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역동적 한국인의 탄생
한국인의 5가지 에너지를 분석한다
가격
18,000
10 16,200
YES포인트?
9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역동적 한국인 총서

책소개

목차

서문 ……5

Ⅰ. 역동적 한국인(Dynamic Korean) 의 출현 ……15

1. 한국인은 어떻게 자신의 역동성을 긍정하게 되었나? ……17
2. 왜 우리는 ‘다이내믹 코리안’에 주목하게 되었나? ……25

Ⅱ. 한국인을 바라보는 시선의 역사(1880-1980) ……31

1. 외국인의 눈에 비친 한국인 ……34
(1) 구한말 서양인에게 비친 한국인 ……36
(2) 일제 강점기 일본인의 한국인론 ……51
(3) 해방 후 외국인이 본 한국인 ……57
(4) 종합: 외국인이 본 한국과 한국인 ……61

2. 한국인의 눈에 비친 한국인 ……67
(1) 현대적 한국인론의 출발점: 식민지 지배에 대응한 ‘조선인론’ ……69
(2) 해방, 한국전쟁, 그리고 이승만 정부 전후 시기의 한국인론 ……74
(3) 4.19혁명과 1960년대 산업화 시기 이후의 한국인론 ……79

Ⅲ. 역동적 한국인의 역사와 이론적 접근 ……87

1. 역동적 한국인의 역사적 형성 ……90
(1) 조선 말, 일제의 억압과 민중의 저항 ……91
(2) 일제 강점기와 해방 후 기독교의 확산과 역동성 ……98
(3) 해방과 분단, 전쟁의 고통 속에서 피어난 교육 열망 ……102
(4) 산업화: ‘자신감’, 헌신 그리고 저항 ……107
(5) 권위주의 통치와 민주화를 향한 열망 ……112

2. 사회적 성격에 대한 이론적 접근 ……116
(1) 사회적 성격이란 무엇인가? ……116
(2) 지식사회학적 관점으로 보는 사회적 성격 ……120
(3) 사회적 성격에 대한 비교역사적 접근 ……123
(4) 사회적 성격 형성의 상호작용적 맥락: 사회적 위치와 정서의 공유 ……124

3. 한국인의 행위양식과 역동성의 개념적 이해 ……131
(1) 한국인론에 대한 사회학적 성찰 ……131
(2) ‘한국인의 역동성’의 개념적 이해 ……141
(3) 전통과 현대성의 모순적 융합과 다섯 가지 행위양식 ……148
(4) 다섯 가지 행위양식과 ‘한국인의 역동성’의 개괄적 이해 ……161

Ⅳ. 한국인의 역동성과 그 원천들: 이념과 행위양식 ……169

1. 가족주의: 씨족 가족주의에서 핵가족 가족주의로……175
(1) 가족, 가족주의의 개념적 이해 ……177
(2) 한국 가족주의의 특수성과 보편성 ……182
(3) 가족주의와 한국 사회의 역동성 ……185
(4) 1980년대 이후 가족주의의 전개와 전망 ……192

2. 집단주의: 개인과 전체의 모순적 결합 ……197
(1) 집단주의의 개념적 이해 ……200
(2) 집단주의의 보편성과 한국적 특수성 ……207
(3) 집단주의와 한국인의 역동성 ……214
(4) 1980년대 이후 집단주의의 전개와 전망 ……217

3. 민족주의: 종족적 민족주의와 시민적 민족주의의 경합 ……222
(1) 민족주의의 개념적 이해 ……224
(2) 민족주의의 보편성과 한국적 특수성 ……227
(3) 민족주의와 한국인의 역동성 ……231
(4) 1980년대 이후 민족주의의 전개와 전망 ……235

4. 실용주의: 현세주의에서 실리주의로 ……238
(1) 실용주의의 개념적 이해 ……239
(2) 실용주의의 보편성과 한국적 특수성 ……244
(3) 실용주의와 한국인의 역동성 ……251
(4) 1980년대 이후 실용주의의 전개와 전망 ……257

5. 평등주의: 평등주의와 서열주의의 대결 ……262
(1) 평등주의의 개념적 이해 ……265
(2) 평등주의의 보편성과 한국적 특수성 ……273
(3) 평등주의와 한국인의 역동성 ……281
(4) 1980년대 이후 평등주의의 전개와 전망 ……284

Ⅴ. ‘한국인의 역동성’ 연구의 미래 ……289

참고문헌 ……299

저자 소개6

金東春

사회학자. 서울대학교 사범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사회학과에서 「한국 노동자의 사회적 고립」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비판적 사회학자로 학계와 시민운동 진영에서 활동하면서 『역사비평』 편집위원, 『경제와사회』 편집위원장, 참여연대 정책위원장, 참여사회연구소 소장을 역임했고,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상임위원으로 활동했다. 현재 성공회대학교 사회융합자율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같은 대학 민주주의연구소 소장으로서 학교 민주시민교육 과제를 수행 중이다. 제20회 단재상과 제10회 송건호 언론상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반공자유주의』 『대한민국은 왜?』 『한국
사회학자. 서울대학교 사범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사회학과에서 「한국 노동자의 사회적 고립」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비판적 사회학자로 학계와 시민운동 진영에서 활동하면서 『역사비평』 편집위원, 『경제와사회』 편집위원장, 참여연대 정책위원장, 참여사회연구소 소장을 역임했고,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상임위원으로 활동했다. 현재 성공회대학교 사회융합자율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같은 대학 민주주의연구소 소장으로서 학교 민주시민교육 과제를 수행 중이다. 제20회 단재상과 제10회 송건호 언론상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반공자유주의』 『대한민국은 왜?』 『한국인의 에너지, 가족주의』 『사회학자 시대에 응답하다』 『이것은 기억과의 전쟁이다』 『전쟁과 사회』 『미국의 엔진, 전쟁과 시장』 『독립된 지성은 존재하는가』 『분단과 한국사회』 『한국 사회과학의 새로운 모색』 『한국사회 노동자 연구』 등이 있다.

김동춘의 다른 상품

서울대 법학사, 사회학 석사를 거쳐 미국 버지니아대학교(University of Virginia)에서 박사학위(Ph. D. in Sociology)를 취득하였다. 이후 성공회대학교 사회문화연구원 연구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경북대학교 사회학과 강사로 재직하고 있다. 2007년 오바마와 문국현의 온라인 지지자 정치참가 메커니즘을 분석한 학위논문 당시의 주요한 연구 주제는 집합행동과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뉴)미디어와 사회변동, 집합행동과 여론의 사회심리학 등이었다. 최근에는 한국 현대성에 특징적인 정치문화와 행위양식의 정치·사회사상적 요체와 사회적 조건을 요약하고 비교사회적 분석으로
서울대 법학사, 사회학 석사를 거쳐 미국 버지니아대학교(University of Virginia)에서 박사학위(Ph. D. in Sociology)를 취득하였다. 이후 성공회대학교 사회문화연구원 연구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경북대학교 사회학과 강사로 재직하고 있다. 2007년 오바마와 문국현의 온라인 지지자 정치참가 메커니즘을 분석한 학위논문 당시의 주요한 연구 주제는 집합행동과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뉴)미디어와 사회변동, 집합행동과 여론의 사회심리학 등이었다. 최근에는 한국 현대성에 특징적인 정치문화와 행위양식의 정치·사회사상적 요체와 사회적 조건을 요약하고 비교사회적 분석으로 검증하는 동시에 그 일반이론적 함의를 정교화하는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저서로 『꿈의 사회학』(다산출판사, 2018, 공저), 『차별과 연대: 집단, 열광, 미디어의 사회심리학』(나경, 2014, 공저)이 있고 최근에는 「〈진격의 거인〉이 꾼 꿈과 그 발달 서사의 현대적 함의」, 「한국 정치적 현대성의 젠더화된 구조와 가내성(家內性)의 정치적 부상」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구자혁의 다른 상품

성공회대학교 민주주의연구소 부소장 겸 전임 연구교수. 역동적 한국인(다이내믹 코리안) 연구의 전체를 아우르는 역할, 총서 7권 『역동적 한국인의 미래』 주요 집필.

오유석의 다른 상품

1964년생으로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입학하여 사회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사회이론, 시민사회이론, 정치사회학, 사회운동론, 환경사회학 등을 연구하고 있다. 지금은 전북대학교 사범대 일반사회교육과 교수로 재직하며, 비판사회학회 이사 겸 『경제와 사회』 편집위원, 한국환경사회학회 감사, 중앙노동위원회 산하 전북지방노동위원회 조정담당 공익위원, 참여연대 부설 참여사회연구소 부소장 겸 『시민과 세계』 편집위원, 전주비정규노동네트워크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행복의 사회학』(책읽는수요일, 2014),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공저, 한울출판사, 2012), 『시민사회의
1964년생으로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입학하여 사회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사회이론, 시민사회이론, 정치사회학, 사회운동론, 환경사회학 등을 연구하고 있다. 지금은 전북대학교 사범대 일반사회교육과 교수로 재직하며, 비판사회학회 이사 겸 『경제와 사회』 편집위원, 한국환경사회학회 감사, 중앙노동위원회 산하 전북지방노동위원회 조정담당 공익위원, 참여연대 부설 참여사회연구소 부소장 겸 『시민과 세계』 편집위원, 전주비정규노동네트워크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행복의 사회학』(책읽는수요일, 2014),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공저, 한울출판사, 2012), 『시민사회의 다원적 적대들과 민주주의』(후마니타스, 2007), 『사회이론의 구성』(한울, 2003, 대한민국학술원 2003년도 우수학술도서 선정)이 있고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정태석의 다른 상품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공회대학교 민주주의연구소 연구교수, [경제와 사회] 편집위원을 역임하였고, 현재 민주연구원 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87년 체제를 넘어서』(한울 아카데미, 2010, 2011년 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거대한 운동에서 차이의 운동들로』(공편저, 한울, 2010, 2011년 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왜 노무현은 성공했는데 안철수는 실패했을까?-창조적 진보세대의 탄생』(글바당, 2015년) 등이 있고,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김정훈의 다른 상품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연세대, 성공회대 연구교수를 역임하며 사회운동, 지속가능발전과 협치, 도시지속가능성을 연구했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서 ‘배우고 가르치는 이’로 근무하다가 사직하고 현재는 중국 남경대학 정부관리학원에서 공부하고 있다. 저서로는 『시민과의 약속 매니페스토』(공저, 이학사, 2011,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우수저작 선정), 『갈등을 넘어 협력사회로: 로컬거버넌스시대의 지방의제21과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공저, 살림터, 2014, 한국연구재단 우수저작 지원 선정), 『박정희 시대 학생운동-유신체제하 대학생의 저항적 정체성은 어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연세대, 성공회대 연구교수를 역임하며 사회운동, 지속가능발전과 협치, 도시지속가능성을 연구했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서 ‘배우고 가르치는 이’로 근무하다가 사직하고 현재는 중국 남경대학 정부관리학원에서 공부하고 있다.
저서로는 『시민과의 약속 매니페스토』(공저, 이학사, 2011,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우수저작 선정), 『갈등을 넘어 협력사회로: 로컬거버넌스시대의 지방의제21과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공저, 살림터, 2014, 한국연구재단 우수저작 지원 선정), 『박정희 시대 학생운동-유신체제하 대학생의 저항적 정체성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한신대출판부, 2014), 『열린사회와 21세기: 마을에서 희망을 찾다.』(공저, KNOUPRESS), 『함께 만드는 마을, 함께 누리는 삶: 한국형 마을만들기의 역사·이론·실제(공저, 지식의 날개, 2015), 『시민행동지수로 본 한국시민사회역량』(공저, 유나기획, 2020) 등이 있고 『지속가능성의 도전』(공역, 2013, 도요새, 환경부 우수환경도서 선정) 등의 번역서가 있다. 최근 논문으로는 「한국 지방 SDGs 교육의 현황과 과제」(2020), 「한국 도시 SDGs 이행의 보편성과 지역성」(2020), 「SDGs를 통한 대학교육 혁신과 대학의 사회적 역할 제고를 위한 연구」(2020) 등이 있다.

이창언 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0년 07월 20일
쪽수, 무게, 크기
306쪽 | 153*225*30mm
ISBN13
9788998408305

책 속으로

한동안 후진국 병으로 취급받았던 ‘빨리빨리’ 문화가 어느새 역동성의 상징이 되어버렸고, 지금 세계적인 코로나 전염병 확산 사태에 직면하여 오히려 ‘빨리빨리’ 문화의 위력이 유감없이 발휘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 역동성이란 것이 그동안 한국인들에게 없었다가 최근에 와서 갑자기 생긴 것인가? 예전에는 그렇게 비하하고 조롱하던 행동들에 왜 갑자기 역동성이라는 이름을 붙이며 긍정하게 되었는가? 게다가 한국 사회의 이러한 역동성이 어디서 나온 것인지를 한국인 스스로는 과연 잘 알고 있는가?
---「서문」중에서

한국인의 역동성이 어떤 역사적 뿌리도 없이 갑작스레 생겨난 것도 아니고, 갑자기 부정적인 존재에서 긍정적인 존재로 변화된 것이 아니라면, 우리가 우리 자신을 ‘다이내믹 코리안’으로서 자긍심을 갖고 새롭게 인식하게 된 지금이야말로 본격적으로 ‘우리’ 혹은 ‘한국인’에 대해 새롭게 질문을 던질 때다. … 지금 우리가 긍정하는 ‘다이내믹 코리안’에 대해 역사적 경험 속에서 그 뿌리를 찾고 변화의 과정을 추적하는 일이야말로 한국인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
--- p.27

이 책은 총론으로서 ‘다이내믹 코리안’이라는 주제 아래 진행되는 전체 연구 과정을 개괄적으로 보여주고자 하였다. 전체 연구는 가족주의, 집단주의, 민족주의, 실용주의, 평등주의 등 다섯 가지 행위양식에 대한 개별적 연구를 포함하고 있다.
--- p.292

그동안 다양하게 제시되어온 한국인론 또는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에 관한 논의들은 주관적 인상에 기초하여 한국인의 역동성을 과소평가하거나 과도한 자기중심적 해석으로 인해 이것을 과대평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았다. 여기에는 외국인의 편향된 인상, 제국주의자의 시선, 오리엔탈리즘의 편견, 미화하거나 폄하하려는 정치적 의도, 민족주의적 시선의 과잉 등이 개입되어 있었으며, 이것들은 역사적 현실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려는 시각을 방해해왔다. … 이 연구는 이전의 시선, 관점, 연구 방법의 한계를 넘어서, 객관적인 사회학적 분석을 통해 체계적인 설명을 제공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 p.293

출판사 리뷰

지금 한국은 20세기 이후 세계 여러 나라 중에서 가장 역동적인 나라로, 한국인 역시 가장 역동적인 국민으로 꼽힌다. 식민지 수탈과 강대국의 대리 전쟁을 겪은 폐허에서 겨우 반세기 만에 세계가 놀랄 산업화와 정치적 민주화를 이룩한 것도 이미 어제 일이다. 대통령을 탄핵한 촛불혁명과 믿기 어려울 정도로 철저한 코로나 방역의 성공은 한국이라면 응당 그래야 했을 것 같은 일이 되어 버렸다. 한국을 방문한 서구인들은 자기네 삶과는 비교할 수도 없이 편리하게 앞서가면서도 안전하며, 높은 시민성 위에서 속도감 있게 변하는 한국 사회와 한국 사람에게 감탄한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홍보해온 ‘Dynamic Korea(역동적인 한국)’, ‘Dynamic Korean(역동적 한국인)’이라는 슬로건은 외국인은 물론이고, 한국인들 스스로도 인정하는 중요한 자기표상이자 국민적 정체성으로 자리 잡은 듯하다. 개항 이후 일제강점기까지만 해도 일본인이나 서구인들이 한국인에게서 받은 인상은 게으르고 무기력하다는 것이었는데, 한 세기 만에 이렇게 세계적으로 가장 부지런하고 능동적인 국민으로 인정받게 되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역동적 한국인 총서’는 오늘날 어느새 모두가 인정하게 된 한국인의 역동성이 도대체 어떤 역사적 뿌리를 가지고 등장한 현상인지, 그리고 그것이 최근의 일시적인 현상인지 아니면 꽤 오랜 시간 동안 한국인의 사회 유전자가 획득한 형질들의 조합이 빚은 필연적인 현상인지 추적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역동적 한국인’을 추적한 이 연구에서는 1880년부터 1980년까지 1백 년 동안 일어난 사회적 변화의 내면과 외모를 분석한다. 그리하여 한국인의 사회 유전자를 구성하는 염기 서열을 가족주의, 민족주의, 집단주의 실용주의, 평등주의 등 다섯 가지 힘의 조합으로 정의하고 이 다섯 가지 행위양식의 사회적 염기 서열을 역사적으로 분석하여 오늘날의 역동적 한국인의 면모를 그려낸다. 이를 위해 개항 당시부터 외국인과 한국인의 눈에 비친 우리의 모습, 한국인에 대한 연구를 검토하고, 지난 1백 년 동안 역사의 장면마다 어떤 힘의 조합으로 한국인의 역동성이 분출되었는가 살펴본다.

연구에 따르면, 한국인의 역동성은 이전부터 내려오던 전통과 개화기부터 서구에서 밀려온 현대성이 모순적으로 융합되어 작동한 결과다. 이 힘은 어떤 때는 기성 질서를 빨리빨리 따라가 넘어서려는 적응적 역동성으로, 때로는 기존 질서를 뒤엎고 새 질서를 세우려는 저항적 역동성으로 표출되었다. 가족주의가 개항 이래 계속 변화하면서 한국인을 매우 끈질기게 휘감고 있다면 평등주의는 개항 이래 동학과 식민지 독립운동, 민주화운동 등에서, 실용주의는 봉건 유습의 타파와 자본주의화, 도시화, 경제 성장에서 두각을 드러냈다. 민족주의는 일제 침탈에 맞서 싸울 때부터 분단을 극복하려는 힘으로, 또는 국가주의적 동원의 이데올로기로 이용되면서 양면적인 면모를 보였고, 집단주의는 도시화, 산업화 과정에서 변화에 적응하며 생존하려는 대안으로 작동하였다. 그리고 이 다섯 가지의 힘, 행위양식은 늘 서로 영향을 미치면서 각 시대의 역동성을 고유한 면모로 이끌었다.

『역동적 한국인의 탄생』은 근현대 한국사회 변동의 복합적인 과정을 다섯 가지 행위양식을 통해 보여줌으로써, 사회변동 과정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를 통해 한국인의 역동성을 해명하기 위한 체계적 설명틀을 제공한다. ‘역동적 한국인’에 관한 연구를 개괄적으로 보여주는 총론에 해당한다. 그동안 다양하게 제시되어온 한국인론 또는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에 관한 논의들은, 주관적 인상에 기초하여 한국인의 역동성을 과소평가하거나 과도한 자기중심적 해석으로 인해 이것을 과대평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았다. 여기에는 외국인의 편향된 인상, 제국주의자의 시선, 오리엔탈리즘의 편견, 미화하거나 폄하하려는 정치적 의도, 민족주의적 시선의 과잉 등이 개입되어 있었으며, 이것들은 역사적 현실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려는 시각을 방해해왔다. 또한 많은 연구가 한국인의 역동성의 변천 과정을 역사적 과정에서 변화해온 사회적 조건들과 연관시켜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데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그래서 이 연구는 이전의 시선, 관점, 연구 방법의 한계를 넘어서, 객관적인 사회학적 분석을 통해 체계적인 설명을 제공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역동적 한국인 총서는 지난 100년(1880~1980) 동안 근대적 한국인이 출현하고 자리 잡은 과정을 분석한 학술서 시리즈이다. ‘고요한 아침의 나라’ 한국에서 어떻게 정반대의 ‘다이나믹 코리안’이라는 역동적 한국인이 탄생했는지 평등주의, 민족주의, 가족주의, 집단주의, 실용주의 등 5가지의 사고와 행위양식에서 그 에너지를 찾아낸다. 5가지 주제를 다룬 5권의 책 외에 총론과 결론 등 모두 7권이다. 『역동적 한국인의 탄생』은 역동적 한국인 총서 1권으로 출간되었다.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16,200
1 16,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