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19년 02월 01일 |
---|---|
쪽수, 무게, 크기 | 396쪽 | 586g | 153*225*24mm |
ISBN13 | 9791189404093 |
ISBN10 | 1189404095 |
출간일 | 2019년 02월 01일 |
---|---|
쪽수, 무게, 크기 | 396쪽 | 586g | 153*225*24mm |
ISBN13 | 9791189404093 |
ISBN10 | 1189404095 |
학교 교육이 교육과정 중심으로 진화하기 위해 거쳐야 할 첫 번째 플랫폼, 고교학점제 언제까지 학생들에게 입시 효율성을 앞세운 획일화된 교육과정을 강요할 것인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은 지식이 아닌 창의성을 기반으로 한 융합 능력을 키우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는 비단 우리나라만이 아닌 세계 교육의 흐름이기도 하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학생들의 다양성은 무시한 채 획일적인 교육 내용을 강제하는 방식은 점점 더 설득력을 잃어가고 있다. 학생들이 타고난 능력은 저마다 다른 만큼 그들 개개인이 역량이나 창의성 등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는 고유한 분야와 영역 또한 다르기 때문이다. 2018년 8월 교육부 발표에 따르면, 2022학년도부터 우리나라도 고교학점제가 전면 실시될 예정이다. 학점제는 이미 세계의 많은 교육 선진국들이 도입하고 있는 제도로서 단순한 프로그램 이상의 공교육 시스템 개혁안이다. 학점제란 출석만 하면 성취수준과는 별개로 무조건 졸업을 인정해주던 방식이 아니라, 이수해야 할 과목의 단위 수를 지정하고 과목별 이수조건, 즉 최소 성취기준을 획득해야만 졸업을 인정하는 제도를 말한다. 그리고 기존처럼 교육과정을 획일적으로 강제하는 방식이 아니라 기초소양을 기르기 위한 일부 과목을 제외하고 학생 각자의 적성과 진로, 관심 분야에 따라 과목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학생들의 선택권을 보장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과정의 개설이 필수적이다. 앞으로 고교학점제가 실시되면 학생 개개인의 다양성은 무시한 채 오직 입시 효율성만을 앞세워 비슷한 교육과정을 강제할 수 없다. 최소한의 필수과목을 제외하면 각 학생들의 진로와 관심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선택과목들을 고등학교 교육 안에서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학생 각자의 능력과 개성을 존중하는 맞춤형 교육이 실현될 것이다. 아울러 오로지 대학입시에만 종속되어 있는 현행 고등학교 교육을 정상화하는 데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REFACE_ 학교 교육, 교육과정 중심으로 진화하라! CHAPTER 01 왜 고교학점제인가? _교육 백년대계를 위한 진화의 플랫폼 01 책임교육의 관점에서 고교학점제를 바라보자 02 진로교육의 관점에서 바라보자 03 고교체제 개편의 관점에서 바라보자 04 혁신교육의 관점에서 바라보자 05 학교 자치와 교사의 자율성 관점에서 바라보자 CHAPTER 02 고교학점제는 미래교육의 피할 수 없는 흐름이다_교육과정 개정의 흐름 속에 존재하는 학점제 01 학생 선택 중심의 교육과정 도입 근거는? 02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학점제의 근거와 구성요소 03 고교학점제 도입과 성숙을 위한 제반조건 CHAPTER 03 선진국의 고등학교 교육을 엿보다_해외 사례를 통해 본 고교학점제 01 함께 협력하여 평등을 이뤄내는 핀란드의 교육 02 모두의 탁월성을 추구하는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교육 03 다양성을 포용하는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통합교육구 CHAPTER 04 공동교육과정 중심의 준고교학점제 운영과 성과_우리나라의 사례분석 1 01 준고교학점제 사례로서의 공동교육과정 02 따로 또 같이, 캠퍼스형 공동교육과정 03 마을이 곧 학교다, 마을교육과정 04 일반고 학생들에게도 다양한 교육 기회를, 교과중점학교 CHAPTER 05 고교학점제를 실시하고 있는 우리나라 학교들_우리나라의 사례분석 2 01 모든 학생의 성장을 생각하고 이끌어내는 인천신현고등학교 02 개방적이고 자율적인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도봉고등학교 03 맞춤형 진로교육과 교육역량 강화의 두 마리 토끼를 잡은 한서고등학교 04 자율이수 교육과정 운영을 표방하는 충남삼성고등학교 05 우리나라 고교학점제의 현주소와 향후 과제 CHAPTER 06 고교학점제, 어떻게 디자인할 것인가?_학점제가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 01 학점제 도입을 위해 우리가 극복해야 할 난점과 대안 02 고교학점제는 이미 오래전부터 시작되었다 03 고교학점제 정착을 위한 정책 디자인 제안 부록 ① 고교학점제 도입 관련 주요 쟁점/ 부록 ②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 사례분석 참고문헌 |
서점에서 구매한 책.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고교학점제와 관련하여 여러 방면에서 살피고 있는 책이다. 연수를 가거나 하면 대략적인 내용만 듣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단행본으로 읽게 되면 한 주제에 대해 조금 더 깊고 다양하게 살피고 생각할 수 있게 되어 좋다.
고교학점제를 책임교육, 진로교육, 고교체제 개편, 혁신교육, 학교자치와 교사의 자율성에서 살필 수 있다는 1장의 내용을 시작으로 외국과 우리나라의 사례 등을 들면서 이야기하고 있었다. 최근에 본 자료에서는 고교학점제를 학생 인권의 측면에서 살피고 있어 아, 이런 생각도 할 수 있겠구나 싶었는데 어쨌든 다양한 방면에서 고교학점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 같다.
이왕 진행되고 있다고 하니 학생이 줄어들고 있는 현실과, 다양성 교육이 필요한 미래교육의 요구 등이 맞물려 고교학점제가 잘 돌아갔으면 하는 생각을 해 본다. 다만, 교사 수업 부담과 업무 증가, 특히 학생지도의 문제 등은 잘 대비하지 않으면 되려 학교가 혼란스러워질 수도 있을 것이니만큼, 이에 대해서도 잘 준비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