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22년 07월 05일 |
---|---|
쪽수, 무게, 크기 | 208쪽 | 280g | 128*288*14mm |
ISBN13 | 9791192169095 |
ISBN10 | 1192169093 |
출간일 | 2022년 07월 05일 |
---|---|
쪽수, 무게, 크기 | 208쪽 | 280g | 128*288*14mm |
ISBN13 | 9791192169095 |
ISBN10 | 1192169093 |
MD 한마디
김진방, 손덕미, 김상윤 중국 음식 전문가 세 저자가 힘을 합쳐 쓴 책. 부대찌개는 즐기면서 김치찌개는 외면하는, 마라의 매운 맛을 좋아하면서 매운 국물 떡볶이를 싫어하는 중국인의 미묘한 미각을 분석한다. 중국의 식문화를 한국과 비교하며 흥미를 더했다. - 손민규 인문 MD
왜 중국 사람들은 부대찌개는 좋아하는데 김치찌개는 싫어할까 마라 맛은 매운맛과 어떻게 다를까 아는 만큼 보이는 중국의 맛 맛 뒤에 숨어 있는 중국인의 사고방식, 생활방식 차이는 이해의 열쇠다! 사드 사태가 채 해결되기도 전에 전 세계를 휩쓴 코로나19로 인해 ‘관광’이라는 단어 자체가 사라지다시피 했지만, 한국으로 가장 많이 관광객을 보내는 국가는 중국이었다. 한국 또한 2018년 중국 방문자의 수가 480만 명에 가까울 정도(일본 다음)로 중국으로 여행을, 출장을 떠났다. 당시, 어지간한 관광지를 끼고 있는 지역에서는 누구나 삼계탕집 앞에 어지러이 주차된 중국 관광객의 투어버스들 때문에 짜증을 냈던 경험이 있을 것인데, 중국 관광객이 한국의 삼계탕을 그다지도 좋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반면, 중국을 찾은 한국인들은 한국의 중국 음식점에서 자주 접하던 것과는 다른 중국 현지의 음식의 맛과 향에 잘 적응하지 못했던 경험을 가지고 있다. 중국 음식은 한국인에게 가장 친숙한 외식 메뉴라 할 수 있는데, 왜 중국 현지의 음식은 그리 낯선 것일까? 도서출판 따비의 신간 《중국의 맛 - 마라, 쏸라, 톈셴… 혀끝으로 읽는 중국 음식과 문화》는 이처럼 가까운 듯 먼 한중의 관계만큼이나 친숙한 듯 낯선 중국의 맛을 풀어낸 책이다. |
추천의 글 4 들어가며 10 1장 중국의 오미 19 복합적인 맛을 추구하는 중국 음식 21 중국의 오미, 한국의 오미와 어떻게 다른가 31 2장 조리법과 생활방식, 중국의 식문화 81 ‘손맛 vs 칼맛’ 한국과 중국 조리법과 맛의 차이 83 커우간(口感)과 식감의 차이 89 생활방식에서 오는 한국과 중국의 맛 차이 95 향신료와 양념의 차이 103 3장 알쏭달쏭 중국의 식탁 133 〈대장금〉과 한식 열풍의 현주소 139 계란(鷄卵)과 지단 148 국물 떡볶이는 왜 중국에서 고전할까 155 한국 밥상의 터줏대감 김, 중국 식탁에 오르기 163 한국 마른오징어 vs 중국 육포 171 유자차 마시는 한국, 진피차 마시는 중국 177 4장 중국의 맛에 더 가까이 다가가기 185 중국의 맛은 현재진행형 187 대륙의 식탁에 진출하려는 이들에게 194 나가며 206 |
카테고리를 인문 여행이 아니라 마케팅전략, 지역전략으로 해야 합니다.
중국특파원과 주재원인 글쓴이 들의 중국과 한국의 음식에 차이점을 잘 정리한 책입니다. 게다가 이 분야에서 중국 진출을 검토 중인 회사나 개인에게는 유용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음식의 종류보다는 맛과 향에 대한 양국의 차이를 잘 비교했습니다. 3부에서는 3가지 정도의 음식에 예를 들어 중국의 성공사례를 검토해서 많은 도움이 됩니다.
마라탕과 쏸라탕을 즐기는 흔치 않은 토종 한국인의 입장에서 그들과 우리의 입맛 차이가 어떤지 분석한 자료는 처음 보았다.
한국의 요식업이 중국에 진출한지 20년이 훨씬 넘었지만 이런 분석을 바탕으로 한 치밀한 진출전략을 세운 곳이 있는지 얼마나 될지 궁금하다.
중국에서 식품 관련 사업을 계획하고 있거나 돌파구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매우 유용한 책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