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하는 것에 대해, 「상상과 사랑」에 대해, 김선오 작가가 들려주는 더 많은 이야기 [2문 4답]을 통해 확인하세요!
Q1) ‘좋아하는 것’을 주제로 작품 의뢰를 드렸는데요, 이 이야기를 선택한 계기나 그것을 좋아하는 이유를 들려주세요.
A1) 글에도 썼지만 저는 좋아하는 것이 많이 없는 편입니다. 무언가에 깊게 몰두하거나 중독되는 일도 거의 없어요. 싫증을 잘 내는 편인 것 같아요. 다만 피아노와 시만큼은 자신 있게 좋아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A2) 피아노 연주와 시 쓰기 모두 무한히 변주되고 갱신된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것 같습니다. 건반 하나를 다른 힘으로 누르는 일과, 시어 하나를 다른 단어로 바꾸는 일이 저에게는 비슷하게 느껴집니다.
Q2) 어떤 말을 좋아하시나요? “작가의 단어”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A1) 매일매일 새로운 단어가 좋아지는데요, 요즘은 추상어에 관심이 많아요. 시에서는 다들 구체적인 단어를 써야 한다고, 구체적일수록 좋다고 말하거든요. 추상어의 관념성 때문인데, 현대시에서 소외 받아 온 추상어를 어떻게 시 안으로 잘 데려올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어요. 얼마 전에는 '탈각'이라는 말이 재미있게 느껴졌어요. 한자어인데 의성어처럼 느껴지기도 해요. 탈각탈각.
A2) '달빛'이라는 말도 좋아졌어요. 좀 촌스러운 단어처럼 들리는데, 그 이유는 우리가 사는 생활 공간이 도시이기 때문인 것 같아요. 도시에는 달빛이 잘 없어서 그것이 실재하는데도 환상적이고 낭만적인 대상으로 여겨지거든요. 말 뿐인 말 같기도 하고요. 달빛이라는 말이 좋아서 달빛에 대한 시를 쓰고 싶어요.
예스24에서 여러분의 "작가를 찾습니다" 예스24가 매년 진행하는 〈한국 문학의 미래가 될 젊은 작가〉 투표, 잘 참여하고 계신가요? 사실 행사를 준비하면서 저희는 늘 고민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후보에 오른, 또 다음에 후보에 오를 이 멋진 젊은 작가를 더 잘 소개할 방법이 없을까. 우리만 알기에는 아까운 이 작품을 어떻게 더 많은 분께 전할까. 그래서 한가지 시도를 해보기로 했습니다. 이른바 [작가를 찾습니다]! "한국 문학의 미래가 될 젊은 작가"를 미리 만나보세요.
새로운 작품으로, 한 달에 한 작가 지금 주목해야 할 소설가와 시인들을 한 달에 한 명씩 소개합니다. 매달 한 명의 작가가 새로 공개하는 짧은 소설이나 에세이를 만나보실 수 있고요, 매 편 오리여인 작가의 일러스트를 함께 감상하실 수 있으니 예스24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이 특별한 만남도 기대해주세요.
좋아하는 것을 잔뜩 이야기해요 달마다 작가가 '좋아하는 것'에 관해 들려줄거예요. 저희의 의뢰는 아주 단순했습니다. 좋아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해달라는 것이었고요, 거기에는 어떤 경계도 없습니다. 지금 작가들의 마음을 즐겁고 설레게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매달 공개할 작품들을 통해 확인해주세요.
구매상상과 사랑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k******0|2022.12.11|추천1|댓글0리뷰제목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상상과 사랑 최근담 리뷰글을 써보겠습니다. 한달전 최근담 리뷰글에 이어서 이번에도 자신의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 다루는 작품을 마주하게 되었습니다. 뭐 이런 구성이 그리 특별하다고 볼수 있는 것은 아니고 인간 세상의 세상만사를 투영할수 밖에 없는 문학의 특성상 우리가 흔히 안고사는 고민들을 다룰수밖에 없겠지만 아무래도 이런 주제는 슬픈 마음이 들;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상상과 사랑 최근담 리뷰글을 써보겠습니다. 한달전 최근담 리뷰글에 이어서 이번에도 자신의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 다루는 작품을 마주하게 되었습니다. 뭐 이런 구성이 그리 특별하다고 볼수 있는 것은 아니고 인간 세상의 세상만사를 투영할수 밖에 없는 문학의 특성상 우리가 흔히 안고사는 고민들을 다룰수밖에 없겠지만 아무래도 이런 주제는 슬픈 마음이 들수밖에 없죠. 하지만 그럼에도 이 작품은 그 부족한 현실 속에서도 자신이 좋아하는 이상과 사랑에 임하는 자세를 확실히 알려주고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상상! 어떠한 현실적 제약이 있더라도 자신이 그것을 상상하고 포기하지 않는다면 그 꿈은 계속된다고 보는거죠. 물론 이 자세 자체는 어찌보면 당연한 것일수도 있습니다. 지금 인생을 살아가는 그 누가 꿈을 꾸지 않은 자가 어디 있고 그 꿈이 좌절되었다고 해서 쉽사리 포기하는 사람이 있겠습니까? 하지만 그 당연한 사실을 단순히 실패나 도태로 여기는 것이 아니라 사랑의 시선으로 바라본 것이 이번 작품의 가장 커다란 매력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비록 사소한 일상의 틈바구니 속이라고 하더라도 틈틈이 내가 꿈꿔왔고 언제나 관심을 가지고 있는 주제에 대해 생각하고 상상하고 또 사유하는 것은 시간낭비나 미련이 아닌 또다른 꿈의 실현 방식인 겁니다. 비록 그 꿈을 향한 여정도 언젠가는 끝이 다가올지도 모르겠지만 적어도 저는 이 작품을 읽고서 그런 슬픈 감정보다는 매순간 나에게 다가오는 취미와 관심사에 후회없이 임하기로 다짐했습니다. 또 이런 생각도 들더군요. 직업으로 그 이상을 이룬 사람과 일상에서 이상을 꿈꾸는 이들 모두가 하나의 동반자인 것은 아닐까하는 생각말입니다. 물론 이 역시 어찌보면 당연하다면 당연한 문구일지도 모르지만 아무래도 무대 위의 스타와 그를 둘러싼 무수히 많은 관객으로 그려질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인만큼 당연하지만 너무 당연해서 선전문구로만 존재하는 이야기들을 계속해서 재평가하고 수면 위로 올리는 시도를 멈추지 말아야한다고 감히 주장해봅니다. 제가 저번 최근담 리뷰글에서도 적었었죠. 서로 다른 고민과 이상을 가지고 있는 두 주인공이 든든한 동반자가 되길 바란다고요. 그렇다면 서로 위치만 다를뿐 같은 고민과 이상을 가지고있는 스타와 관객이라면 더 말할것도 없을 겁니다. 물론 그 속에서도 선은 잘 지켜야겠지만 상상의 힘으로 꿈과 이상을 지켜온 분들이라면 틀림없이 스타와함께 안정적인 동반자의 길을 걸어나갈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구매상상과 사랑 리뷰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YES마니아 : 골드미*계|2022.12.07|추천1|댓글0리뷰제목
김서오 작가님의 상상과 사랑 리뷰입니다. 표지가 너무 아기자기하고 귀여워서 뭔가 옛날 책 느낌도 나고 매력적인 것 같아요. 책을 읽으면서 내가 좋아하는 것은 무엇인가에 대한 생각을 깊게 해보았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장르의 책은 무엇인가, 무엇때문에 책을 읽고있는가에 대한 또다른 생각에 생각을 하게 된 것 같습니다. 작가님이 의도한 내용이 이런 방향일지는 모르겠으나, 책;
김서오 작가님의 상상과 사랑 리뷰입니다. 표지가 너무 아기자기하고 귀여워서 뭔가 옛날 책 느낌도 나고 매력적인 것 같아요. 책을 읽으면서 내가 좋아하는 것은 무엇인가에 대한 생각을 깊게 해보았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장르의 책은 무엇인가, 무엇때문에 책을 읽고있는가에 대한 또다른 생각에 생각을 하게 된 것 같습니다. 작가님이 의도한 내용이 이런 방향일지는 모르겠으나, 책안에서 또다른 내 인생에 대한 고뇌를 하게해주어서, 스스로의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경험이 되었습니다.
구매[최근담] 상상과 사랑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YES마니아 : 로얄스타블로거 : 블루스타눈*셔|2022.12.03|추천1|댓글0리뷰제목
현재에 집중하다 보면 과거의 기억과 미래의 걱정을 잠시 잊게 된다. 지은이가 지금 집중하는 것은 피아노다. 지은이는 손으로 피아노 건반을 느끼고 귀로 피아노 연주를 듣고 눈은 피아노 악보를 보고 있다. 피아노 연주를 하는동안 다른 생각 할 틈이없다. 어떤 것에 대해 좋아한다면 그것이 없는 시간에도 가끔 떠오르게 된다. 이사 갈 집에 피아노를 이리저리 배치하는 상상. 그러나;
현재에 집중하다 보면 과거의 기억과 미래의 걱정을 잠시 잊게 된다. 지은이가 지금 집중하는 것은 피아노다. 지은이는 손으로 피아노 건반을 느끼고 귀로 피아노 연주를 듣고 눈은 피아노 악보를 보고 있다. 피아노 연주를 하는동안 다른 생각 할 틈이없다. 어떤 것에 대해 좋아한다면 그것이 없는 시간에도 가끔 떠오르게 된다. 이사 갈 집에 피아노를 이리저리 배치하는 상상. 그러나 그 집에 방음이 잘 되지 않다고 하니 이내 기대가 사그라진다. 우렁찬 피아노 소리가 건반과 해머와 현을 타고 향판을 울리면 건물 안 다른이에게도 들릴 것이다. 감미로운 층간소음이면 좋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한 모양이다. 흠집난 오래된 건반 피아노는 지은이와 같이 갈 수 없고 새 디지털 피아노를 데려올 수 밖에 없다. 이사갈 생각에 부풀어 올랐을 상상은 현실의 바늘에 터진 것이다. 오래된 피아노를 판다면 현재는 과거가 된다. 더이상 상상하지 못하고 기억에만 남게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본업인 시 쓰는 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