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누가 그 진리를 죽였는가?
Truth and Authority in Modernity
IVP 2011.07.20.
가격
7,000
10 6,300
YES포인트?
70원 (1%)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1. 하나님의 권위
현대는 권위를 의심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의 반동
외적 권위와 내적 권위
오직 은혜로
오직 믿음으로

2. 하나님 권위의 매개체
성경
전통
이성
경험

3. 현대적 상황에서 하나님의 권위를 증언하다

인용 문헌

저자 소개1

레슬리 뉴비긴

관심작가 알림신청
 

Lesslie Newbigin

진보와 보수 양진영으로부터 존경을 받는 선교사요 목회자인 뉴비긴. 그는 1909년 영국 뉴캐슬에서 태어났고, 불신자로 케임브리지 대학교 퀸즈 칼리지에 입학했으나 기독교 학생 운동(SCM)에 참여하면서 회심을 경험했다. 졸업 후 스코틀랜드 SCM 총무로 2년간 일한 후에, 3년 과정의 신학 수업을 위해 케임브리지로 돌아와 웨스트민스터 칼리지에서 공부했다. 1936년 인도에 선교사로 가기 위해 스코틀랜드 장로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고, 그해 말 인도에서 선교사로서의 삶을 시작했다. 많은 반대와 염려에도 불구하고 인도에서 장로교, 회중교회, 영국 감리교, 성공회의 연합으로 구성된 남인
진보와 보수 양진영으로부터 존경을 받는 선교사요 목회자인 뉴비긴. 그는 1909년 영국 뉴캐슬에서 태어났고, 불신자로 케임브리지 대학교 퀸즈 칼리지에 입학했으나 기독교 학생 운동(SCM)에 참여하면서 회심을 경험했다. 졸업 후 스코틀랜드 SCM 총무로 2년간 일한 후에, 3년 과정의 신학 수업을 위해 케임브리지로 돌아와 웨스트민스터 칼리지에서 공부했다. 1936년 인도에 선교사로 가기 위해 스코틀랜드 장로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고, 그해 말 인도에서 선교사로서의 삶을 시작했다. 많은 반대와 염려에도 불구하고 인도에서 장로교, 회중교회, 영국 감리교, 성공회의 연합으로 구성된 남인도 교회를 형성하고 조직하는 핵심 역할을 했으며, 1947년 37세의 나이에 마두라이에서 이 연합된 교회의 초대 감독들 가운데 하나로 임명되었다.

1959년 뉴비긴은 국제선교협의회(IMC)의 총무직을 수락하여 잠시 인도를 떠났다. 그리고 1961년 세계교회협의회(WCC) 뉴델리 회의에서 IMC와 WCC의 통합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WCC 부총무와 WCC 전도위원회 책임자가 되었다. 1965년 그는 WCC에서의 사역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인도로 돌아와 첸나이의 감독으로 사역했다. 당시 그는 이미 인도에서의 선교 경험을 통해 교회 연합, 교회의 본질, 그리고 기독교 선교의 삼위일체적 근거를 다룬 여섯 권의 책을 저술했다. 이 저서들 가운데 특히 교회론적으로 주목받는 저서가 『The Reunion of the Church』와 『교회란 무엇인가?』이다.

1974년 인도에서의 35년간 사역을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온 뉴비긴은 영국이 선교지보다 더 이교적인 사회임을 발견하고 충격을 받는다. 그의 책들과 강연은 이런 격렬한 고민 가운데 쏟아져 나온 것이다. 이후 1998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영국 버밍엄에서 저술과 강연, 목회 사역으로 왕성한 노년을 보냈던 뉴비긴은 "20세기 후반에 선교의 성경적ㆍ신학적 기초를 닦은 사람으로서 그에 필적할 만한 동시대 인물은 거의 없을 것"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그는 서구 사회를 선교사의 시각으로 바라보면서 선교적이며 분석적인 질문들을 제기했다.

우리말로 번역된 저서는 『교회란 무엇인가』(IVP), 『죄와 구원』(복있는사람), 『삼위일체적 선교』(바울), 『종결자 그리스도』(도서출판100), 『오픈 시크릿』(복있는사람), 『요한복음 강해』(IVP), 『서구 기독교의 위기』(대한기독교서회), 『헬라인에게는 미련한 것이요』(IVP),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복음』(IVP), 『복음, 공공의 진리를 말하다』(SFC), 『아직 끝나지 않은 길』(복있는사람), 『타당한 확신』(SFC), 『누가 그 진리를 죽였는가』(IVP) 등이 있다.

레슬리 뉴비긴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11년 07월 20일
쪽수, 무게, 크기
110쪽 | 156g | 153*224*20mm
ISBN13
9788932812472

책 속으로

“사실상 허무주의와 나르시시즘에 빠진 현상은, 신적 계시를 믿어서 얻는 그런 지식과 구별되는 확실한 지식을 추구한 결과로 초래된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성경과 기독교 전통에 서 있는 이들은 이 이야기가 그리 놀랍지 않다. 하나님이 우리 자신을 비롯한 만물의 창시자라는 입장이 옳다면, 그와 다른 것을 출발점으로 삼는 지식은 모두 혼돈으로 끝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하나님의 자기 계시가 지닌 권위보다 더 앞서고 더 기본적인 권위를 찾으려는 노력은 실패로 끝날 수밖에 없다.”--- p.18

“신약성경이 거듭해서 증언하듯이, 실로 이 새로운 창조는 엄연히 존재하고 있으며, 이 새 창조의 창시자는 필연적으로 궁극적 권위일 수밖에 없다. 그 구세주의 권위를 입증할 만한 근거를 다른 곳에서 찾는 일은 그 구속 행위를 거부하는 것이다.
이런 말을 하면 ‘근대적’ 지식에 심한 적대감을 불러일으키는 줄 알지만, 우리는 이와 같은 충돌을 도무지 피할 수 없다. 이 계시의 권위를 수용할 만한 근거를 다른 데서 찾고자 하는 시도는 모두 실패하기 마련이다. 그 권위를 전달하는 유일한 방법은 복음 그 자체를 전하는 일이다.”--- p.26

“...오직 의심될 수 있는 진술만이 실재와 접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나님을 아는 우리의 지식은 믿음의 문제다. 또 그 믿음은 하나님이 주신 은혜의 선물이다. 우리는 눈에 보이는 것으로 행하는 것이 아니라 믿음으로 행한다. 우리가 확실한 지식을 소유하고 있는게 아니고, 우리가 지금 알려진 것처럼 장차 알게 될 그 날을 바라보며 믿음의 길을 헤치고 나아가는 것이다. 하나님의 자기계시가 예수 그리스도 안에 나타났건만, 그보다 더 믿을만한 확신의 근거를 주겠다는 자연신학은 믿음에 보탬이 되기는커녕 믿음을 뒤집어엎고 있다.”--- pp.30-31

“따르는 행위는 믿음의 행위이지, 부르는 자의 지적인 신뢰성과 그에 따른 가능한 결과를 합리적으로 계산하는 행위가 아니다. 하지만 이것은 비합리적 행위가 아니다. 오히려, 이 세상에서 인간 존재를 둘러싼 총체적 신비를 이해하는데, 이 인격적 초대보다 더 믿을 만한 실마리가 있다고 추정하는 그런 철학이 과연 믿을 만한지 그 철학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해야 마땅할 것이다.”--- p.32

“...성경은 어디까지나 공동체의 책이고, 그 공동체는 성경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하는 공동체이다. 성경과 공동체, 이 둘은 서로 뗄 수 없는 관계인만큼 어느 하나를 이해하지 않고는 다른 하나를 알 수 없다. 그러므로 전통은 성경과 동떨어진 권위의 원천이 아니다. 누구든지 전통에 충실한 입장을 유지하려면, 오직 성경 ‘안에 머무를’ 때에만 가능하다.”--- pp.66-67

“...인격으로서 상대방을 아는 지식을 얻으려면 나의 통제권을 포기해야 한다. 나는 귀를 기울이고, 질문에 나 자신을 노출시켜야 한다. 그리고 내가 이처럼 통제권을 포기하고 질문을 받는 위치로 옮긴다고 해서, 이성의 사용을 그만둔 것은 분명히 아니다. 나는 여전히 이성적 판단을 내리고 자료로부터 이성적 결론을 끌어내는 이성적 사람이다. 양자의 차이점은 이성이 어떤 역할을 하도록 요구받느냐에 있다. 이성은 주인노릇을 하는 자율성의 종이 되는 대신에, 귀를 기울이고 신뢰하는 열린 마음의 종이 된 것이다.”--- pp.74-75

“그러므로 경험을 기독교 신앙을 위한 별도의 권위의 원천으로 취급하는 것은 오해의 소지가 많다. 우리가 겪는 경험의 성격을 특징짓는 것은 바로 우리가 가진 믿음이기 때문이다. 교회의 오랜 전통 중 하나는, 특별한 종교적 체험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그런 것이 때때로 귀하고 필요하긴 하지만), 믿음으로 행하라는 초대를 받아들이라고 충고한다. 바로 이 길이 진정 하나님을 볼 수 있도록 모든 종교적 체험은 그 하나님을 흘끗 보는 것에 불과하다-인도해주기 때문이라고 한다.”--- p.80

“따라서 우리가 그 진리를 증언하고 그래서 복음의 권위를 단언하려면, 그 복음을 선포하는 일, 그 이야기를 들려주는 일, 그리고 우리가 교회의 삶과 예배를 통해 공동체적으로 그 이야기를 몸소 살아내는 일 밖의 다른 길이 없다. 이는 우리가 소위 ‘객관적 진리’의 개념을 버린다는 것을 뜻한다. 즉 우리가 개인적으로 개입되지 않는, 그런즉 우리의 전 생애를 헌실할 필요가 없는 그런 일련의 초시간적 명제들 안에서 객관적 진리를 발견하려는 노력을 그만두는 것이다. 그것은 진리를 발견하는 길이 진리 그 자체이신 그분과 더불어 제자의 삶을 살기로 다짐하는 데만 있음을 인정한다는 뜻이다. 우리는 그 이야기를 들려주고 또 삶으로 살아내야 한다.”

--- p.104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6,300
1 6,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