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한계에 다다른' 자본주의의 미래에 대한 석학 8인의 논설집. 무너지는 경제 시스템부터 기본 소득까지 세계적으로 활발히 논의 중인 굵직한 주제들을 담았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폴 크루그먼과 세계 100대 경제학자에 선정된 최배근 교수 등 학자의 눈으로 미래를 미리 볼 수 있는 책. - 경제경영MD 김주리
|
[Prologue] ‘미완’의 미래를 찾아서
Chapter 1 폴 크루그먼 : 우리는 중대한 분기점 앞에 서 있다 AI로 인한 대량 실업은 당분간 발생하지 않는다 이미 축적한 부를 어떻게 쓰느냐가 문제다 우리는 두 갈래로 나뉘는 분기점 앞에 서 있다 일본 경제의 최대 문제는 인구 감소 노동 인구 감소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무역 전쟁의 승자는 아무도 없다 미·중 테크놀로지 전쟁을 어떻게 볼 것인가 Chapter 2 토머스 프리드먼 : 홀로세가 끝나고 인류세가 시작되다 세계는 평평하고 빠르고 스마트해졌다 테크놀로지가 지구를 뒤덮는 인류세가 도래하다 테크놀로지 실업인가 새로운 직업 창출인가 테크놀로지는 과연 민주주의를 변화시킬 것인가 커뮤니티 활성화의 3가지 조건 일본의 쇠락 요인은 폐쇄성 때문이다 3가지 전략으로 구성된 중국의 자본주의를 이해하라 냉전 이후의 세계를 이해하는 최선의 방법 Chapter 3 데이비드 그레이버 : 직업의 절반이 사라지고 헛된 일자리만 늘어난다 의미 없는 일이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아무것도 하지 않은 사람의 월급이 더 많다 자기 일은 쓸모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기본 소득으로 인간다운 일을 되찾다 불시트 잡스의 5가지 유형 일은 힘든 것이라는 편견이 사회를 좀먹는다 Chapter 4 토마스 세들라체크 : 성장을 추구하는 경제학이 세계를 파괴한다 세계는 공산주의화되어가는가 자본주의는 비판받기를 원한다 정신분석학의 관점에서 경제를 바라보다 시장은 공정하지 않다 보이지 않는 손은 시장이 아니라 사회에 존재한다 성장지상주의는 사회를 병들게 한다 공정하게 경쟁하는 사회 Chapter 5 타일러 코웬 : 테크놀로지가 노동자의 격차를 벌린다 테크놀로지 기술 보유에 따라 격차가 벌어진다 로봇이 과연 생활비를 낮출 수 있는가 지금 새로운 냉전이 시작되었다 중산층을 지탱하는 커뮤니티가 줄고 있다 기술 혁신을 저해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저출산 대책을 최우선하라 포스트 자본주의 따위는 존재하지 않는다 Chapter 6 뤼트허르 브레흐만 : 기본 소득과 하루 3시간 노동이 사회를 구한다 기계화로 생기는 부를 재분배하라 GDP 수치는 이제 의미가 없다 기본 소득이 노동을 방해하는가 기본 소득이 없는 쪽이 더 비효율적이다 단순히 부를 이동하는 쓸모없는 일이 너무 많다 실리콘밸리는 혁신을 창조하지 않는다 중간 관리직은 무의미하다 과거보다 현재 아이들의 창의성이 떨어진다 미래 사회의 최대 과제는 지루함이다 Chapter 7 빅토어 마이어 쇤베르거 : 데이터 자본주의가 불러올 격변의 미래 사회를 준비하라 금융 자본주의에서 데이터 중심 시장으로 전환 데이터 개방이 혁신을 일으키다 GAFA의 세계 경제 독과점은 계속될 것인가 조직 구조를 바꾸기 어려운 은행의 어두운 미래 처방전은 데이터 납세 인간의 특권은 의사 결정의 자유 Special Chapter 최배근 : 근대 산업 문명과 경제 체제의 종언을 마주하다 코로나19는 티핑포인트 연결의 세계: 통합 효과와 전염 효과 중심주의 세계관의 파산 코로나19와 중심주의 세계관의 종언 세계 경제의 재건은 가능한가 기술 혁신과 사회 혁신의 공진화가 필요하다 Epilogue 급변하는 세계 속에서 |
Paul Krugman
폴 크루그먼의 다른 상품
Thomas L. Friedman
토머스 L. 프리드먼의 다른 상품
최배근의 다른 상품
David Graeber
데이비드 그레이버의 다른 상품
Tomas Sedlacek
Rutger Bregman
뤼트허르 브레흐만의 다른 상품
Viktor Mayer-Schonberger
빅토어 마이어 쇤베르거의 다른 상품
Tyler Cowen
타일러 코웬의 다른 상품
大野和基
오노 가즈모토의 다른 상품
최예은의 다른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