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가격
10,000
10 9,000
YES포인트?
100원 (1%)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실천문학의 시집(실천시선)

목차

제1부
서시 11
마부의 길 14
말고삐 함께 끌어주며 15
개장開場 17
요령소리 19
장제사裝蹄師아들 20
편자 교체 22
말발굽과 말똥 24
사별 25
굴뚝 연기 27
아버지의 말馬 29
대리 마부 31
사라진 궤짝 33
말길들이기 35
땡볕 긴 날의 식구들 37
쾌지나칭칭 39
육백을 치다 41

제2부
마부의 아들1 45
마부의 아들2 47
마부의 아들3 49
오두막 51
망태기 메고 들녘으로 53
말꼴을 베다가 55
연못 57
셋째 어머니 내력 59
채송화 피는 언덕 61
두 외가 63
도깨비불 65
탱자나무 67
검정 고무신 한 짝 69
오구굿 71

제3부
겨울 상여길 75
뿌리 뽑힌 것들 77
어머니와 육소간 81
여공 83
고모네 85
제사 가는 길 87
벌샘 89
선거철 91
반야월극장 선전반 93
가수의 꿈 95
저탄장 97
잔인함에 대하여 99
연탄중독 101
순자 104
동무 이야기 106

제4부
반야월역 111
포항행 완행열차 113
마부와 시인 115
또 다른 마부 117
첫 월급 119
야간정비 121
거대한 밥 122
모터 맨 124
굴뚝에 오르다 126
호출 128
나는 갱으로 들어간다 130
소문 132
오거리 광장을 넘어 134
마지막 시낭송회 136

시인의 산문 139

저자 소개1

1959년 대구 반야월에서 출생하여 대구공고기계과를 졸업, 포항공단의 강원산업에 입사하여 10여년을 근무 중 1989년 본사로 전출되었다가 2000년 퇴직 후 건설기계 관련 자영업 중이다. 1983년부터 포항문학에 작품발표. 1985년 「시인」지에 ‘삽질을 하며’등으로 작품활동의 시작, 시집으로 『그리운 흙』(1988년, 시인사) 이후 작품 활동을 중단했다가, 23년 마에 『뀌뚜라미 생포 작전』(2011년, 푸른사상사)을 내며 작품 활동 재개. 동인시집 『광화문 광장에서』(2014년, 푸른사상사) 있다. 한국작가회의 감사 및 연대활동위원장을 역임했고, 분단시대 동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정원도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17년 09월 15일
쪽수, 무게, 크기
152쪽 | 212g | 123*207*20mm
ISBN13
9788939230132

출판사 리뷰

내 시의 시작은 죽음이었다. 모든 존재를 단숨에 무로 돌려버리는 죽음. 생명의 유일한 통로이자 의지가지였던 부모님을 어린 나이에 여의게 된 이후로 나는 날마다 아득한 절망과 사투를 벌여야 했다.
시는 문학이 아니라 쓰지 않고는 견딜 수 없던 끊임없는 시련 속에서 유일하게 나를 정화시켜주는 해원같은 것이었다. 갓 스물 무렵부터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처럼 나의 삶을 시로 기록해보고 싶던 간절함도 어느덧 40년이란 긴 세월이 흘렀다. 포항공단의 한 귀퉁이에서부터 공장생활 틈틈이 독학으로 시를 끄적거린 것도 다 일찍이 여읜 부모님에 대한 그리움에서부터 시작된 필연적인 운명이었다.
그러니까 나의 습작은 어릴 적부터 막연하게나마 생의 막다른 골목에서 나를 지켜준 유일한 수단이었던 셈이다. 밤마다 지친 잔업에 시달리면서도 시를 향한 욕구를 제대로 채울 수조차 없던 시절에 불현듯 다가온 상념의 쓰디쓴 결실인 것이다. 형산강을 건너는 끝없는 황색 작업복의 자전거 대열에 끼어서 출퇴근하던 공단의 매연 자욱한 불빛을 바라보면서, 저 거대한 용광로 불꽃과 함께 살아가야 할 삶들을 깊이 고민하게 되었고, 그 많은 번민의 끝을 실행에 옮겨보기로 한 것이 이 자전적 연작시 ‘마부’인 것이다.

추천평

포항에서 이십 대 초반에 만나 장년에 이른 정원도 시인은 청년기에 나와 같이 시낭독회 등 민중문화운동을 했던 문학동지이다. 착하기 이를 테 없고 성당에 꼬박고박 다녔던 그는 나보다 나이가 한 살 위인 다정한 선배이자 나의 친절한 시 선생이다. 이런 시인이 문학 청년기부터 사십여 년 간 마음속에 품고 있던 필생의 시집인 「마부」를 한 권의 시집으로 내놓으니 반갑고 즐거운 일이다. 이런 시집을 마무리할 것을 재촉하고 편집하느라 자세히 읽으면서 보니, 마치 우리나라 근현대사 한 면을 보는 것 같았다. 이 시집에서 아버지 시대에서 아들 시대로, 농경 사회에서 산업화 사회로, 마차 시대에서 자동차 시대로 이행하는 삼중 풍경이 겹친다. 이런 풍경들이 서사와 서정으로 변주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대구의 반야월이라는 지역의 마부였던 아버지가 몰던 마차는 자동차 시대가 도래하면서 몰락하고, 아들은 산업화 시대 ??전사??로 공단도시 공장에 투입되는데, 이런 농경의 몰락과 산업의 근현대화 과정이 시인의 가족사를 통해 역동적으로 재현되고 있다. 따라서 이 시집은 시인 개인의 가족 서사이면서 민중 서사이고, 민중 문화사이자 유의미한 사회사가 되는 것이다.


공광규(시인)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9,000
1 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