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3년 02월 10일 |
---|---|
쪽수, 무게, 크기 | 368쪽 | 608g | 145*215*22mm |
ISBN13 | 9788901268354 |
ISBN10 | 8901268353 |
발행일 | 2023년 02월 10일 |
---|---|
쪽수, 무게, 크기 | 368쪽 | 608g | 145*215*22mm |
ISBN13 | 9788901268354 |
ISBN10 | 8901268353 |
들어가며 - 나를 숨기는 ‘마음 가면’을 벗고 세상에 대담하게 뛰어들어라 프롤로그 - 나를 보여주는 용기는 인생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Chapter 1 헤어날 수 없는 결핍감의 근원 - 취약성의 관점에서 바라보기 - 늘 뭔가 부족하다고 느끼는 이유 - 결핍감에 대항하는 방법 Chapter 2 취약성에 대하여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것들 - 취약성은 나약함과는 다르다 - 나는 취약한 사람이 아니라는 착각 - 취약성은 신뢰와 함께 자라난다 - 혼자서는 취약해질 수 없다 Chapter 3 수치심을 다루는 법 - 수치심에 지배당하면 나를 지킬 수 없다 - 수치심을 고백하기 어려운 이유 - 수치심 회복탄력성을 기르는 방법 - 남녀의 수치심 경험은 어떻게 다른가 - 여자들의 수치심과 거미줄 - 남자들의 수치심과 상자 - 다른 사람에게 가혹한 사람들의 공통점 - 섹스를 둘러싼 남녀의 수치심 차이 - 절대로 하면 안 되는 이야기 - 진짜가 된다는 것 Chapter 4 마음의 갑옷 벗어 던지기 - 첫 번째 갑옷: 기쁨 차단하기 - 두 번째 갑옷: 완벽주의 - 세 번째 갑옷: 감정 마비시키기 - ‘어차피 세상은 약육강식’이라는 위험한 생각 - 모조리 털어놓는 것은 솔직함과 다르다 - 냉소, 비판, 쿨함, 잔인함에 대하여 Chapter 5 현실과 이상의 간극 의식하기 - 중요한 건 전략일까, 문화일까 - 소망을 놓아버릴 때의 비극 Chapter 6 대담하게 뛰어드는 리더가 되려면 - 완벽을 강요하는 사회에서 리더가 된다는 것 - 수치심을 불러일으키는 조직문화 - 수치심에 맞서는 전략 - 취약해질 수 있는 용기 Chapter 7 내 아이가 어떤 어른이 되길 바라는가 - 완벽을 강요하는 사회에서 부모 노릇 하기 - 내 아이를 해치는 수치심과의 전쟁 - 세상에 좋은 부모, 나쁜 부모는 없다 - 취약한 부모가 아름다운 이유 에필로그 - 진짜 나를 보여줄 용기 읽고 답하기 - 나는 얼마나 취약한 사람인가 근거 이론과 연구 과정 감사의 말 참고문헌 |
예스24에서 구매한 브레네 브라운의 마음가면을 읽었다.
몇 년 전에 친구가 같은 저자의 ‘리더의 용기’라는 책과 취약함에 대한 Ted 강연을 추천해준 바 있어서 저자의 이름은 익히 알고 있었다.
그리고 브레네 브라운의 테드 강연이 너무 좋아 요즘도 생각날 때마다 찾아보곤 한다.
브레네 브라운 하면 바로 떠오르는 단어는 vulnerability 취약함이다.
작가는 취약성, 수치심, 자존감에 대해 연구해 온 심리전문가인데 [마음가면]이라는 책에서 취약성이 무엇인지 그리고 온 마음을 다함이라는 뜻의 wholeheartedness 라는 개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었다.
온 마음을 다하며 산다는 건, 수치스러운 일을 겪고도 자신의 가치를 믿고 회복력을 발휘한 사람들, 그래서 자신의 가치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세상에 적극적으로 뛰어드는 것이라고 한다. 개인적으로 정말 용기있는 사람들만이 이렇게 행동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특히 취약성은 나약함이 아니라는 것을 재차 강조해주어서 좋았다.
남들과 비교를 안 할 수는 없지만 그것이 건강한 경쟁이어야 하며, 뭔가 부족한 느낌으로 스스로를 억누르고 옥죄면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는 말이 정말 와닿았다.
진정한 용기란 자신을 드러내고 자신의 진짜 모습을 남에게 보여주는 데서 시작된다는 문장을 다시 한번 새기면서 책을 끝마쳤다.
주변에 남들과의 비교로 자꾸 자신이 없어지고 스스로를 비하하는 것이 습관이 된 사람이 있다면 꼭 읽어볼 것을 추천하고 싶다.
수치심과 불안과 강박에 대한 관심이 크기에 책을 열기까지 많은 기대를 했다.
책 소개에도 TED에서 워날 유명한 영상이고, 어떻게 접근 할 것인가 궁금했는데
책을 펴면서 드는 생각은 굉장히 학술적인 내용들과 관념어들이 계속 등장해서
쉽게 읽혀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내용은 물론 좋다. 그런데 읽으려면 찬찬히 오랜 시간 생각하면서 읽어야 한다.
개인적인 부분부터 사회적인 부분까지 다루고 있고,
생각해보도록 질문하는 부분도 있기에 나는 먼저 이 분의 TED 강의를 접하고 오라고
권하고 싶다. 그렇다면 조금 더 편하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글을 읽으면서 불편하다고 어렵다고 여겼던 부분이 있는데,
번역 부분이다. 굉장히 딱딱하고 '나'라는 단어가 얼마나 많이 들어가 있는지,
굉장히 글이 자신을 과시하는 듯 느껴지고 논문을 읽는 듯한 느낌을 더한 것 같다.
조금 글체를 쉽게 풀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든다.
제목도 DARING GREATYL의 의미가 굉장히 좋은데, 왜 마음가면으로 했을까...
궁금하다. 영어 이름을 굉장히 추천한다. 의미도 크다. 기억하고 싶을 정도로.
다 읽는 데 시간이 좀 많이 들었다. 그리고 느낀 걸 적어놓거나 밑줄 쳐 놔야 나중에도
생각이 날 것 같다.
'YES24 리뷰어클럽 체험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