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1년 09월 09일 |
---|---|
쪽수, 무게, 크기 | 332쪽 | 394g | 138*201*20mm |
ISBN13 | 9788954682152 |
ISBN10 | 8954682154 |
발행일 | 2021년 09월 09일 |
---|---|
쪽수, 무게, 크기 | 332쪽 | 394g | 138*201*20mm |
ISBN13 | 9788954682152 |
ISBN10 | 8954682154 |
MD 한마디
[작별하지 않는, 작별할 수 없는 이야기] 학살로 가족을 잃은 이는 그 흔적을, 행적을 찾기를 포기하지 않고, 말해지지 않은 지난 시간들은 수십 년을 건너 눈보라 속에서 고립된 외딴집 흔들리는 촛불 아래에서 되살아난다. 이것은 작가의 바람처럼 지극한 사랑에 대한 소설, 삶을 잠식하는 고통 속에서도 결코 작별하지 않는 이야기다. -소설MD 박형욱
1부 새 1 결정結晶 2 실 3 폭설 4 새 5 남은 빛 6 나무 2부 밤 1 작별하지 않는다 2 그림자들 3 바람 4 정적 5 낙하 6 바다 아래 3부 불꽃 작가의 말 |
눈으로도 가려지지 않는 아픔이 있다.
이 책을 읽고 닫으면서 생각했던 말이다.
작별하지 않는다는 제주도 참사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하지만 주인공이 말하지 않는다. 주인공 친구의 입을 빌리고, 그녀의 손을 빌리고, 어머니의 생각을 빌린다. 그녀들의 구체적인 속마음이 드러나지 않고 어투는 담담하기 그지 없지만 읽는 내내 손이 아프고 목이 죄는 느낌을 받았다. 그만큼 아픈 상처였다. 그 상처는 눈에 덮혔고, 과거는 눈 아래에 누웠지만 여전히 아팠다.
제주도 참사의 아픔, 한강의 필력을 온전히 느끼고 싶은 분들께 추천한다.
"내가 축대에서 떨어졌던 그 밤에 꿈을 꿨다고 했어. 다섯 살 모습으로 내가 눈밭에 앉아 있었는데, 내 뺨에 내려앉은 눈이 이상하게 녹지를 않더래. 꿈속에서 엄마 몸이 덜덜 떨릴 만큼 그게 무서웠대. 따뜻한 애기 얼굴에 왜 눈이 안 녹고 그대로 있나."
원래도 그랬지만 아기를 낳은 후 부터는 더더욱, 아이들이 아프거나 다치거나 학대당하는 내용의 글이나 영상은 마음에 자꾸 남아서 보지를 못하겠다.
따뜻한 애기 얼굴에 왜 눈이 안 녹고 그대로 있나. 이 문장이 머릿속에 계속 맴돈다. 눈이 사람의 얼굴에 내려서 녹지 않는다는 것의 의미를 알고 있다는 아득함, 내 아이의 얼굴에 눈이 녹지 않는다는 두려움이 너무나 생생하게 마음 아프다.
인선의 엄마가 시체의 얼굴에 쌓인 눈은 녹지 않는 다는 것을 안 것은 국민학교 졸업반이었을 때다. 언니의 손을 잡고 어머니, 아버지, 오빠, 동생을 찾으려 죽은 얼굴 위의 눈송이를 헤치고 얼굴을 확인하는 고작 열세네살 남짓의 아이. 아무 잘못도 없이 이유도 모른채 끔찍한 일을 겪어야 했던, 사랑하는 사람을 잃어야만 했던 모두가 슬프다.
사는 내내, 그때 내가 무사 오빠신디 머리가 이상하다고 해실카? 무사 그런 말밖에 못해실카? 라고 자책했을, 정신을 놓고서도 끝도 없이 되뇌이는 그 마음이, 밀도 높은 눈이 끝도 없이 내려 차갑고 무거운 겨울같다.
모든 문장이 차갑고 어둡고 무거워 내게 두 번은 읽기 어려운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