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18년 07월 20일 |
---|---|
쪽수, 무게, 크기 | 288쪽 | 390g | 128*188*20mm |
ISBN13 | 9788961963305 |
ISBN10 | 8961963309 |
출간일 | 2018년 07월 20일 |
---|---|
쪽수, 무게, 크기 | 288쪽 | 390g | 128*188*20mm |
ISBN13 | 9788961963305 |
ISBN10 | 8961963309 |
‘평범한’ 부엌이지만 그곳에는 일상의 드라마가 숨어 있다! 일본 『아사히신문』 웹진 인기 연재물 「도쿄의 부엌」이 한 권의 책으로 엮였다. 매주 한 곳씩, 지금까지 103곳의 집을 방문, 책에는 그중 50곳의 집을 추려 실었다. 요리를 하는 사람도 하지 않는 사람도, 혼자 사는 사람도 누군가와 의지하며 사는 사람도, 어느 누구의 부엌이든 그곳에서는 사람의 말과 멜로디가 들려오는 듯하다. 특별할 것 없는 냄비와 머그잔, 도시락통이 ‘들어봐, 들어봐’ 하며 말을 걸어온다. |
시작하며_수다스러운 부엌 도쿄 부엌 도감 깊은 밤 가스레인지 앞 지정석에서 휴식을 거리에 녹아드는 문화주택, 미의 기준은 전부 자신들 안에 그릇과 커틀러리를 허가제로 사는 절묘한 균형의 부부 지은 지 80년, 폐품으로 되살아나는 DIY의 전당 요리를 하지 않는 ‘집 애호가’의 반전 취미 사라져가는 아사가야 주택, 꿈같은 시간이 지나고 좋아하는 사람이 나고 자란 거리의 맛을 추구하며 오사카의 반찬이 가르쳐준 건강의 비밀 일본술, 샤미센, 채소샐러드… 70대의 알찬 싱글라이프 남인도의 엄마들과 마음도 맛도 이어진 평온한 터전 상하이의 식탁에서 배운 ‘만족을 아는’ 생활 깊은 밤에 기울이는 술잔, 부부 둘만의 시간 연립주택의 3평짜리 거실에서 주말마다 파티 천국 지은 지 68년 된 미군 하우스 생활, 그 다음의 이상향을 찾아서 어느 나라에 살든 나다운 식탁에서 취향껏 고른 타일과 원목 마루, 집 짓기를 지탱한 작은 비밀 홀로 싱크대 앞에 서다, 다시 돌아온 본가에서 일터 겸 생활공간, 요리 연구가의 기능적인 작업실 연인끼리 채식 라이프 솜씨 없는 남자가 찾아낸 요리 승부수 깜박 잊은 홍차 한 잔에서 시작된 마흔 언저리의 집 짓기 제사 때 발견한 뜻밖의 ‘베풀기 DNA’ 까다로운 취향보다 중요한 게 분명 있다 결혼 1년 차, 아침마다 둘만의 ‘부엌 다도’ 니시오기쿠보의 30년 된 집, 남녀가 처음 함께 살기 시작할 때 말차 마니아의 디자인 왕국 머릿속 98%가 음악이라는 스물셋 청년의 생명줄 시나가와 거리에 녹아드는 다국적 셰어하우스 신발광의 그릇 사랑, 멋을 아는 사람의 레트로풍 공간 목공이 특기인 남편과 요리를 좋아하는 아내, 정착형 노숙자 부부 페라리 레드 컬러의 생기 있는 ㄱ자형 주방 현관 옆, 등산가의 비행기 조종실 같은 주방 한 달에 한 번 있는 파티를 위해 리모델링 인도 Only, but not all 바라만 봐도 반겨주는 것 같은 작은 창문 시타마치에서 홀로, 자유분방한 남자의 아지트 스물여덟, 연애 중. 그릇에 둘러싸인 원룸 심장병을 앓은 지 3년, 이제는 요리 연재까지 계속되는 청춘은 오픈 키친에서 30년 전에 산 요리책이 지금도 바이블 일곱 살 연하의 남자친구와 오늘 밤에도 한잔 없지만 있다, 있지만 없다 출발점은 상사의 집 식탁 협소한 주택에서 쾌적하게 지내는 조건 우리 집 부엌 연대기 〔취재 에피소드①〕 평범한 부엌에 분 민예의 바람 이야기가 있는 도쿄의 부엌 부엌, 그리고 남편에게도 ‘안녕’을 아버지의 기억, 어머니의 맛, 그리고 햄버그스테이크 접착제와 헬멧과 스크램블드에그가 있는 곳 우여곡절 끝에 볕 잘 드는 집으로 아아, 넘쳐 나는 물건에서 쇼와 시대의 향기가 임시 도시, 임시 부엌 〔취재 에피소드②〕 풍부한 고독 모두의 부엌 ‘특급 비법’_영혼은 작은 곳에 깃든다 떨어지면 곤란한 것∼맛국물·조미료편 떨어지면 곤란한 것∼차·기타 식품편 애정 듬뿍 냄비와 주전자 우리 집의 편리한 도구 이것저것 모두의 수납 아이디어①∼식품편 모두의 수납 아이디어②∼상부장·서랍편 모두의 수납 아이디어③∼싱크대 아래·벽·기타 멋스러운 휴지통 스펀지&세제 어떻게 보관할까? 맺음말을 대신하며 |
일단 주방이나 키친이라고 하지 않고 부엌이라는 제목에 나도 모르게
이끌림이 강하게 작용하여 덥석 구매를 하게 된 책이다.
이웃나라 일본의 부엌이라...
요즘 핫했던 .. 리틀포레스트에 나오는 혜원이네집 같은 부엌을 상상하면서
책장을 넘겨봅니다.
아사이 신문 웹진 인기 연재물이 한권의 책으로 엮었다고 하더라고요 .
그냥 잔잔한.... 부엌들... 특별히 화려하게 꾸미거나 인위적이지 않고
그냥 사람 살아가는 그런 부엌이에요
매주 한곳씩.. 무려 103곳의 집을 방문하여 책에는 50곳의 집이 실려있답니다.
남의집 부엌을 구경하는 재미도 쏠쏠하네요 ~~~
신기하게 어느집 하나 똑같은 집이 없는 도쿄의 부엌...
그 곳에 있는 식기류 하나하나 특별하게 저에게 다가오는데요
이 공간에 거주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들려오는 듯한 느낌을 받았답니다
잔잔하게 .... 읽기에 좋은 책이에요
'평범한' 부엌이지만 그곳에는 일상의 드라마가 숨어 있다
-
이사를 앞두고 예전과 다르게 주방에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이사 가서는 수납도 깔끔하게 하고 싶고 무언가를 만들어 먹고 싶고 하기는 한데
태생이 요리똥손이라서 가능할지는 모르겠다.
우리나라의 주방 이야기도 있지만
도쿄의 부엌의 경우 다른 책을 보다가 알게 되어서 꼭 한번 읽어보고 싶었다 .
미니멀라이프도 그렇고 수납,정리에 대서는 일본 쪽 서적이 많은 거 같다
그렇기에 더 관심이 갔던 일본의 부엌 이야기 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안에는 다양한 사람들의 주방 이야기가 실려있다.
각각의 주방 전체적인 이미지 사진과 함께 거주자의 정보도 밑에 실려있는데
직업 / 나이 / 주택 종류 / 거주 기간 / 건축 연령 / 몇인 가구인지에 대한 정보가 적혀있어서
나와 같은 가구 수를 가진 부엌의 경우는 더 자세히 보게 되는 경우가 있는 거 같다
주인을 닮아서 주방마다 각각의 특색이 있고 이야기가 있고 분위기가 엄청 달라서 보는 재미가 있다
사실 이 책안의 구성을 보기 전에는 수납, 정리, 주방의 도구에 대한 이야기들이 많이 있을 거 같았는데
실상은 주방의 사진과 함께 그 집 주인의 이야기가 곁들어져서 그 주방의 세월 이야기를 듣는 느낌이랄까
정말 말 그대로 주방 에세이 느낌이 난다
어떻게 이렇게 주방을 꾸미게 되었는지 어떠한 주방제품을 쓰고 무엇을 많이 사용하는지
일상의 한 부분을 여볼 수 있는 매력이 있다
주방에서 주인들이 애용하는 용품들에 대한 이야기도 짧게 볼 수 있고 어떠한 제품인지 무엇을 먹는지
주방의 이야기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삶의 한 부분 또는 집 전체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 거 같다
그만큼 주방이 중심이 되는 거 같기도 하고 주방에서는 모든 게 이루어지는 거 같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가면 촬영 에피소드에 대한 이야기가 함께 모두의 수납 아이디어라고 해서
각 분류에 맞게 제품들이 소개가 되어있다.
어떠한 제품인지 어디서 구입을 하였는지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데
아쉽게도 일본에서만 구할 수 있는 제품들도 있다는 점
우리나라에서는 구입하려면 여행 간 김에 구입해오거나 직구를 노려보거나 해야 할 거 같다
눈에 익은 제품들도 보이고 알고 있는 맛들의 제품들도 보이고
일본과 우리나라는 주택의 구조나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비교하는 재미도 있었고
sns 혹은 잡지에서만 보는 깔끔한 부엌이 아니라 정말 현실적인 부엌의 모습이라서 정겹고
그 안에 다양한삶의 이야기가 있어서 재미있는 책
그래서 다양한 사람들의 일상과 어떠한 한 부분을 엿보고 싶다면 권하고 싶다
책으로 삶읽기 361
《도쿄의 부엌》
오다이라 가즈에
김단비 옮김
앨리스
2018.7.20.
“사실은 무엇을 먹는지도 그리 중요하지 않아요. 오이를 베어 먹더라도 가족이 웃으면서 먹는다면 그게 가장 큰 행복이니까요.” (169쪽)
《도쿄의 부엌》(오다이라 가즈에/김단비 옮김, 앨리스, 2018)을 읽었다. 서울처럼 커다란 고장에서 사는 분이라면 이 책이 여러모로 끌릴 수 있지 싶다. 나도 전남 고흥이 아닌 인천이란 고장에 그대로 남아서 살았다면 이 책이 남달랐다고 여겼을는지 모른다. 그러나 시골에서 사는 살림지기 눈으로 보자면, 또 이 시골을 벗어나 숲으로 들어가서 살려는 마음으로 보자면, 그냥 그렇다. 도쿄에서 여러 부엌을 찾아다니면서 이야기를 듣고 사진을 찍었다고 하는데, 뭔가 와닿지 않는다. 어쩐지 붕 뜬 느낌이랄까. 시큰둥. 도쿄는 워낙 땅값이며 집값이 비싸니, 이런 데에서 집 한 칸 빌리거나 얻어서 살며 건사할 부엌이란 얼마나 머리를 굴리고 써서 알뜰히 여미어야 하는가를 새삼스레 느낄 뿐이다. 우리는 참말로 누구나 마당 있고 텃밭 있으며 꽃뜰이 넉넉한 집을 누려야 한다. 그냥 ‘우리 집’이 아니라 ‘바람을 마시고 햇볕을 먹는 넉넉한 보금자리숲’을 누리도록 이 별이 거듭나야 한다고 다시금 생각한다. 지구별 모든 나라에서 전쟁무기하고 군대를 없애면 이 일을 이루리라. ㅅㄴㄹ
(숲노래/최종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