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행복할 때도 있지만 지칠 때도 많습니다. 이래라 저래라 끊임없이 재단하는 세상을 향해, "미안하지만, 오늘은 내 인생이 먼저예요"라고 외쳐보는 건 어떨까요? 하고 싶지 않은 것을 하지 않을 용기와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괜찮을 용기를 가지고 망설임 없이. - 문학MD 김도훈
|
프롤로그 나는 어떤 사람이야?
1장 사는 게 숙제 같았던 날들 나는 어떤 아이였을까? | 굼벵이는 매미가 되려고 사는 걸까? | 각자의 산에서…… | 문전성시 | 내가 어떤 모습이건 | 당신 책임이다 | 집순이 | 내 뒷모습의 표정 | 말 한마디로 인생이 바뀔까? | 나에게는 숙제였다 | 마음이 힘들 때 | 증명하기 | 존재의 가벼움 | 맛없는 귤 | 무거운 이유 | 세상에 나쁜 ‘나’는 없다 | 우선순위 | 늦게 만난 것뿐이다 | 그저 그런 어려운 인생 | 운 좋은 사람 | 잘한다고 해서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 | 달팽이를 보는 나의 시점 | 3분만 더 | 말해봐야 해결도 안 될 문제들 | 언니가 부러울 때 | 이 모습도 내 모습 | 글 잘 쓰는 사람 | 우울한 건 나쁜 거야 | 나의 선택이 나를 만든다 | 마음이 건강하다는 것 | 그저 | 있는 그대로의 나 | 지금 필요한 건 무엇? | 위로 | 행복의 범위 2장 다 극복하고 살 수는 없었지만 그럴 수 있기를 | 정해진 내 삶이 무서웠다 | 그래, 너는 어떤 삶을 살고 싶니? | 좋은 게 더 많은 세상 | 당신은 특별하지 않다 | 전부는 아니지만 | 다 극복하고 살 수는 없어 | 자! 용기를 내서 말해보자 | 카운트다운 | 아무나 돼 | 내 인생이 먼저 | 나비효과 | 허락해줄게 | 나 자신보다 더 큰 이유 | 노력하는 만큼 보이는 것 | 댓글 | 나는 바뀌어간다 | 꼰대는 되지 말기 | 시작하기 좋은 나이 | 나를 의심한다 | 행운을 빌어요 | 나에게 하는 응원 | 일단 써! | 거기까지만 해 | 생각해보면 황당한 이유 | 효도는 셀프 | 내 나이 받아들이기 | 그러지 말걸, 후회했던 순간들 | 오늘만 살자 | 그깟 말 한 마디 | 세상이 공평하려면 | 대신 살아줄 수 없다면 | 좋은 사람 3장 흐르는 강물처럼 살아보기로 했다 사정이 있겠지 | 참 잘했어요! | 엄마의 최선 | 후회는 없다 | 오빠랑만 놀아 | 애초에 몰랐던 사이 | 인연도 흐르는 강물처럼 | 나에게 맞는 옷 | 불행아 | 사이코여도 괜찮아 | 생각보다 가까운 | 못하는 게 아니라 안 하고 싶은 | 너는 그런 아이야 | 첫 번째 팥빙수 | 복잡한 관계가 되었다 | 헤어져봐야 안다 | 끈기 없는 아이 | 소심한 나라의 소심한 사람 이야기 | 열대야 | 외로워서 | 노력으로 이어진 관계 | 왜 연락을 안 해? | 자존감 낮은 사람의 연애 | 챙길 사람이 있다는 건 | 헤어지는 이유 | 정말 어려운 것 | 같이 있는 느낌 | 돈이 전부일까? | 숨은 잘못 찾기 | 각자의 짐을 지고 사는 것 4장 그러니까, 이제 괜찮아진 것 같아 바람피울 확률 | 잘 해내려는 마음의 무게 | 무심하게 | 일은 적당히 | 3만 원 | 팔을 내려야 한다 | 눈치와 배려 | 빈자리 | 잊고 산다 | 나 낳지 말고 엄마 인생 행복하게 사세요 | 화내는 거 아니고 확인하는 거야 | 15년 만에 내려놓다 | 고통의 평균값 | 그렇게 위로하지 마세요 | 여성스럽다는 것 | 인사이드 아웃 | 적당한 관심 | 누구의 잘못인가요? | 어중간함 그 어딘가에서 | 제발 열심히 하지 마 | 조심하며 사는 것 | 내 마음을 비우게 해주세요 | 편두통을 주신 이유 | 차라리 뭐라도 살걸 | 인생 짧아 | 죽을 준비 | 나는 겁이 많다 | 최선을 다했다는 착각 | 저 이런 일 해요 | 흘러가는 대로 에필로그 |
하루
이진이의 다른 상품
잘났고 못났고를 떠나
내가 어떤 사람이건 그걸 인정하고 사랑하는 것이 먼저다. 멋지고 잘나고 훌륭한 사람이 되기 위해 인생을 허비한다면 그게 더 슬픈 일이 아닐까? 나는 그냥 나다운 삶을 살면 될 뿐. 나는 많이 예민한 사람이다. 가끔 너무 예민해서 스스로가 힘들다. 너무 배려하려다가 피곤해지기도 하고 인간관계도 좁은데다 한 번에 두 가지를 못 하는 성격이지만 나는 이런 나를 사랑하기로 했다. 거기서부터 시작해보기로 한다. ---「내가 어떤 모습이건」중에서 내 삶은 너무 평범할지도 몰라요. 어제가 오늘 같고 오늘이 내일 같은 하루를 살아요. 가끔은 이 평범함에 대해서도 잘 살고 있는 거라고 누가 말해줬으면 좋겠어요. 내 인생. 최선을 다했다고는 못 해도 더 할 수 있는 게 없었다고 말하고 싶은데 이런 나를 세상은 이해해줄까요? 별이 되지 않으면 어때요. 반짝이지 않으면 어때요. 내가 한 모든 것들을, 내가 살아낸 모든 날들을, 남들의 기준으로 아무것도 아닌 거라 점수 매기지 않을래요. ---「그저 그런 어려운 인생」중에서 다 그렇게 산다는 말로부터 내가 나를 지킬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럴 수 있기를」중에서 공부를 못하면 쓸모없는 인간이 되는 것 같았다. 놀고먹더라도 대학은 나와야 한다고 했다. 직장에 다녀야 결혼을 할 거 아니냐고들 했다. 아기를 낳는 것이 결혼의 목적인 것처럼 말을 했다. 아파트 한 채를 가지는 것이 평생의 목표 같았다. 그 모든 정해진 답들이 무섭고 싫었다. 내가 나를 판단하기 전에 세상이 나를 먼저 판단하고 내가 내 길을 정하기 전에 세상이 내 길을 정해놓았다. 그 누구도, 내가 어떤 삶을 살고 싶은지 물어봐주지 않았다. ---「정해진 내 삶이 무서웠다」중에서 편두통이 심해져서 새벽 5시에 응급실에 가서 주사를 맞고 왔다. 돌아오는 길에 보니 아무도 없는 길에 소복하게 눈이 쌓여 있었다. 그 풍경이 너무 예뻐서 아팠던 것도 잊은 채 남편이랑 사진을 찍었다. 지나가는 사람 하나 없는 새벽의 눈길. 그래도 아직은, 좋은 게 예쁜 게 더 많은 세상. ---「좋은 게 더 많은 세상」중에서 내가 할 수 있다고 믿는 모든 사람들에게 용기를 내서 말해보자. 믿고 싶지 않겠지만 난 못해요. 나는 소질이 없어요. 그 일이 즐겁지 않아요. 무엇보다 하고 싶지 않아요. OK? ---「자! 용기를 내서 말해보자」중에서 남에게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 나를 힘들게 하진 말아야지. ---「좋은 사람」중에서 |
『어른인 척』 이진이 작가가 전하는 나를 지키며 행복하게 사는 법
“이래야 해, 저래야 해, 잘해야 해” 말고, 그냥 나답게 10만 독자에게 따스한 위로와 감동을 전해준 『어른인 척』 이진이 작가의 신작 『미안하지만, 오늘은 내 인생이 먼저예요』가 위즈덤하우스에서 출간되었다. ‘나는 어떤 사람일까?’ ‘나는 어떻게 살라고 나로 태어난 걸까?’를 매일 고민하는 이진이 작가는 특별하지 않은 하루에서 평범한 행복을 찾으려 애쓰며, 그래도 좋은 게, 예쁜 게 더 많은 세상에 감사한다. 하고 싶지 않은 것을 하지 않을 용기,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괜찮을 용기를 갖추기 위해 매일 분투하고, 누구나 그저 그런 어려운 인생을 살고 있지만 그럼에도 딱 오늘 하루만 잘 살아보기로 매 순간 약속한다. “너는 어떤 삶을 살고 싶니?”라고 누군가 물었을 때, 아무런 망설임 없이 “내가 행복한 삶이요.”라고 대답할 수 있도록. 그래서 “이래야 해, 저래야 해, 잘해야 해.”라고 끊임없이 재단하는 세상에 “미안하지만, 오늘은 내 인생이 먼저예요.”라고 당당히 말할 수 있도록. 다 그렇게 산다는 말로부터 나를 지킬 수 있기를… ‘B형에 다혈질 성격을 가졌으나 A형의 소심함도 넘쳐나는 다소 예민한 성격의 소유자. 둔해지고 싶은데 이번 생은 틀린 것 같다.’고 말하는 이진이 작가는 어릴 적 화상을 입은 경험, 가난한 집안환경으로 인해 세심히 보살핌을 받지 못했던 날들이 누구의 책임인지 몰라 힘들었다고 고백한다. 인간관계는 언제나 어려웠고, 가깝다 여겼던 지인들에게 예상치 못한 상처를 받을 때마다 자신감은 몇 곱절 움츠러들었다. 이 책 『미안하지만, 오늘은 내 인생이 먼저예요』는 그 모든 상처를 극복했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지 않다. 오히려 ‘그럼에도 불구하고’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를 키워냈다고 이야기한다. 수많은 상처와 서툶과 후회에도 불구하고, “그 모든 게 바로 나예요. 나는 이런 내가 여전히 애틋하고 잘되기를 바라요.”라고 고백할 수 있는 용기를 말이다. 자신의 상처가 누구의 책임인지 몰라 힘들어했던 작가는 “내가 저지른 일이 아니라 해도 나에게 생긴 일이고, 그런 나를 안고 살아야 하는 것도 책임져야 하는 것도 결국 나 자신”임을 깨닫는다. 굼벵이는 어쩌면 매미가 되려고 사는 게 아닐 수 있듯, 내일을 위해 오늘을 포기하지 않기로 결심한다. “다들 그렇게 살아.”라며 매 순간 타협을 종용하는 세상으로부터 스스로를 지킬 수 있기를, 이번 생은 그것만 한번 해보기로 다짐한다. “미안하지만, 오늘은 내 인생이 먼저예요.” 소심한 작가의 이 대범한 고백이 독자들에게 작은 용기를 심어주기를 기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