명히 있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는 없을까? 일본의 예외적인 성공을 가능케 한 ‘그 무엇’이 혹시 ‘화혼양재’는 아니었을까? 만일 그렇다면, 화혼양재란 과연 무엇이었을까? 그 실체를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까?
--- p.65 「제2장 산업혁명과 이데올로기로서의 화혼양재」

즉, 도쿠가와 막부 시대 말기부터 메이지 시대에 걸쳐 야마토다마시는 새로운 변화를 겪었던 것이다. 용맹한 정신을 뜻하는 야마토고코로와 미쿠니다마시가 히라타 아쓰타네에 의해 일본 고유의 정신이라고 강조되면서 여성적 마음을 의미하던 야마토다마시는 남성적이고 무력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 나아가 요시다 쇼인의 노래에서 확인되듯이 야마토다마시는 나라를 위해 목숨을 아끼지 않는 일본의 독특한 정신으로 간주되기 시작했다. 이렇게 야마토다마시는 국가주의와 함께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전할 때까지 군국주의의 기반으로 이해되고 사용되었다.
--- p.88 「제3장 화혼양재의 계보와 의미 변환」

일본은 천 년 가까운 세월 동안 봉건제를 유지해 왔으며 왕정복고 당시만 하더라도, 심지어는 판적봉환의 시점에서도 봉건제의 유지를 지지하고 기대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시되었던 군현제는 당시의 일본인들에게 어떻게 정당화되었던 것일까?

무엇보다도 서양 각국의 정체(政體)가 군현제라는 인식이 중요한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서양이 위험시되던 막말에는 군현제도 경계의 대상이었지만, 서양이 일본의 모델이 되어가면서 군현제에 대한 태도도 바뀌어갔다. 양이운동이 힘을 잃고 문명개화의 시대가 오면서 “서양 각국은 모두 군현”이며 군현이 부국강병의 요인이라는 견해, 나아가 서양처럼 군현제를 실시하는 나라가 문명국이라는 논리가 널리 받아들여지기 시작한 것이다.
--- p.137~138 「제4장 국가의 정치제도와 근대 국가 건설과정의 화혼양재」

일본은 메이지 유신 전후에 새로운 철강 기술을 도입하였고, 많은 시행착오를 겪긴 했지만 상당히 빠른 속도로 새로운 기술을 정착시키면서 철강 산업의 발전에 성공하였다. 이 기간의 철강 산업 변화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메이지 유신 이전에는 타타라 제철법에 의한 철 생산과 이를 활용한 주조, 단조, 판금 작업장을 가동하여 칼, 총포, 농기구, 주방용품 등을 제조했다. 개항 이후 메이지 초기에 걸쳐서는 서구 기술(고로-반사로) 도입 시도가 여러 곳에서 진행되었으나 사가번과 난부번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실패했다.

사가번은 오랜 실패 끝에 대포 주조에 성공하지만 많은 예산을 투입함으로써 번의 재정이 흔들렸다. 한편 난부번은 기존 산업 체계를 흔들지 않는 방식의 고로를 만들어 타타라철에 대응하는 품질의 철을 생산함으로써 경제적으로도 성공하였다. 이후 공부성이 설치되자 일본 산업의 발전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가마이시 제철소에 막대한 자본을 투자해 서양식 대형 고로와 일관 제철소를 건설했다. 그러나 원하는 품질의 철을 얻을 수 없었으며, 원료 수급이 기존 생산 체계와 맞지 않았다. 즉 경제성이 낮은 탓에 실패로 끝났으며 공장은 민간에 불하하게 되었다.
--- p.156~157 「제5장 일본의 산업화 초기의 화혼양재」

세븐일레븐 재팬은 본질만 학습하고 끝낸 것이 아니다. 이를 일본에 적응시키기 위하여 끊임없이 가설검증의 과정을 반복했다. 이것이 세븐일레븐 재팬의 성공을 가져다 준 또 다른 요인이었다. 또한 세븐일레븐 재팬의 경우는 전 사원이 원칙과 기본을 준수하였다. 본질 학습에서 배운 내용을 철저히 지켜 나갔고 세븐일레븐의 기본 삼원칙도 예외 없이 원칙대로 꾸준히 실천해 나갔다. 이것이 성공에의 또 다른 요인이다. 세븐일레븐 재팬의 직원들은 열심히(一生懸命) 노력은 했지만 자신들의 노력이나 방법을 ‘도그마화(dogma化)’하거나 이에 자만하지 않았다.

즉 다마시(魂)의 길을 걷지 않고 ‘고코로(心)’의 상태에 머물렀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그러나 많은 일본의 기업들은 그렇지 않았다. 1980년대 일본기업들의 성취가 세계 각국에서 일본적 경영의 성공으로 예찬을 받기 시작하자 다수의 일본 기업들이 일본적 경영을 도그마화하기 시작했다. 즉 현실에 대한 꾸준한 적응에 노력하기보다는 일본적 경영의 진수를 발견하고 이를 고착화하는데 골몰하게 되면서 일본 기업들이 잃어버린 20년을 경험하게 된 것은 아닐까? 많은 일본의 기업들이 뒤늦게나마 이러한 잘못을 깨달으면서 ‘성공은 실패의 어머니’란 쓰라린 교훈을 얻었지만, 세븐일레븐 재팬의 경우는 사우스랜드의 도산과 재건을 통하여 이 교훈을 이미 일찍 깨닫고 있었다.
--- p.172 「제6장 외국 유통업 세븐일레븐의 도입 과정에서 본 화혼양재」

조선의 유학자들은 서양 과학은 현상을 잘 설명해 주는 지식이기는 하지만 자연의 참다운 원리, 즉 ‘소이연지고(所以然之故)’를 밝히는 지식은 못 된다고 생각했다. 이익과 홍대용은 전 우주에 충만한 기에서, 김석문은 태극과 수비학적인 수(數)에서, 그리고 서명응은 선천도에서 그러한 ‘소이연지고’를 찾으려 했다. 결국 조선 유학자들은 경험적이고 실증적인 차원에서 옳다고 파악했던 서양 과학의 지식정보를 이용해서 오히려 동아시아의 ‘고전적인’ 과학 패러다임의 부활과 구축을 추구했다고 할 수 있다.

조선 유학자들의 이와 같은 우주론 논의와 서양 과학 읽기는 큰 맥락에서는 매문정에 의해서 부정되고 『사고전서』에서 믿을 수 없는 지식에 불과하다고 낙인찍혔던 중국 방이지 학파 학인들의 담론과 매우 유사했다고 할 수 있다. 비록 방이지 학파의 학문적 경향과 달리 소옹의 상수역학적 우주론 논의가 기론적 우주론 논의보다 오히려 지배적이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서양 과학에서는 찾을 수 없었던 우주 생성과 변화의 원리에 대한 설명을 성리학적 자연인식 체계를 이용해 제시하려 했다는 점에서 방이지 학파와 학문적 지향은 동일했던 것이다.
--- p.200 「제7장 동도서기론적 과학 인식」

그런데 화혼양재는 중체서용이나 동도서기와 크게 다른 것이었을까? 과연 일본은 성공했고 중국과 조선은 실패했던 것일까? 화혼양재가 ‘양혼(洋魂)’을 배제하는 것이고 중체서용이 ‘서체(西體)’를 배제하는 것이며 동도서기가 ‘서도(西道)’를 배제하는 것이라면, 이것들이 본질적으로 위정척사와 무엇이 달랐던가? ‘사(邪)’의 범위에 천주교 같은 것만 포함시키고 철갑군함, 대포, 기계, 기관차 등을 포함시키지 않는다면 위정척사라는 글귀는 결국 동도나 화혼을 달리 표현한 것에 불과하지 않은가?

--- p.222 「맺음말 위장척사와 동도서기, 그리고 중체서용은 과연 실패한 전략이었는가?」

출판사 리뷰

근대, 받아들이냐 마느냐

사람은 태어나서 자신이 속한 곳의 관습에 따라 산다. 긴 세월에 걸쳐 형성된 문화권에서 오래 살다 보면 당연히 그곳의 문화에 익숙해지기 마련이고, 그러다 보면 갓 태어난 아기가 아닌 이상 대부분은 기존과 다른 새로운 문화를 접하게 될 때 어색해한다. 특히 문명개화라는 화려한 수식어와 함께 ‘과학’과 ‘개혁,’ 그리고 ‘개방’을 등에 업은 ‘근대 사회’는 사람들한테 위협적으로 느껴질 수밖에 없다. 더군다나 이 문화수용과정이 자의가 아닌 타의에 의한 것이라면, 그리고 익숙한 문화를 전부 낡아빠졌다면서 새로운 것을 억지로 주입한다면 그에 대한 거부감은 몇 배가 될 것이다.

이를테면 19세기 동아시아에서는 한의학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접종해 온 종두법(천연두 예방법)인 ‘인두법’이 있었는데, 20세기가 되기 전 새로운 접종법인 ‘우두법’이 들어오면서 기존의 종두법은 비과학적인 것으로 부정되었고, 하물며 인두법을 발전시켰던 한의학 또한 미신 취급을 당하기 시작했다. 또 다른 예로는 18세기 후반 유럽에서 들여와 1894년 갑오개혁 이후 조선에서 위생 경찰 제도가 시행되었는데, 결국 사람들한테 거부감을 불러일으키게 되었다.

이 제도는 대한제국 시기 견고한 국가적 방역 체제의 구축을 위해 강력한 경찰 조직과 경찰력을 이용하는 행정 시스템으로서 창설되었으나, 경찰과 헌병은 전염병 환자를 찾아낸다는 명분으로 환자로 의심이 되는 사람은 무조건 구금하고 감시하면서 백성들을 삼엄하게 통제했다. 이처럼 ‘근대’의 과학은 삶을 이롭게 만드는 문명의 이기로 이용도 했지만 종종 소수의 문명개화론자들을 제외한 대다수 민중들에게는 별다른 문제 없이 유지되어 오던 것들을 졸지에 미신적인 데다가 타도해야 할 대상으로 만들어버리고, 영문도 모르는 사람들을 억압하는 무서운 권력이 되었다.

화혼양재와 동도서기, 중체서용의 성공과 실패

19세기 중후반에 동북아시아는 위압적인 서양 문명에 분노를 느끼는 동시에 그 격차에 경탄하면서 강제로 받아들여야 했다. 끝까지 문화수용을 강경하게 반대하는 세력들은 역사의 뒤안길로 쓸쓸히 사라져야 했고, 외래 문화를 선택적으로 수용하자는 사람들조차도 서양 문물을 받아들일 때 감당해야 할 변화를 두려워하는 동시에 수용할 수밖에 없는 급박한 현실에 분노했다. 이런 가운데 동북아시아 주요 3국은 각자 상황이 다른 만큼 문화를 수용하는 방식도 퍽 달랐다. 다만 강압적인 과정 가운데서도 정체성을 잃지 않고 서양의 진보한 기술과 제도만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이자는 수용전략의 양상 자체는 비슷했는데, 바로 일본의 ‘화혼양재和魂洋才’와 조선의 ‘동도서기東道西器’, 그리고 중국의 ‘중체서용中體西用’이었다.

이 중에서도 화혼양재는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이 급속하게 발전하고 부국강병에 성공하게 만든 요인으로 높게 평가되어왔다. 실제로 일본은 청일전쟁에서 승리를 거두는 것을 시작으로 제2차 세계대전에 참패하기 전까지 조선과 중국에 무력을 행사하고 강압적인 식민 정책을 펼치는 등 위세를 펼쳤다. 그러나 이쯤에서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있다. 과연 일본이 택한 화혼양재는 중체서용이나 동도서기와 크게 다른 것이었을까? 처음 생각했던 대로 그들의 뿌리를 잃지 않고 원하는 만큼 선택적으로 외래의 것을 수용할 수 있었을까? 그리고 어떤 차이점이 있어서 일본은 ‘성공’했고 중국과 조선은 ‘실패’했던 것일까? 개항을 받아들인 이들은 ‘위정척사衛正斥邪’와 무엇이 그렇게 달랐을까?

거부할 수 없는 문명의 파도와 그 저변에 깔린 복잡한 마음

어떤 것이든 시간이 흐르면 제자리에 있던 것도 변한다. 19세기 말 존왕양이를 주장하던 유신지사들의 정신적 지주이자 학당 쇼카손주쿠松下村塾의 숙장이었던 요시다 쇼인은 ‘몸은 비록 무사시武藏의 들판에 있지만, 스러지지 않고 마음에 새겨진 야마토다마시大和魂’를 설파했다. 그러나 본연의 자리를 고수하며 세력을 지킨다는 그의 주장은 완전히 성공하지 못했다. 치열하게 싸운 막부 말의 번주들과 지사들 중 결국 일부는 물러나고 다른 일부는 새로운 세력과 영합하여 신정부를 세웠던 것처럼, 외래 문명이라는 파도를 억지로라도 받아들이면서 일본은 근대화의 길로 나아가게 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이 세태에 반감을 가진 이들이 완전히 사라지지도 않았다.

이 책은 이러한 문제의식과 질문을 기반으로 공동연구자들의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화혼양재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시도한 것으로, 하나의 문화가 다른 문화를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고민과 실천, 비판과 지지, 선택과 거부 등을 포함한 문화수용전략으로서의 화혼양재를 살펴보고자 했다. 좁게는 서양의 것을 선택적으로 고른 후 현지화 전략에 성공한 상품인 일본의 앙꼬빵과 세븐일레븐부터 크게는 요시다 쇼인이 주창한 ‘야마토다마시’가 군국주의와 영합하면서 변질된 사상과 근대화가 영향을 끼친 정치 제도, 산업혁명, 제철 산업, 그리고 과학까지 폭넓게 다룬다. 파도가 한자리에 머무르지 못하는 것처럼 결국 ‘수용’은 모든 분야에 미칠 수밖에 없었던 셈이다.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20,000
1 2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