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소득공제 EPUB
빛의 제국
eBook

빛의 제국

[ EPUB ]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 판매지수 852
구매 시 참고사항
  • 2020.4.1 이후 구매 도서 크레마터치에서 이용 불가
{ Html.RenderPartial("Sections/BaseInfoSection/DeliveryInfo", Model); }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22년 05월 27일
이용안내 ?
지원기기 크레마,PC(윈도우),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PC(Mac)
파일/용량 EPUB(DRM) | 50.63MB ?
글자 수/ 페이지 수 약 20만자, 약 6.3만 단어, A4 약 125쪽?
ISBN13 9791191114089

이 상품의 태그

작별인사

작별인사

10,000 (0%)

'작별인사' 상세페이지 이동

여행의 이유

여행의 이유

9,500 (0%)

'여행의 이유' 상세페이지 이동

불안

불안

10,500 (0%)

'불안' 상세페이지 이동

종의 기원

종의 기원

18,000 (0%)

'종의 기원' 상세페이지 이동

살인자의 기억법

살인자의 기억법

7,000 (0%)

'살인자의 기억법' 상세페이지 이동

떨림과 울림

떨림과 울림

9,000 (0%)

'떨림과 울림' 상세페이지 이동

공감의 배신

공감의 배신

12,000 (0%)

'공감의 배신' 상세페이지 이동

사이코패스 뇌과학자

사이코패스 뇌과학자

12,800 (0%)

'사이코패스 뇌과학자' 상세페이지 이동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11,000 (0%)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상세페이지 이동

검은 꽃

검은 꽃

7,700 (0%)

'검은 꽃' 상세페이지 이동

오직 두 사람

오직 두 사람

9,100 (0%)

'오직 두 사람' 상세페이지 이동

파인만 씨 농담도 잘하시네 1

파인만 씨 농담도 잘하시네 1

5,600 (0%)

'파인만 씨 농담도 잘하시네 1' 상세페이지 이동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8,000 (0%)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상세페이지 이동

오래 준비해온 대답

오래 준비해온 대답

11,000 (0%)

'오래 준비해온 대답' 상세페이지 이동

엘리베이터에 낀 그 남자는 어떻게 되었나

엘리베이터에 낀 그 남자는 어떻게 되었나

7,000 (0%)

'엘리베이터에 낀 그 남자는 어떻게 되었나' 상세페이지 이동

치매의 거의 모든 기록

치매의 거의 모든 기록

10,080 (10%)

'치매의 거의 모든 기록' 상세페이지 이동

아랑은 왜

아랑은 왜

6,300 (0%)

'아랑은 왜' 상세페이지 이동

인듀어런스

인듀어런스

10,500 (0%)

'인듀어런스' 상세페이지 이동

호출

호출

8,000 (0%)

'호출' 상세페이지 이동

다다다

다다다

23,100 (0%)

'다다다' 상세페이지 이동

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AM 07:00 말 달리자
AM 08:00 꿈을 꾸는 문어단지
AM 09:00 너무 일찍 도착한 향수
AM 10:00 권태의 무게
AM 11:00 바트 심슨과 체 게바라
PM 12:00 하모니카 아파트
PM 01:00 평양의 힐튼호텔
PM 02:00 세 나라
PM 03:00 쇄골절흔
PM 04:00 볼링과 살인
PM 05:00 늑대 사냥
PM 06:00 Those were the days
PM 07:00 처음처럼
PM 08:00 모텔 보헤미안
PM 09:00 프로레슬링
PM 10:00 늙은 개 같은 악몽
PM 11:00 피스타치오
AM 03:00 빛의 제국
AM 05:00 변태
AM 07:00 새로운 하루

개정판 작가의 말

저자 소개 (1명)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빛의 제국』 을 읽는 한국인, 『빛의 제국』 을 읽는 외국인
한국 작가의 소설이 경쟁 입찰 등을 통해 해외 출판사와 정식 계약을 맺고 번역 소개되기 시작한 것은 2005년 무렵부터이다. 김영하는 이 새로운 흐름의 선두에서 문을 연 작가 가운데 한 사람이다. 특히 그의 소설은 도발적 소재, 거침없는 속도감, 유려한 스타일로 아시아 작가에 대한 서구인들의 ‘이국적 호기심’의 허를 찔렀다. 2006년 한국어 초판이 출간된 『빛의 제국』은 지금까지 미국, 프랑스, 독일 등 17개국 출판사와 판권 계약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2010년 『빛의 제국』 영어판이 출간되었을 때만 해도, 미국 아마존 톱100 순위에 랭크된 최초의 한국 소설가라는 사실이 신문에 기사화되었을 만큼, 한국문학은 아직 세계문학의 주변부에 머물러 있었다.
바로 그런 이유로,『빛의 제국』이 해외 독자들에게 소개되고 수용된 방식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남긴다. 『빛의 제국』의 영어 제목 ‘Your Republic Is Calling You’는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거의 잊고 지내는 사실, 우리가 1945년 이래 줄곧 분단국이었음을 날카롭게 환기시킨다. 남파간첩 김기영의 서사가 발붙이고 있는 사실성은 다름 아닌 우리의 분단현실에서 나오고, 그래서 이 소설은 실제보다 더 ‘정치적’으로 비쳐진다. 여러 해외 리뷰들이 『빛의 제국』에서 소설의 형식을 취한 유사(類似)현실을 읽어내는 이유다. 그에 반해 조국 분단의 비극이 익숙하다 못해 진부해져버린 한국 독자들은 21세기 간첩의 블랙코미디 같은 하루를 시대의 센세이션으로 받아들였다. 그것은 실체 없는 이념의 형해를, 바뀐 세기에 걸맞은 허무를, 추구도 지향도 불분명한 시대의 탈정치성을 투영하는 듯 보였다.

세 개의 나라, 세 가지 실존: 사이보그, 부적응자, 불법이민자
스파이 김기영은 북한, 1980년대 남한, 21세기 남한이라는 “세 나라”를 겪은 예외적 소수자다. 북한에서 그는 ‘개인’이 아니었으며, 1980년대의 남한에서 그는 주사파 운동권의 일원이었다. 하지만 21세기의 평범한 중년 가장 김기영은 자신이 다만 불법이민자에 불과하지 않은가 생각한다. 어쩌다보니 이곳에 정착하게 됐고, 잘 적응하는 게 가장 중요했다고. 맡은 배역에 최선을 다하다 보니 본래의 내가 누구였는지 모르겠다고. 아무렴 어떠냐고.
지금도 어딘가에서 진짜 스파이가 암약하고 있는 나라, 전 세계의 유일무이한 장기 휴전국의 중견 소설가가 그린 스파이 김기영은 어째서 이토록 무력하고 세속적인가. 권총도 비정함도 탄탄한 복근도 모두 잃어버린 타락한 간첩 김기영은 자본주의의 영광을 치장하지도 이데올로기의 실패를 웅변하지도 않는다. 바로 이 점이 『빛의 제국』이 도달한 남다른 핍진성이다. 허구적 상상력의 빈틈을 파고들어 현실을 정교하게 복원할 때, 독자는 지금껏 지각하지 못했던 냉엄한 실존의 조건에 새삼스러운 눈길을 던지게 된다.

운명에 대한 명상, 또는 내 삶의 주인 되기
김기영은 한번도 자기 삶의 주도권을 쥐어본 적이 없고, 자의로 무엇을 선택할 기회도 없었지만, 그럼에도 같은 운동권 출신인 대학 동창과 결혼해 아이를 낳아 기르고, 서울 시내에 아파트를 장만하고, 영화수입업자로 무난히 밥벌이를 하고 있다. 그런데 깜빡 잊고 있던 운명이 그를 소환한다. 이 ‘부름’은 고통스러운 방식으로 ‘일상에 매몰된 삶’의 소중함을 부각시키고, 인간 존재의 항구적 불확정성을 폭로한다. 김기영의 갈등은 전형적인 현대인의 신경증, 자아 찾기를 지상과제로 추구하는 동시에 몰개성과 익명성 속에서 편안하게 자아분열을 즐기는 현대인의 이중성과 일맥상통한다.
오랫동안 『빛의 제국』의 의의는 한국 현대 정치사와 리얼리즘의 관점에서 설명되었다. “역사와 개인의 문제를 균형있게 포착해 힘있는 서사로 풀어냈다”는 만해문학상 수상작 선정 이유는 그러한 시각을 잘 압축하고 있다. 그로부터 10여 년이 흐른 2017년, 프랑스에서 연극으로 상연된 『빛의 제국』을 리뷰하면서 《르몽드》지가 분단국가의 상징인 스파이 김기영을 가리켜 “삶의 연속성을 상실함으로써 파편화와 자기소외에 시달리는 분열적 존재”라고 했을 때, 마침내 『빛의 제국』은 역사와 현실의 특수성에서 벗어나 오롯이 한 편의 소설로, 보편문학으로 읽히고 있음을 입증해 보였다.
어느 누구도 자기 생에 대해서만은 정치적일 수 없고, 매일을 필사적으로 살고 있어도 자기로부터 분리된 채로는 생의 이유를 납득할 수 없다. 『빛의 제국』은 극단적 조건에 놓인 한 사람을 통해 평범한 하루하루의 유의미를 깊이 명상하게 한다는 점에서, 김영하의 소설들 가운데서 두드러지게 묵직하고 성찰적인 작품이 되었다.

■ 추천의 말
역사와 개인의 문제를 균형 있게 포착하여 우리 일상과 풍속에 탁월하게 결합시켰으며 근래 보기 드문 힘 있는 서사로 풀어낸 수작이다. -만해문학상 선정 이유 중에서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