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지상에서 우리는 잠시 매혹적이다
시공사 2019.09.14.
가격
14,800
10 13,320
YES포인트?
74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이 상품의 태그

상세 이미지

책소개

저자 소개2

오션 브엉

관심작가 알림신청
 

Ocean Vuong

1988년 베트남 호찌민 시에서 태어나 두 살 때 미국으로 이주했다. 뉴욕시립대학교 브루클린 칼리지와 뉴욕대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여러 지면에 시를 발표하였으며 2016년 첫 시집 『총상 입은 밤하늘』을 출간하였다. 할머니와 어머니로 이어지는 자신의 가족사와 이에 얽힌 베트남전이라는 역사, 미국이라는 나라, 퀴어로서의 삶 등을 날카로운 동시에 따뜻한 언어로 담아낸 이 시집으로 T.S. 엘리엇상, 휘팅상, 톰건상, 포워드상을 수상했으며, 『뉴욕 타임스』 『뉴요커』 『가디언』 등 영미권 주요 매체에서 뽑은 ‘올해의 책’으로 선정되었다. 2019년 자전적 이야기를 담은 첫 소설 『지상
1988년 베트남 호찌민 시에서 태어나 두 살 때 미국으로 이주했다. 뉴욕시립대학교 브루클린 칼리지와 뉴욕대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여러 지면에 시를 발표하였으며 2016년 첫 시집 『총상 입은 밤하늘』을 출간하였다. 할머니와 어머니로 이어지는 자신의 가족사와 이에 얽힌 베트남전이라는 역사, 미국이라는 나라, 퀴어로서의 삶 등을 날카로운 동시에 따뜻한 언어로 담아낸 이 시집으로 T.S. 엘리엇상, 휘팅상, 톰건상, 포워드상을 수상했으며, 『뉴욕 타임스』 『뉴요커』 『가디언』 등 영미권 주요 매체에서 뽑은 ‘올해의 책’으로 선정되었다. 2019년 자전적 이야기를 담은 첫 소설 『지상에서 우리는 잠시 매혹적이다』 를, 2022년에는 두번째 시집 『시간은 어머니』를 출간하였다. 현재 뉴욕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다.

오션 브엉의 다른 상품

싱어송라이터, 작가, 번역가로 다채롭게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다르마 행려』, 『울부짖음: Howl』, 『지상에서 우리는 잠시 매혹적이다』, 『스위스의 고양이 사다리』, 『시시한 말·끝나지 않는 혁명의 스케치』, 『폴링 업』 등이 있고, 지은 책으로 『직업으로서의 음악가』, 『음악가 김목인의 걸어 다니는 수첩』, 『미공개 실내악』, 『영감의 말들』, 『마르셀 아코디언 클럽』 등이 있다. 음반 「음악가 자신의 노래」, 「한 다발의 시선」, 「콜라보 씨의 일일」, 「저장된 풍경」을 발표했다. 작곡가, 싱어송라이터. 1978년 충주에서 태어났다. 밴드 [캐비넷 싱얼롱즈]
싱어송라이터, 작가, 번역가로 다채롭게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다르마 행려』, 『울부짖음: Howl』, 『지상에서 우리는 잠시 매혹적이다』, 『스위스의 고양이 사다리』, 『시시한 말·끝나지 않는 혁명의 스케치』, 『폴링 업』 등이 있고, 지은 책으로 『직업으로서의 음악가』, 『음악가 김목인의 걸어 다니는 수첩』, 『미공개 실내악』, 『영감의 말들』, 『마르셀 아코디언 클럽』 등이 있다. 음반 「음악가 자신의 노래」, 「한 다발의 시선」, 「콜라보 씨의 일일」, 「저장된 풍경」을 발표했다.

작곡가, 싱어송라이터. 1978년 충주에서 태어났다. 밴드 [캐비넷 싱얼롱즈]의 멤버로 음악을 시작해 현재는 자신의 이름으로, 또 [집시앤피쉬 오케스트라]의 멤버로도 활동하고 있다. 「리틀 팡파레」(캐비넷 싱얼롱즈), 「음악가 자신의 노래」, 「한 다발의 시선」, 「콜라보 씨의 일일」 등의 앨범을 발표했다.

2015년 잭 케루악의 『다르마 행려』를 옮기며 번역과 집필을 겸해오고 있다. 번역서로는 『Howl : 울부짖음과 다른 시들』 『리얼리티 샌드위치』 『한결같이 흘러가는 시간』 『고양이 책』 『강아지 책』 『지상에서 우리는 잠시 매혹적이다』, 저서로는 『직업으로서의 음악가』 『음악가 김목인의 걸어 다니는 수첩』 등이 있다.

김목인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19년 09월 14일
쪽수, 무게, 크기
360쪽 | 434g | 128*208*19mm
ISBN13
9788952739001

책 속으로

저는 부엌의 타일 바닥에 앉아, 테두리에 남색 덩굴들이 그려진 도자기 그릇에 할머니가 모락모락 김이 나는 밥 두 무더기를 뜨시는 걸 지켜보았어요. 할머니는 찻주전자를 쥐고 밥 위에 재스민 차를 부으셨는데, 연한 호박색 액체 안에 밥 알 몇 개가 떠오를 만큼만 부으셨죠. 우리는 바닥에 앉아 향긋한 김이 나는 그릇을 전달했어요. (……) “진짜 농부의 음식이지.” 할머니는 활짝 웃으셨어요. “이게 우리의 즉석요리란다, 리틀독. 이게 우리의 맥도널드야!” 할머니는 몸을 한쪽으로 기울이더니 커다랗게 방귀를 뀌셨어요. 저도 할머니를 따라 한 방 뀐 다음, 우린 함께 눈을 감고 웃었죠. 그러다 할머니는 멈추셨어요. “마저 먹어라.” 고갯짓으로 그릇을 가리키셨어요. “우리가 남긴 밥알 하나가 지옥에서 먹게 될 구더기 한 마리야.” 할머니는 손목에서 고무줄을 빼 머리를 동그랗게 묶으셨어요.
--- p.36

“영어 좀 해봐.” 노란 바가지 머리를 한 애가 그렇게 말했어요. 늘어진 턱살이 홍조를 띤 채 잔물결 치고 있었죠. (……)
“야.” 턱살 녀석이 몸을 기대더니 제 뺨 옆에 시큼한 입을 들이밀었어요. “말해본 적 없어? 영어 못해?” 그 애는 제 어깨를 움켜쥐더니 자기를 보라며 돌려세웠어요. “내가 얘기를 할 땐, 날 보란 말이야.” (……)
바깥에는, 더러운 돈다발처럼 두툼하고 축축한 낙엽들이 창을 가로질러 떨어지고 있었어요.
--- p.44

저는 그 아이, 저보다 머리 하나가 큰 그 아이를 올려다보았어요. 살짝 젖혀 쓴 군용 철모 밑으로 보이는 섬세한 골격의 얼굴에는 흙이 묻어 있었고, 왠지 모를 미소는, 마치 란 할머니의 이야기 한 편에서 제가 속한 시간대로 방금 걸어 나온 것 같았어요.
--- p.139

도시의 세세한 것들을 뒤덮은 눈처럼, 사람들은 우리라는 사건이 일어난 적 없다고, 우리의 생존이 신화였다고 말할 테죠. 그러나 그들은 틀렸어요. 엄마와 저, 우리는 진짜였지요.
--- p.276

“야.” 그 애가 반쯤 자며 물었어요. “나를 만나기 전에 넌 뭐였지?”
“내 생각엔, 허우적대고 있었던 것 같아.”
잠시 침묵.
“그럼 지금은 뭔데?” 그 애가 잦아드는 목소리로 속삭였어요.
저는 잠깐 생각했고요. “물.”
“꺼져.” 그 애가 주먹으로 제 팔을 쳤어요. “그럼 자라, 리틀독.” 그러더니 조용해졌어요.
그리고 그 애의 속눈썹들. 어쩌면 그것들이 생각하는 소리를 들으실 수 있을지도 몰라요.
--- p.338

저는 엄마가 윤회를 믿으신다는 것을 알아요. 저 역시 믿는지는 모르겠지만, 그것이 진짜이기를 바라고요. 왜냐하면, 그렇다면 아마 엄마는 다음 생에 이곳으로 다시 오실 테니까요. 엄마는 아마 여자아이로 태어나 이름은 또다시 로즈일 것이고, 전쟁이 건드리지 않은 나라에서 베갯머리 이야기를 읽어줄 부모와 책으로 둘러싸인 방을 갖게 되실 거예요. 아마도 그때, 그 삶과 어느 미래에 이 책을 발견하고, 우리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던 것인지 알게 되시겠죠. 그리고 엄마는 기억해내실 거예요. 아마도.

--- p.342

줄거리

베트남계 이민자인 28세의 ‘나’는 롤랑 바르트의 《애도 일기》를 읽다가 아직 살아 계신 엄마에게 편지를 써야겠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나는 모국어가 아닌 영어로 글을 쓰는 작가이고, 어머니는 영어를 읽지 못하는 문맹이다. 나는 가닿을 수 없는 편지를 썼다 지우며 혼잣말과 내밀한 고백 사이를 오간다.

이름도 없이 ‘일곱째’라고만 불리던 할머니가 나이가 세 배나 많은 남자에게 시집갔다가 도망쳐 전쟁통의 베트남에서 미군들을 상대로 성노동자로 일하며 딸아이를 키우고, 그 딸이 자라서 열일곱 무렵 ‘나’를 낳았다. 내가 두 살 때 가족은 미국으로 넘어오고, 나는 가족 중 유일하게 영어를 하는 가족의 통역사로 성장한다. 가난한 베트남계 이민자로 또래 속에서 차별을 경험한 나는 열네 살에 담배농장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다 만난 농장주의 손자 트레버와 친해진다. 마음의 빈 곳을 채워주던 두 소년은 서로의 몸을 통해 성에 눈을 뜬다. 복잡다단한 삶 속에서 비로소 자신을 잊게 해주는 존재를 만난 나는 열일곱 살 때 엄마에게 성정체성을 고백하며 가족을 떠날 각오를 하지만 엄마는 따뜻하게 받아들인다. 몇 년 뒤 맨해튼에서 대학을 다니던 나는 트레버가 2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는 소식을 듣고 고향으로 돌아온다. 그리고 몇 달 뒤 할머니의 죽음을 겪는다.

할머니와 어머니, 그리고 트레버와 나, 모두가 감내해낸 이 고난스러운 인생의 의미를 찾기 위해 나는 오랫동안 표현할 수 없던 생각을 어머니에게 편지로 쓰기 시작한다.

출판사 리뷰

“잠시 매혹적인 것이 아니라, 영원히 놀라운 작품.” _워싱턴포스트
모든 살아 있는 것들을 위한 고통 어린 아름다운 찬가


《지상에서 우리는 잠시 매혹적이다》는 28세의 화자인 ‘나’가 글을 읽지 못하는 어머니에게 쓰는 편지 형식으로 된 소설이다. 결코 가닿지 못할 그 고백들 속에는, 전쟁 후유증으로 정신이 온전치 못한 할머니가 가끔씩 돌아오는 현명함으로 어린 손자에게만 열어 보인 특별한 삶의 단상과, 외상후스트레스장애를 앓던 어머니와의 거칠지만 애정 어린 유년기의 기억들, 그리고 어머니는 알지 못하는 소년 트레버와 함께 자신의 성정체성을 깨달아가는 청소년기의 이야기가 교차되며 등장한다.

이름도 없이 ‘일곱째’로만 불리던 할머니가 어떻게 스스로에게 “란”이라는 아름다운 꽃 이름을 지어준 뒤 전쟁의 한복판에서 홀로 젖먹이 딸을 키우며 살아남았는지, 반은 백인 아이였던 어머니가 “적과 동침한 반역자이자 창녀”의 딸이라는 비난을 피하기 위해 어떻게 자신을 학대했는지, 가족을 대신해 영어를 익히던 가난한 아시아계 소년이 폭력적인 백인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어떻게 자신의 존재를 지워갔는지, 그런 자신을 비로소 ‘존재’하도록 만든 한 소년과의 만남이 얼마나 강렬하고 아름다웠는지 등 많은 인상적인 에피소드들이 하나로 엮이며, 마침내 모두가 감내하는 고난스러운 삶의 의미가 조금씩 드러나기 시작한다. 우아하고 서정적인 아름다움과 가차 없는 날것 그대로의 솔직함이 공존하는, 그리하여 살아 있는 모든 것들에게 조용히 찬사를 보내게 되는 작품이다.

추천평

문맹의 어머니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으로 쓰인 대담하고 솔직한, 감정을 뒤흔드는 소설…… 오션 브엉은 본능적이고 개인적인 것들을 잊을 수 없는, 실제로 매혹적인 소설로 바꾸어놓았다. - 비엣 타인 응우옌 (퓰리처상 수상 작가)
서정적인 아름다움, 가차 없는 솔직함, 우아한 떨림, 이 모든 것들이 쉼 없이 요동친다. - LA타임스
고마워요, 오션 브엉. 이런 탁월하고 놀라운 첫 소설을 내주어서. - 마이클 커닝햄 (퓰리처상 수상 작가)
열정적으로 발굴해낸 특별한 가족의 이야기이자 잊지 못할 젊은 예술가의 초상. - 가디언
오션 브엉은 대단히 재능 있는 관찰자다. 탁월하다는 말로는 부족할 만큼 감동적이다. - 뉴욕타임스
잠시 매혹적인 것이 아니라, 영원히 놀라운 작품. - 워싱턴포스트
퀴어의 사랑과 고통에 대한 대담한 이야기. - 타임
우리의 생존에는 이야기와 언어가 필요하다. 가장 재능 있는 시인이 이루어낸, 파격적이고 눈부신 소설. - 커커스리뷰

리뷰/한줄평9

리뷰

9.4 리뷰 총점

한줄평

9.5 한줄평 총점

클린봇이 부적절한 글을 감지 중입니다.

설정

채널예스 기사1

  • [지상에서 우리는 잠시 매혹적이다] 모든 살아 있는 것들을 위한
    [지상에서 우리는 잠시 매혹적이다] 모든 살아 있는 것들을 위한
    2019.09.23.
    기사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