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이전

작가파일

김연수
金衍洙
국내작가 문학가
출생
1970년 출생
출생지
경상북도 김천
직업
소설가, 시인
데뷔작
가면을 가리키며 걷기
작가이미지
김연수
국내작가 문학가
경북 김천에서 태어나 성균관대 영문과를 졸업했다. 1993년 『작가세계』 여름호에 시를 발표하고, 1994년 장편소설 『가면을 가리키며 걷기』로 제3회 작가세계문학상을 수상하며 본격적인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장편소설 『꾿빠이, 이상』으로 2001년 동서문학상을, 소설집 『내가 아직 아이였을 때』로 2003년 동인문학상을, 소설집 『나는 유령작가입니다』로 2005년 대산문학상을, 단편소설 「달로 간 코미디언」으로 2007년 황순원문학상을, 단편소설 「산책하는 이들의 다섯 가지 즐거움」으로 2009년 이상문학상을 수상했다. 그 외에 장편소설 『7번국도 Revisited』 『사랑이라니, 선영아』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밤은 노래한다』 『원더보이』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 소설집 『스무 살』 『세계의 끝 여자친구』 『사월의 미, 칠월의 솔』, 산문집 『청춘의 문장들』 『여행할 권리』 『우리가 보낸 순간』 『지지 않는다는 말』 『소설가의 일』 『시절일기』 『대책 없이 해피엔딩』(공저)이 있다.
성균관대 영문과 졸업
우리는 데츠트보라든가, 니콜라예프스크 같은 한번도 들어보지 못한 낯선 단어들 속에서, 열병에 걸린 듯 현기증을 느끼며 사랑한다. 한번도 듣지 못하고, 보지 못하고, 맛보지 못하고, 만지지 못했던 것들이, 우리를 환상 속으로 이끄는 그 모든 낯선 감각의 경험들이 사랑의 거의 전부다. 밤은 노래한다 소설 쓰기의 비결을 묻는 사람이 많은데… 비결이 뭐 있겠어요. 이십 대 후반과 삼십 대 초반이 제일 힘들죠. 그때 회의도 들고, 다른 거 해 보고 싶은 생각도 많이 들고. 그 시기를 지나오는 게 막막해 다들 비결을 찾는데, 그 비결이라는 건 시간을 견디는 거라고 봐요. 소설을 쓰기 위해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야 하니까. 채널예스

수상경력

1994 제3회 작가세계문학상 『가면을 가리키며 걷기』
2001 제14회 동서문학상 『꾿빠이, 이상』
2003 동인문학상 『내가 아직 아이였을 때』
2005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2005 대산문학상 제13회 소설부문 『나는 유령작가입니다』
2007 황순원문학상 제7회 『달로 간 코미디언』
2009 이상문학상 『산책하는 이들의 다섯 가지 즐거움』

작가의 전체작품

작가의 추천

  • 김지연의 소설을 읽는 일은 쉽게 이해할 수 없는 인물들이 실은 그럴 법도 하다는 사실을 이야기로 확인하는 과정이다. 깊은 밤 왕릉 주위를 뛰어다니며 노래를 부르는 남자. 또 지갑 속에 죽은 전남편의 가족사진을 넣어 다니는 여자. 그들은 자신의 삶을 살아내기 위해 최선을 다했건만, 어느 날 갑자기 삶은 붕괴된다. 그 일은 두 번 일어난다. 처음에는 붕괴 그 자체로 외부에서, 그다음에는 그 붕괴에 아는 사람이 개입돼 있다는 사실을 알고 내부에서. 다른 한편에는 한 초등학생에게 잘못 전화했다가 그 김에 로또 번호를 묻는 사람이 있다. 그런 건 혼자 알아서 하라며 초등학생은 면박을 준다. 그런 씩씩한 초등학생의 삶에도 언젠가는 붕괴가 찾아올지 모른다. 첫번째 붕괴가 일어나면 그 이전으로 되돌아갈 수 없다. 그렇긴 해도 두번째 붕괴 다음에는 회복이 올지도 모른다. 너덜너덜, 상처투성이일지라도. 김지연의 소설을 읽고 나면 그런 이상한 안도감이 든다.
  • 어두운 흙 속에서만 새싹이 돋아나는 게 아니었다면, 차가운 겨울이 지나야만 따뜻한 봄이 찾아오는 게 아니었다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실의에 빠지고 슬퍼했을까? 행복한 사람들만이 자기를 사랑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면 말이다. 『내 이름은 태양꽃』은 어둠 속에 들어가면 누구나 묻게 되는 질문에 답하는 이야기다. 눈물은 왜 짜고 씨앗은 왜 단단할까? 눈물과 씨앗은 왜 모두 아래로 떨어지기만 하는 것일까? 그 낮고도 어두운 곳에서 과연 우리는 무엇을 배우는 것일까?

작가 인터뷰

  • [책읽아웃] 김연수 소설가 "괴로울 때 하는 일? 시급하게 나무를 본다" (G. 김연수 소설가)
    2023.07.27.
  • 김연수 “실패한 인생은 어떻게 계속되는가”
    2020.07.29.
  • 김연수 “왜 이렇게 나쁜 세계가 존재하는가”
    2014.11.20.
  • 김연수 “소설쓰기는 이별한 뒤에 한번 더 사랑하는 일” - 『원더보이』
    2012.03.09.
  • “이제는 우리, 사치스럽게 살아요” - 김연수 『우리가 보낸 순간』 『7번 국도』
    2011.01.13.
  • 소설을 쓰는 프로 소설가 김연수를 만나다
    2007.10.25.
  • 할 수 있는데까지 해보자, 작가 김연수
    2003.08.05.

작가의 동영상

작품 밑줄긋기

추**방 2025.06.03.
p.213
제가 사십 대가 되고 보니 '나이 듦'이 전과 다르게 다가오곤 해요. 주위의 많은 이들로부터 본인이 혹은 가족이 아프다는 이야기를 듣곤 하고요. 저 또한 몇몇 경험을 통해 바라는 게 작고 단순해졌습니다. 전에는 널리 알려진 비유처럼 '세월이 유수처럼' 흐르는 줄로만 알았는데, 세월은 강물처럼 흐르는 게 아니라 어느날 머리 위로 물벼락처럼 쏟아진다는 것 또한 알았습니다. (중략) - 김애란 작가의 인터뷰 내용 중

작가에게 한마디

  • 보수-좌파 정치를 떠나 순수하게 문화를 즐기고 싶은데, 기사를 보니 김연수작가가 탄핵인용을 촉구했더군요. 그 기사를 보고나선 해당 작가의 작품은 안보게 됩니다. 문화도 정치적 의견이 다르면 공감이 안되네요.

    i****g 2025.03.30. 오후 11:10:48
  • 책 재미있게 읽고 있어요

    사**감 2017.09.15. 오후 3:33:14
  • '전통적 소설 문법의 자장'이라고 소개되어있네요. 그래서 심히 깊게 집중하기가 힘든가봐요. 그런데, 묘하게도 또 읽어야겠다는 깊은 잠수를 탑니다. 암튼! 앞으로도 김연수 작가님의 소설을 천천히 읽어나가겠습니다. - 단편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을 2.5번 읽고나서 독자가...

    k*****9 2015.06.13. 오후 12:51:06
  • "왕 애독자입니다. 절판 또는 품절된 세 작품, 즉 가면을 가리키며 걷기, 7번 국도, 스무 살을 꼭 읽고 싶은데 언제 다시 출간할 계획은 없으신가요? 당분간 계획이 없다면 중고서점을 뒤지는 수밖에 없겠지만, 조만간 다시 출간한다면 기다렸다가 사 보게요. 다시 출간해 주시기를... "

    은**니 2010.03.28. 오전 7:30:42
  • 처음에는 해박한 지식, 그 다음에는 의외의 개그실력에, 마지막에는 세상에 대한 애정때문에 나를 놀라게 했던 작가입니다!! 같이 술 마시면 밤새 재미난 이야기 들려줄 것 같아요~

    m*****2 2008.09.01. 오후 9:3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