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20년 08월 05일 |
---|---|
쪽수, 무게, 크기 | 493쪽 | 750g | 153*225*30mm |
ISBN13 | 9791189404369 |
ISBN10 | 1189404362 |
출간일 | 2020년 08월 05일 |
---|---|
쪽수, 무게, 크기 | 493쪽 | 750g | 153*225*30mm |
ISBN13 | 9791189404369 |
ISBN10 | 1189404362 |
모두의 책임교육을 실현하는 공교육 진화 플랫폼 『고교학점제,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이 책은 전작 『고교학점제란 무엇인가?』에 이어, 공교육의 근본적인 혁신을 도모하는 고교학점제가 우리 고등학교 현장에 제대로 안착하기 위해 갖춰져야 할 제반 조건 및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중심으로 이야기한다. 특히 소통과 협력이 원활한 학교문화 만들기, 누군가의 희생을 담보로 하거나 주먹구구식 관례가 아닌 합리적 규범에 근거한 체계적인 학교운영, 학생들이 주체가 된 과목 선택과 진로교육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교육과정의 운영 및 편성, 발달적 관점에서의 질적 평가 방안 및 공간의 융통성과 개방성을 높여 학점제에 최적화된 학교 공간혁신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으로 아우르는 한편, 실제 사례들과 경험자들의 인터뷰를 풍부하게 담았다. 또한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등학교를 위한 고교학점제 정책 및 교육과정 편성 방향과 실천 사례들도 함께 소개하고 있다. |
저자의 글_ 모든 학생의 꿈을 지원하는 교육과정 민주화를 향한 힘찬 시동, 고교학점제 CHAPTER 01 고교학점제와 미래교육 _ “공교육의 새로운 진화를 위한 플랫폼이 열리다!” 01 미래 교육과정, 어떻게 재구성할 것인가?/ 02 교육과정 주체들이 함께 참여하는 시스템 만들기 / 03 고교학점제 연착륙을 위한 정책,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 CHAPTER 02 고교학점제와 학교문화 _“왜 학교문화가 중요한가?” 01 우리가 학교문화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02 새로운 학교문화 창조를 위해 무엇을 극복해야 하는가? / 03 낡은 고정관념을 벗고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라 ! CHAPTER 03 고교학점제와 학교운영 _“학교, 무엇을 어떻게 혁신할 것인가?” 01 우리는 왜 협력적 소통에 주목하는가?/ 02 학교 업무를 재구조화하라! / 03 학사운영 관리를 재구조화하라! CHAPTER 04 교육과정과 진로교육 _“교육과정과 연계한 진로교육,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01 고교학점제는 진로교육의 도약대이다! / 02 진로에 따른 과목 선택,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 CHAPTER 05 고교학점제와 학교교육과정_“학교교육과정, 어떻게 편성할 것인가?” 01 학교교육과정의 의미와 절차를 알아보자!/ 02 학생중심 교육과정, 어떻게 편성할 것인가?/ 03 해외의 고교학점제 교육과정은 우리에게 어떤 시사점을 주는가? CHAPTER 06 고교학점제와 평가 _“양적 서열화에서 학생의 성장을 위한 질적 평가로!” 01 책임교육의 차원에서 평가를 바라보라!/ 02 고교학점제 안에서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CHAPTER 07 고교학점제와 학교 공간혁신 _“모두를 위한 학교 공간으로 다시 태어나다!” 01 학교 공간은 왜 중요한가?/ 02 고교학점제를 위한 학교 공간혁신의 기준은 어떻게 다른가?/ 03 사용자들이 함께 설계에 참여하는 학교 공간혁신 / 04 성공적인 학교 공간혁신을 위한 절차를 마련하라/ 05 국내의 고교학점제 학교 공간혁신 사례를 찾아서/ 06 해외 사례로 살펴보는 학교 공간혁신 아이디어 CHAPTER 08 특성화고등학교와 고교학점제 _“학교 본연의 정체성을 극대화하는 교육과정을 운영하라! 01 미래사회에 부응하는 특성화고등학교의 고교학점제/ 02 특성화고등학교 교육과정, 어떻게 편성할 것인가?/ 03 특성화고등학교를 위한 교육과정 운형모형의 개발 과정 특징/ 04 고교학점제에 따른 특성화고등학교의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모형/ 05 사례로 살펴보는 직업계고 학점제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 06 특성화고등학교 학점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 참고자료 |
2025년부터 시행된다는 고교학점제의 실천에 대해 여러 이야기들을 담고 있는 책.
이전에 고교학점제를 소개하는 책을 읽은 적이 있는데, 이 책은 실천 방안에 좀 더 주목하고 있는 점이 차이인 것 같다.
학생의 선택권, 진로희망, 가능성 등을 존중해 준다는 점에서 학점제가 의미있을 것 같긴 하지만, 여전히 교육 현장에선 걱정하는 목소리도 많은 것 같다. 교육부에서는 엋피 미래교육도 해야 하고, 시범학교에서 해 보니 그런대로 괜찮아 보이니 일단 실시해 보자는 입장인 것 같다. 하지만 언제는 시범학교에서 부정적인 결과가 나온 정책이 있었던가...
시스템이 바뀌면 과정과 결과도 나아질 것은 기대하는 것은 자연스럽다. 하지만 살아보니 시스템보다 중요한 것은 결국 '사람'이었다. 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식 전환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야 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어쨌든 교육과정도 고친다고 하고, 학교에 이런저런 지원도 있다고 하니 긍정적으로 보고 준비해야 할 것 같긴 하다. 이왕 실시되는 것, 민주적 학교운영을 바탕으로 말 그대로 아이들의 행복을 위해서 좀 더 나은 제도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