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백제 성곽연구와 한국 고고학
창람 최병식 박사 고희기념 논총 양장
가격
45,000
10 40,500
YES포인트?
2,25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백제사와 성곽 연구

■ 仁川 桂陽山城과 歷史的 脈絡 - 최몽룡(서울대 명예교수)
■ 백제 가림성에 대한 재조명 - 최병식(강남문화재단)
■ 인천 문학산성의 보존 관리 방안 - 사적 및 기념물을 중심으로 - 백종오(한국교통대학교)
■ 한성기 백제의 도성,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 신희권(서울시립대학교)
■ 한성백제 산성의 축성과 연구 검토 - 김병희(한성문화재연구원)
■ 漢城百濟 土築城郭 門址의 연구방향 - 김호준(국원문화재연구원)
■ 百濟 木柵에 대한 考察 - 황보 경(세종대학교 박물관)
■ 일제강점기 부여 부소산사지 출토 기와와 가람 - 윤용희(국립중앙박물관)
■ 고구려 안시성의 위치와 안시성주 전승의 추이 - 정호섭(고려대학교)
■ 몽촌토성 북문지 일원 통일신라 도로의 구조와 사용시기 - 박중균(한성백제박물관)
■ 세종시의 이성(李城)과 이도(李棹) - 백영종(한성문화재연구원)
■ 일본 고대산성의 연구동향 -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 무카이 카즈오(일본 고대산성연구회) / 번역: 송영진(경상국립대학교박물관)

한국 고고학

■ 慶安川 反芻 : 廣州 驛洞 靑銅器時代 遺蹟 - 하문식(연세대학교)
■ 부여 송국리 유적 최근 조사 성과와 과제 - 김경택 · 주동훈(한국전통문화대학교)
■ 청동기시대 제정분리(祭政分離) 양상과 여성의 역할에 대한 일 고찰 - 한반도 중서부지역을 중심으로 - 김선우(한국과학기술원)
■ 영혼의 나비 - 홍산문화 출토 나비형 옥기로 본 고대인의 생사관에 대한 접근 - 강인욱(경희대학교)
■ 인천 계양산성 출토 토기의 고찰 - 강진주(한국교통대학교)

저자 소개18

崔夢龍

1946년 9월 13일, 서울 종로구 가희동에서 출생하였다. 1968년 서울대 문리대 고고인류학과를 졸업하고 1971년 同대학원을 졸업(석사)하였다. 1978~1983년 미국 하버드대 인류학과에서 석사 및 철학박사과정을 마쳤다. 1971~1981년 전남대 사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1986년 서울대 인문대 부학장, 1995년 서울대 박물관장, 1987년 한국상고사학회장등의 활동을 하였다. 1999~2003년까지 문화재위원으로 일했으며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 명예교수로 현재 재직 중이다. 전라남도 도문화상(1976)을 수상한 경력이 있다. 저서로는『고고학 연구방법론』(공저,
1946년 9월 13일, 서울 종로구 가희동에서 출생하였다. 1968년 서울대 문리대 고고인류학과를 졸업하고 1971년 同대학원을 졸업(석사)하였다. 1978~1983년 미국 하버드대 인류학과에서 석사 및 철학박사과정을 마쳤다. 1971~1981년 전남대 사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1986년 서울대 인문대 부학장, 1995년 서울대 박물관장, 1987년 한국상고사학회장등의 활동을 하였다. 1999~2003년까지 문화재위원으로 일했으며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 명예교수로 현재 재직 중이다. 전라남도 도문화상(1976)을 수상한 경력이 있다.

저서로는『고고학 연구방법론』(공저, 1998, 서울대학교 출판부),『흙과 인류』(2000, 주류성),『한국지석묘 연구 이론과 방법』(편저, 2000, 주류성),『단군』(공저, 2001, 서울대학교출판부),『시베리아의 선사고고학』(공저, 2003, 주류성),『동북아 청동기시대 문화연구』(공저, 2004, 주류성),『한성시대의 백제와 마한』(공저, 2005, 주류성),『최근의 고고학 자료로 본 한국고고학·고대사의 신 연구』(2006, 주류성),『경기도의 고고학』(편저, 2007, 주류성),『한국사 1,2,4』(공저, 1997~2002, 국사편찬위원회),『고등학교 국사교과서』(공저, 1988년~2007, 5·6·7차),『韓國 考古學 硏究의 諸 問題』(2011, 주류성),『한국 선사시대의 문화와 국가의 형성』(2016. 주류성),『고고학으로 본 한국 상고사』(2016. 주류성) 등이 있다.

최몽룡의 다른 상품

강남문화재단 이사장이다.

최병식의 다른 상품

白種伍

단국대학교 역사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한국교통대학교 교양학부 한국사 전공 교수 및 박물관장으로 재직 중이며 한국고대학회 회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등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중국소재 고구려 유적과 유물 I~X』(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0~2022), 『요하유역의 청동기문화와 고조선』(지식산업사, 2018), 『발해 유적 사전』(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고구려 기와의 성립과 왕권』(주류성, 2006), THE HISTORY AND ARCHAEOLOGY OF THE KOGURYO KINGDOM(공저, HAVARDUNIVERSITY, 2018) 등이 있다.

백종오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한 뒤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중국사회과학원에서 고고학 전공으로 역사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95년부터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로 공직에 발을 들인 후 학예연구관을 거쳐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장과 국립고궁박물관 유물과학과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는 서울시립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후학들을 양성하고 있다. 1997년부터는 백제의 왕성으로 알려진 풍납토성 발굴조사를 주도하며 백제의 국가 형성과 도성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2007년과 2008년에 경복궁 광화문과 숭례문 발굴의 책임을 맡으면서, 조선시대 궁궐과 도성으로 연구 영역을 넓혀 나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한 뒤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중국사회과학원에서 고고학 전공으로 역사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95년부터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로 공직에 발을 들인 후 학예연구관을 거쳐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장과 국립고궁박물관 유물과학과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는 서울시립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후학들을 양성하고 있다. 1997년부터는 백제의 왕성으로 알려진 풍납토성 발굴조사를 주도하며 백제의 국가 형성과 도성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2007년과 2008년에 경복궁 광화문과 숭례문 발굴의 책임을 맡으면서, 조선시대 궁궐과 도성으로 연구 영역을 넓혀 나가고 있으며 현재 문화재청 및 서울시 문화재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국가 형성의 고고학』(공저),『성곽조사 방법론』(공저),『금석문으로 백제를 읽다』(공저)가 있고, 논문으로는 「풍납토성(風納土城) 발굴조사를 통한 하남위례성(河南慰禮城) 고찰」, 「백제 한성시대 도성제도에 관한 일고찰 : 양궁성제도(兩宮城制度)를 중심으로」, 「한양도성 축조기법 연구」 등이 있다.

신희권의 다른 상품

한성문화재연구원
국원문화재연구원
세종대학교 박물관
서울 인왕산 자락에서 태어나 경복궁 서쪽 동네에 살며 초중고를 다녔다. 성균관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고고학을 전공하며 석사와 박사를 마쳤다. 서울, 경기지역의 사찰과 건물터를 조사하며 기와를 공부하기 시작했고, 국립박물관에 들어가면서 백제 기 와를 본격적으로 연구하였다. 경주, 김해 등 여러 박물관을 거치며 신라와 가야 지역의 기와에도 관심을 가지고 조사 연구하였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로 재직 중이다. 한국기와학회 부회장, 한국고대학회 연구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논저는 『청양 왕진리 가마터』 발굴보고서, 『기와에 담긴 700년의 숨
서울 인왕산 자락에서 태어나 경복궁 서쪽 동네에 살며 초중고를 다녔다. 성균관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고고학을 전공하며 석사와 박사를 마쳤다. 서울, 경기지역의 사찰과 건물터를 조사하며 기와를 공부하기 시작했고, 국립박물관에 들어가면서 백제 기
와를 본격적으로 연구하였다. 경주, 김해 등 여러 박물관을 거치며 신라와 가야 지역의 기와에도 관심을 가지고 조사 연구하였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로 재직 중이다. 한국기와학회 부회장, 한국고대학회 연구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논저는 『청양 왕진리 가마터』 발굴보고서, 『기와에 담긴 700년의 숨결, 백제와전』 전시도록, 『기와, 공간을 만들다』 전시도록, 『한국 고대 기와 생산유적 자료집』, 「여주 원향사지의 역사적 성격에 대한 일고찰」, 「남한강 유역 출토 고려전기 평기와 고찰」, 「백제 사비기의 공예 기술과 일본 초기불교와의 관계」, 「백제 와전문화의 형성과 전개과정」, 「사비시기 와전문화의 전개와 변천과정」, 「백제 수면문와당에 대한 일고찰」, 「경주 동궁과 월지 출토 귀면와」, 「6~7세기 사비기 백제 막새」, 「한국 고대의 기와, 그리고 가야」, 「일제강점기 부여 부소산사지 발굴조사 출토 기와 고찰」, 「중국 齊와 燕의 기와 제작기법 검토」, 「백제 치미의 특징과 변천」, 「풍납토성 출토 수막새의 현황과 변천에 대한 일고찰」, 「신라 귀면와의 문양 형식과 변천에 관한 일고찰」 등이 있다.

윤용희의 다른 상품

鄭好燮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주류성, 2018), 『고구려사와 역사인식』(새문사, 2016), 『고구려 고분의 조영과 제의』(서경문화사, 2011) 등이 있다.

정호섭의 다른 상품

한성백제박물관
한성문화재연구원

무카이 카즈오

관심작가 알림신청
 
일본 고대산성연구회

河文植

연세대학교 사학과 파른 기념교수로 재직중이다. 충북대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연세대와 숭실대 대학원에서 수학하였다. 저서로는 『古朝鮮 地域의 고인돌 硏究』(1999년)와 『고조선 사람들이 잠든 무덤』(2016년)이 있고, 『中國東北地區石棚硏究』(2019년)를 우리말로 옮겼다.

하문식의 다른 상품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융합고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한국선사고고학 전공) 졸업 후 미국 오리건대학교(University of Oregon)에서 복합사회(complex society) 연구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북아 청동기시대 문화 연구』와 『와질토기 논쟁고』 등을 공동 집필했고, 『족장사회의 정치권력』과 『구미고고학의 관점에서 본 한국고고학』 등을 번역하였다.

김경택의 다른 상품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경희대학교

관심작가 알림신청
 
경희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품목정보

발행일
2022년 06월 07일
판형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536쪽 | 1548g | 188*252*35mm
ISBN13
9788962464795

출판사 리뷰

지난 30여 년 동안 한국 사학계와 고고학계에 꼭 필요한 도서를 출간해온 전문 출판인
창람 최병식 박사의 고희를 맞아 17편의 논문을 모아 기념논총을 발간하였다.


창람 최병식 박사의 고희기념 논총이 발간되었다. 창람 최병식 박사는 주류성출판사와 계간 한국의 고고학 대표이자 발행인으로서 1994년 주류성출판사를 창업한 이후 한국사 특히 고대사와 고고학 분야에서 상당한 출판물을 발간하고 있는 현역 출판인이다.

최병식 박사는 고고학이라는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일천하던 시절, ‘인문학의 꽃’이라 할 수 있는 고고학이라는 콘텐츠를 출판에 접목하여 고고학 전문 도서를 출판해왔다. 또한, 한국 고대사에서 연구자료가 가장 빈약했던 백제 문화의 전승과 재발견이라는 모토를 구현하면서 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새롭게 조명한 ‘백제를 다시본다’ 등 다양한 백제사 관련 도서를 출간하였으며, 백제 문화의 집대성이라 할 수 있는 ‘백제역사문고’ 전 33권을 출간하기도 하였다.

최근에는 역사 연구자들에게는 기본적인 연구데이터로 역할 하는 ‘한국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6권(원서 3권, 번역서 3권)을 비롯하여 동아시아 기록문화를 총망라하는 한국목간총람, 일본목간총람(전 3권), 중국목간총람(전 2권)과 ‘21세기 한국고대사’, ‘우리 시대의 한국고대사’ 등 한국고대사의 기초 연구 자료가 되는 도서를 발간하였고 초등 한국사’ 시리즈, ‘쏙쏙 한국사’ 시리즈, ‘참한국사’ 시리즈, ‘신한국통사’ 등 어린이 및 한국사검정시험 응시자들을 위한 도서를 발간하고 있다.

이밖에도 고구려, 신라, 발해, 고려, 가야 등 우리 고대사의 중요한 이슈와 고고학적 연구자료들을 정리한 많은 도서를 출간하였으며, 고고학과 고대사 분야에서 그 지평을 더욱 넓혀 고대사 전반과 중근세사까지 두루 섭렵하는 역사 및 고고학 전문 콘텐츠를 출판하고 있다. 그 결과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선정하는 세종도서 및 대한민국학술원에서 선정하는 우수학술도서와 우수교양도서에 40여종의 도서가 선정되는 등 한결같은 노력을 인정받고 있다.

한편, 주류성출판사는 학술서 전문 출판사의 공고한 위상을 바탕으로 인문 교양서 및 대중 교양서 분야에서도 ‘한 권으로 읽는 우리 예술 문화’, ‘병자년 남한산성 항전일기’, ‘난중일기’, ‘징비록’, ‘당나라 역대 황제 평전’, ‘신안 보물선의 마지막 대항해’ ‘박물관 큐레이터로 살다’ 등 다양한 타이틀로 대중 독자에게 사랑받는 종합출판사로 성장하고 있다. 이와 함께 최병식 박사는 고고학 콘텐츠 전문 출판사의 경험과 연륜을 바탕으로 〈계간 한국의 고고학〉이라는 대한민국 유일의 고고학 정론 잡지를 발간하고 있다.

〈계간 한국의 고고학〉은 인문학의 꽃인 고고학을 집중적으로 소개하는 잡지로서 우리나라는 물론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지역 국가의 고고학 발굴 현장의 소식 및 성과, 정보 등을 전면 컬러 사진으로 편집하여 높은 가독성으로 독자들의 호평을 얻고 있다. 〈계간 한국의 고고학〉은 국내의 고고학 연구자 및 학술기관과 미국, 일본, 중국 등지의 일반 독자와 학자, 학술기관 등에 보급 판매되고 있다.

이밖에도 주류성출판사 최병식 대표는 한국성곽학회, 고려문화재연구원, 국방문화재연구원, 한성문화재연구원 등 유수의 학술기관 및 문화재발굴기관의 이사로 재직하면서 우리나라 고고학 발전에 기여하는 연구자의 역할을 다해 왔다. 역사학회, 한국고대사학회, 백제학회, 한국목간학회, 한국상고사학회, 백제문화개발연구원 등 학회 및 학술단체에서 출간하는 각종 학회지 및 보고서, 학술총서의 출판을 지원하여 기초학문육성 및 학술 진흥에 힘쓰고 있다. 또한, 국립문화재연구소, 부여고도보존센터, 경희대학교 고대사연구소, 인하대학교 고조선연구소,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재연구소, 한국전통대학교 등과의 업무 제휴와 협조로 많은 보고서와 학술도서를 위탁 출판하여 학술기관과 일반 독자 사이를 잇는 가교 역할을 다하고 있다.

이번에 발간된 〈百濟 城郭硏究와 韓國 考古學〉은 최병식 박사가 지난 30여 년 동안 한결같이 지향해온 학문적 태도와 역사학계에 끼친 공헌을 높이 평가해온 역사학계와 고고학계, 발굴조사연구기관 등의 교수와 연구자들이 대거 참여하여 고희기념 논총을 발간하게 된 것이다.

이번 논총은 제1부 백제사와 한국 성곽, 제2부 한국 고고학으로 나누어 제1부 백제사와 한국 성곽편에서는 서울대 명예교수인 최몽룡 교수의 논문을 필두로 12편의 논문을 담았다. 제2부 한국 고고학편에서는 하문식 연세대 교수의 논문을 비롯하여 모두 5편의 논문으로 구성되었다.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40,500
1 4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