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고구려통사 - 총론 편
가격
30,000
5 28,500
YES포인트?
600원 (2%)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고구려통사

책소개

목차

책머리에

1 고구려사란 무엇인가

1장 고구려사의 전개와 역사적 성격 / 임기환
1. 고구려사의 시간·공간 범위
2. 고구려사의 시기구분
3. 고구려사의 역사적 성격

2 고구려사 연구동향

2장 조선 후기~1970년대, 고구려사 연구의 태동 / 이정빈
1. 근대적 연구의 여명과 광개토왕비 발견
2. 기원·종족 계통 및 시공간의 탐색
3. 발전단계론을 중심으로 한 역동적 변화상 탐구

3장 1980~1990년대, 새로운 장을 연 고구려사 연구 / 김현숙
1. 정치체제와 정치사 연구
2. 초기 왕계 연구
3. 건국신화, 기원, 주민 구성 연구
4. 광개토왕비 연구의 새로운 국면
5. 대외관계, 유민 및 기타 연구
6. 1980~1990년대 연구의 특징과 한계

4장 2000년대 이후, 고구려사 연구의 비약적 성장과 심화 / 정호섭
1. 사료 연구
2. 정치사 연구
3. 지방통치와 관방체계 연구
4. 대외관계와 영역 변천 연구
5. 도성과 왕릉 연구
6. 종교와 문화 연구
7. 천하관과 기타 연구
8.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인식 논쟁

3 고구려사 연구자료

5장 국내 문헌사료 / 임기환
1. 『삼국사기』 고구려 관련 기사
2. 『삼국유사』 고구려 관련 기사
3. 『동명왕편』, 『제왕운기』, 『해동고승전』의 고구려 관련 기사

6장 국외 문헌사료 / 이성제
1. 『한서』·『후한서』·『삼국지』 고구려 관련 기사
2. 고구려 중기사 관련 사서
3. 고구려 후기사 관련 사서

7장 금석문과 문자자료 / 여호규
1. 금석문·문자자료의 현황과 문자문화
2. 고분 묵서와 무덤 주인공의 성격
3. 광개토왕릉비와 집안고구려비
4. 충주고구려비의 구성 내용과 건립시기
5. 고구려 유민묘지명의 현황
6. 의의와 과제

8장 고고·미술자료 / 양시은
1. 도성과 성곽
2. 고분과 벽화
3. 유물

찾아보기

저자 소개6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서울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에서 예비 교사들에게 한국사를 가르치고 있다. 지은 책으로 『고구려 정치사 연구』, 동료들과 함께 지은 『고구려 유적의 어제와 오늘』, 『현장 검증 우리 역사』, 다른 책으로 『우리 역사 속 왜』, 『동북아시아 선사 및 고대사 연구의 방향』, 『온달, 바보가 된 고구려 귀족』, 『부여사와 그 주변』, 『고구려 왕릉 연구』(이상 공저) 등이 있다. 요즘은 ‘박물관에서 우리 역사 배우기’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어린이들이 박물관을 탐방하며 체험하듯이 역사를 재미있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서울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에서 예비 교사들에게 한국사를 가르치고 있다. 지은 책으로 『고구려 정치사 연구』, 동료들과 함께 지은 『고구려 유적의 어제와 오늘』, 『현장 검증 우리 역사』, 다른 책으로 『우리 역사 속 왜』, 『동북아시아 선사 및 고대사 연구의 방향』, 『온달, 바보가 된 고구려 귀족』, 『부여사와 그 주변』, 『고구려 왕릉 연구』(이상 공저) 등이 있다. 요즘은 ‘박물관에서 우리 역사 배우기’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어린이들이 박물관을 탐방하며 체험하듯이 역사를 재미있게 공부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을 썼다.

임기환의 다른 상품

2002년 2월 경희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2013년 8월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육군사관학교 사학과 전임강사,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을 역임했다. 2017년 9월부터 충북대학교 역사교육과 조교수로 재직했다. 경희대학교 사학과 부교수. 저서로 『일제시기 만주사?조선사 인식』(공저, 2009, 동북아역사재단), 『한국 고대사와 사이비역사학』(공저, 2017, 역사비평사), 『동북공정 이후 중국의 고구려사 연구 동향』(공저, 2017, 역사공간) 등이 있고, 논문으로 「고구려 東盟의 정치의례적 성격과 기능」(2006, 『한국
2002년 2월 경희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2013년 8월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육군사관학교 사학과 전임강사,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을 역임했다. 2017년 9월부터 충북대학교 역사교육과 조교수로 재직했다. 경희대학교 사학과 부교수. 저서로 『일제시기 만주사?조선사 인식』(공저, 2009, 동북아역사재단), 『한국 고대사와 사이비역사학』(공저, 2017, 역사비평사), 『동북공정 이후 중국의 고구려사 연구 동향』(공저, 2017,
역사공간) 등이 있고, 논문으로 「고구려 東盟의 정치의례적 성격과 기능」(2006, 『한국고대사연구』 41), 「고구려 태학 설립의 배경과 성격」(2014, 『한국교육사학』 36-4), 「신라 중고기의 赴防과 군역」(2016, 『역사와 현실』 97), 「「천남생묘지」에 보이는 將軍과 7세기 고구려의 군사 운용」(2016, 『한국고대사탐구』 22), 「단군신화의 비대칭적 세계관과 고조선의 왕권」(2016, 『인문학연구』 31) 등이 있다.

이정빈의 다른 상품

동북아역사재단 수석연구위원 『고구려의 왕과 왕자들』(동북아역사재단, 2019), 『고구려 남자, 고구려 여자』(동북아역사재단, 2019), 『고구려의 영역지배방식 연구』(모시는사람들, 2005), 「박물관 전시를 통해 본 중국의 고구려사 인식」(『고구려발해연구』 71, 2021), 「고구려 초기 王城의 위치와 國內 遷都」 (『先史와古代』 54, 2017), 「集安高句麗碑의 건립시기와 성격」(『한국고대사연구』 72, 2013)

김현숙의 다른 상품

鄭好燮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주류성, 2018), 『고구려사와 역사인식』(새문사, 2016), 『고구려 고분의 조영과 제의』(서경문화사, 2011) 등이 있다.

정호섭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1~4세기 고구려 정치체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고대사학회 총무이사, 고구려발해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역사연구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고구려사를 중심으로 한국 고대의 정치사와 국제관계사를 폭넓게 연구하고 있다. 이와 함께 왕궁이나 도성 등 공간에 담긴 역사상을 규명하기 위해 실증 연구와 이론 모색을 다각도로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고구려 성 I?II》(1998?1999), 《아 그렇구나 우리역사 ③: 고구려》(2004), 《고구려 초기 정치사 연구》(201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1~4세기 고구려 정치체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고대사학회 총무이사, 고구려발해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역사연구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고구려사를 중심으로 한국 고대의 정치사와 국제관계사를 폭넓게 연구하고 있다. 이와 함께 왕궁이나 도성 등 공간에 담긴 역사상을 규명하기 위해 실증 연구와 이론 모색을 다각도로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고구려 성 I?II》(1998?1999), 《아 그렇구나 우리역사 ③: 고구려》(2004), 《고구려 초기 정치사 연구》(2014), 《삼국시대 고고학개론 1》(공저, 2014), 《한국고대사 1》(공저, 2016), 《내일을 여는 한중관계사》(공저, 2019), 《중국 소재 고구려 유적과 유물 I~X》(공저, 2020~2022) 등이 있다.

여호규의 다른 상품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논저: 『발해 고고학』(공저, 진인진, 2021), 『고구려 고고학』(공저, 진인진, 2020), 『흉노』(공저, 진인진, 2017), 『고구려 성 연구』(진인진, 2016), 「高句麗 都城制 再考」(『한국상고사학보』 112, 2021), 「오녀산성의 성격과 활용 연대 연구」(『한국고고학보』 116, 2020)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고분과 유물을 통해 본 고구려와 모용선비의 문화교류 양상」(『고고학』 21-2, 2022), 「고구려 도성제 재고」(『한국상고사학보』 112, 2021), 「오녀산성의 성격과 활용 연대 연구」(『한국고고학보』 116,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논저: 『발해 고고학』(공저, 진인진, 2021), 『고구려 고고학』(공저, 진인진, 2020), 『흉노』(공저, 진인진, 2017), 『고구려 성 연구』(진인진, 2016), 「高句麗 都城制 再考」(『한국상고사학보』 112, 2021), 「오녀산성의 성격과 활용 연대 연구」(『한국고고학보』 116, 2020)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고분과 유물을 통해 본 고구려와 모용선비의 문화교류 양상」(『고고학』 21-2, 2022), 「고구려 도성제 재고」(『한국상고사학보』 112, 2021), 「오녀산성의 성격과 활용 연대 연구」(『한국고고학보』 116, 2020) 등이 있다.

양시은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4년 11월 29일
쪽수, 무게, 크기
462쪽 | 964g | 158*233*28mm
ISBN13
9791171611454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28,500
1 28,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