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역동적 한국인의 미래
개인과 존중의 시대를 향해
가격
18,000
10 16,200
YES포인트?
9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역동적 한국인 총서

책소개

목차

서문

Ⅰ. 역동적 한국인: 행위 양식들의 교차 … 15

1. 가족·연고주의와 실용주의 … 19
2. 가족·연고주의와 집단주의 … 22
3. 가족·연고주의와 평등주의 … 26
4. 집단주의와 평등주의 … 28
5. 집단주의와 실용주의 … 31
6. 집단주의와 민족주의 … 35
7. 민족주의와 가족·연고주의 … 37
8. 민족주의와 평등주의 … 40
9. 실용주의와 민족주의 … 42
10. 실용주의와 평등주의 … 45

Ⅱ. 한국사회의 변화와 역동적 한국인의 전환: 전환의 1990년대 … 49

1. 1980년대 이후 다이나믹 코리아의 변화 … 51
(1) 한국의 경제성장 : 집단주의 성장의 역동성, 대중 소비사회로 … 51
(2) 한국의 정치발전: 평등주의 정치발전과 사회분화 … 60
(3) 한국 사회의 변화: 개인주의(개인화) 시대의 도래 … 62

Ⅲ. 역동적 한국인과 행위 양식들의 미래 … 83

1. 가족, 가족주의의 미래 … 85
(1) 가족의 변화와 새로운 가족 개념 … 85
(2) 개인화, 개인주의와 가족주의 … 92
(3) 법과 제도의 변화를 통한 가족 유대의 변화 101
(4) 가족주의의 종언? … 105
2. 세계화·정보화·민주화 시대의 민족주의 … 109
3. 민주화 이후의 평등주의 … 127
(1) 1980년대 이후 평등주의의 발전과 그 한계 … 128
(2) 공정성에 대한 불만과 평등주의의 과잉 … 133
(3) 위계서열사회와 인격적 차별주의 … 139
(4) 인격적 위계서열주의의 해체와 평등한 언어생활 … 144
(5) 평등주의의 미래 … 147
4. 대중 소비사회의 실용주의 … 167
5.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 178
(1) 형제애(fraternity)적 우리: ‘동지적 친구’와 구성적 공동체 … 180
(2) ‘앞서가는 우리/보편화된 우리’의 민주화, 그리고 ‘유목민으로서의 우리’ … 185
(3) 개인적 자유를 향한 문화적 대중과 ‘연결된 우리’의 정치화 … 191

Ⅳ. 역동적 한국인의 미래는? … 199

참고 문헌 … 217

저자 소개6

성공회대학교 민주주의연구소 부소장 겸 전임 연구교수. 역동적 한국인(다이내믹 코리안) 연구의 전체를 아우르는 역할, 총서 7권 『역동적 한국인의 미래』 주요 집필.

오유석의 다른 상품

金東春

사회학자. 서울대학교 사범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사회학과에서 「한국 노동자의 사회적 고립」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비판적 사회학자로 학계와 시민운동 진영에서 활동하면서 『역사비평』 편집위원, 『경제와사회』 편집위원장, 참여연대 정책위원장, 참여사회연구소 소장을 역임했고,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상임위원으로 활동했다. 현재 성공회대학교 사회융합자율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같은 대학 민주주의연구소 소장으로서 학교 민주시민교육 과제를 수행 중이다. 제20회 단재상과 제10회 송건호 언론상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반공자유주의』 『대한민국은 왜?』 『한국
사회학자. 서울대학교 사범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사회학과에서 「한국 노동자의 사회적 고립」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비판적 사회학자로 학계와 시민운동 진영에서 활동하면서 『역사비평』 편집위원, 『경제와사회』 편집위원장, 참여연대 정책위원장, 참여사회연구소 소장을 역임했고,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상임위원으로 활동했다. 현재 성공회대학교 사회융합자율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같은 대학 민주주의연구소 소장으로서 학교 민주시민교육 과제를 수행 중이다. 제20회 단재상과 제10회 송건호 언론상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반공자유주의』 『대한민국은 왜?』 『한국인의 에너지, 가족주의』 『사회학자 시대에 응답하다』 『이것은 기억과의 전쟁이다』 『전쟁과 사회』 『미국의 엔진, 전쟁과 시장』 『독립된 지성은 존재하는가』 『분단과 한국사회』 『한국 사회과학의 새로운 모색』 『한국사회 노동자 연구』 등이 있다.

김동춘의 다른 상품

서울대 법학사, 사회학 석사를 거쳐 미국 버지니아대학교(University of Virginia)에서 박사학위(Ph. D. in Sociology)를 취득하였다. 이후 성공회대학교 사회문화연구원 연구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경북대학교 사회학과 강사로 재직하고 있다. 2007년 오바마와 문국현의 온라인 지지자 정치참가 메커니즘을 분석한 학위논문 당시의 주요한 연구 주제는 집합행동과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뉴)미디어와 사회변동, 집합행동과 여론의 사회심리학 등이었다. 최근에는 한국 현대성에 특징적인 정치문화와 행위양식의 정치·사회사상적 요체와 사회적 조건을 요약하고 비교사회적 분석으로
서울대 법학사, 사회학 석사를 거쳐 미국 버지니아대학교(University of Virginia)에서 박사학위(Ph. D. in Sociology)를 취득하였다. 이후 성공회대학교 사회문화연구원 연구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경북대학교 사회학과 강사로 재직하고 있다. 2007년 오바마와 문국현의 온라인 지지자 정치참가 메커니즘을 분석한 학위논문 당시의 주요한 연구 주제는 집합행동과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뉴)미디어와 사회변동, 집합행동과 여론의 사회심리학 등이었다. 최근에는 한국 현대성에 특징적인 정치문화와 행위양식의 정치·사회사상적 요체와 사회적 조건을 요약하고 비교사회적 분석으로 검증하는 동시에 그 일반이론적 함의를 정교화하는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저서로 『꿈의 사회학』(다산출판사, 2018, 공저), 『차별과 연대: 집단, 열광, 미디어의 사회심리학』(나경, 2014, 공저)이 있고 최근에는 「〈진격의 거인〉이 꾼 꿈과 그 발달 서사의 현대적 함의」, 「한국 정치적 현대성의 젠더화된 구조와 가내성(家內性)의 정치적 부상」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구자혁의 다른 상품

1964년생으로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입학하여 사회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사회이론, 시민사회이론, 정치사회학, 사회운동론, 환경사회학 등을 연구하고 있다. 지금은 전북대학교 사범대 일반사회교육과 교수로 재직하며, 비판사회학회 이사 겸 『경제와 사회』 편집위원, 한국환경사회학회 감사, 중앙노동위원회 산하 전북지방노동위원회 조정담당 공익위원, 참여연대 부설 참여사회연구소 부소장 겸 『시민과 세계』 편집위원, 전주비정규노동네트워크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행복의 사회학』(책읽는수요일, 2014),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공저, 한울출판사, 2012), 『시민사회의
1964년생으로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입학하여 사회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사회이론, 시민사회이론, 정치사회학, 사회운동론, 환경사회학 등을 연구하고 있다. 지금은 전북대학교 사범대 일반사회교육과 교수로 재직하며, 비판사회학회 이사 겸 『경제와 사회』 편집위원, 한국환경사회학회 감사, 중앙노동위원회 산하 전북지방노동위원회 조정담당 공익위원, 참여연대 부설 참여사회연구소 부소장 겸 『시민과 세계』 편집위원, 전주비정규노동네트워크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행복의 사회학』(책읽는수요일, 2014),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공저, 한울출판사, 2012), 『시민사회의 다원적 적대들과 민주주의』(후마니타스, 2007), 『사회이론의 구성』(한울, 2003, 대한민국학술원 2003년도 우수학술도서 선정)이 있고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정태석의 다른 상품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공회대학교 민주주의연구소 연구교수, [경제와 사회] 편집위원을 역임하였고, 현재 민주연구원 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87년 체제를 넘어서』(한울 아카데미, 2010, 2011년 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거대한 운동에서 차이의 운동들로』(공편저, 한울, 2010, 2011년 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왜 노무현은 성공했는데 안철수는 실패했을까?-창조적 진보세대의 탄생』(글바당, 2015년) 등이 있고,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김정훈의 다른 상품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연세대, 성공회대 연구교수를 역임하며 사회운동, 지속가능발전과 협치, 도시지속가능성을 연구했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서 ‘배우고 가르치는 이’로 근무하다가 사직하고 현재는 중국 남경대학 정부관리학원에서 공부하고 있다. 저서로는 『시민과의 약속 매니페스토』(공저, 이학사, 2011,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우수저작 선정), 『갈등을 넘어 협력사회로: 로컬거버넌스시대의 지방의제21과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공저, 살림터, 2014, 한국연구재단 우수저작 지원 선정), 『박정희 시대 학생운동-유신체제하 대학생의 저항적 정체성은 어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연세대, 성공회대 연구교수를 역임하며 사회운동, 지속가능발전과 협치, 도시지속가능성을 연구했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서 ‘배우고 가르치는 이’로 근무하다가 사직하고 현재는 중국 남경대학 정부관리학원에서 공부하고 있다.
저서로는 『시민과의 약속 매니페스토』(공저, 이학사, 2011,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우수저작 선정), 『갈등을 넘어 협력사회로: 로컬거버넌스시대의 지방의제21과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공저, 살림터, 2014, 한국연구재단 우수저작 지원 선정), 『박정희 시대 학생운동-유신체제하 대학생의 저항적 정체성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한신대출판부, 2014), 『열린사회와 21세기: 마을에서 희망을 찾다.』(공저, KNOUPRESS), 『함께 만드는 마을, 함께 누리는 삶: 한국형 마을만들기의 역사·이론·실제(공저, 지식의 날개, 2015), 『시민행동지수로 본 한국시민사회역량』(공저, 유나기획, 2020) 등이 있고 『지속가능성의 도전』(공역, 2013, 도요새, 환경부 우수환경도서 선정) 등의 번역서가 있다. 최근 논문으로는 「한국 지방 SDGs 교육의 현황과 과제」(2020), 「한국 도시 SDGs 이행의 보편성과 지역성」(2020), 「SDGs를 통한 대학교육 혁신과 대학의 사회적 역할 제고를 위한 연구」(2020) 등이 있다.

이창언 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2년 08월 30일
쪽수, 무게, 크기
224쪽 | 153*225*20mm
ISBN13
9788998408374

책 속으로

한국인들은 여전히 서구 사람들에 비해 집단주의적이고, 가족주의적이며, 민족주의적이다. 또한 ‘빨리빨리’ 문화라는 실용주의를 여전히 갖고 있고, 평등주의적 의식도 강하다. 지금은 서양 선진국 사람들처럼 개인적 공간과 시간에 상당한 가치를 두는 개인주의도 강화되고 있다.
--- p.212

이제 한국, 한국인은 새로운 여정을 시작하고 있다. 더구나 지금은 추적자가 아니라 선도자로서의 여정의 출발점이다. 이제 우리의 인식과 행동은 이제까지 인류가 만들어내지 못한 새로운 경험을,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내는 것일 수 있다. 이 여정에서 우리는 여전히 역동적일 수 있을까? 지금 우리가 아는 것은 한국의 근현대사는 역동적이었으므로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그러한 역동성이 우리를 모두가 풍요로운 사회, 모두가 존중받는 사회, 함께 연대하는 사회로 안내할 것이다.

--- p.215

출판사 리뷰

1980년대 이후 시민들의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은 여러 차례의 거대한 촛불집회와 함께 민주화운동, 노동운동, 여성운동, 반전평화운동, 환경운동, 소수자운동 등 다양한 사회운동들로 표출되었고, 동시에 개인적 성공을 위한 열망들도 부동산 투자, 주식 투자, 입시경쟁 등으로 표출되기도 했다. 또한 경제발전과 민주주의 발전으로 국제적으로 선진국 지위를 인정받는 시대로 오는 동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개인주의가 발달하여 문화적 다양성과 개방성이 커지면서, 자신감에 기반한 다양한 역동적 활동들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인터넷과 플랫폼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사회, 지식정보사회, 다양한 서비스산업이 발달하고 있는 서비스사회, 환경파괴와 기후위기로 생존이 불안정해지고 있는 위험사회에서 한국인의 역동성이 한국사회의 모습을 어떻게 바꿔놓을지는 미지수이다.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16,200
1 16,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