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19년 07월 01일 |
---|---|
쪽수, 무게, 크기 | 232쪽 | 358g | 135*200*20mm |
ISBN13 | 9791196509446 |
ISBN10 | 1196509441 |
출간일 | 2019년 07월 01일 |
---|---|
쪽수, 무게, 크기 | 232쪽 | 358g | 135*200*20mm |
ISBN13 | 9791196509446 |
ISBN10 | 1196509441 |
나는 그 어디서도 찾을 수 없는 종류의 위안을 시에서 찾았다 누구나 그럴 때가 있다. ‘어디 가나 벽이고 무인도이고 혼자라는 생각이 들 때’(「정말 그럴 때가」, 이어령), ‘밤 1시와 2시의 틈 사이로 문득 내가 잘못 살고 있다는 느낌이 들 때’(「문득 잘못 살고 있다는 느낌이」, 오규원), ‘세상 일이 하도 섭하고 억울해서 세상의 반대쪽으로 돌아앉고 싶을 때’(「세상 일이 하도 섭해서」, 나태주), ‘나같은 인간은 맞아 죽어도 싸지만 어떻게 좀 안 되겠느냐고 묻고 싶을 때’(「새점을 치며」, 정호승) ……. 그럴 때는 시를 읽는다. 시는 바늘구멍을 통과하는 빛처럼, 삶의 틈 사이로 찾아드는 작은 기쁨과 위안을 놓치지 않고 우리 앞에 펼쳐 놓는다. 시는 누구에게도 들키고 싶지 않은 어설픈 욕망을 이해해 주고, 괜찮은 척했지만 괜찮지 않았던 모멸감을 달래 주며, 인정받기 위해 기를 쓰는 우리에게 너무 애쓰지 말라고 위로한다. 그래서 시를 읽는 한 삶은 결코 뻔한 결말로 끝나지 않는다. 시가 선물하는 순간의 반짝임을 담아 가는 만큼 삶은 나아지고 충만해질 것이므로. 이 책은 ‘아 힘들다’ 소리가 나올 때마다 어떤 시의 한 구절을 떠올리며 힘을 내곤 했던 30년 경력의 출판 에디터가 고른 101편의 시를 담고 있다. 삶의 고단함이야 서로 뻔히 아는 것. 나는 이렇게 살아왔노라 대신 나는 이런 시를 읽어 왔다고 고백한다면 더 멋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출발했다. 저마다 품은 가슴속 시를 함께 나누면서 서로의 어깨를 가만 두드려 주기를 기대하며 그는 묻는다. “당신이 지금 가슴에 품고 있는 시는 무엇인가요?” |
prologue 나는 그 어디서도 찾을 수 없는 종류의 위안을 시에서 찾았다 chapter 1 어느 날 시가 내 마음속으로 들어왔다 정말 그럴 때가 + 이어령 문득 잘못 살고 있다는 느낌이 + 오규원 아버님의 안경 + 정희성 자화상 + 윤동주 산속에서 + 나희덕 이름 부르는 일 + 박남준 처음엔 당신의 착한 구두를 사랑했습니다 + 성미정 조용한 일 + 김사인 소주 한잔 했다고 하는 얘기가 아닐세 + 백창우 오늘의 결심 + 김경미 방문객 + 정현종 어느 날 하느님이 물으실 것입니다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배꼽을 위한 연가 5 + 김승희 chapter 2 눈물 나게 외롭고 쓸쓸했던 날 세상 일이 하도 섭해서 + 나태주 밥상 앞에서 + 박목월 슬픈 웃음 + 맹문재 고마웠다, 그 생애의 어떤 시간 + 허수경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 + 김수영 어머니의 그륵 + 정일근 오늘 그대가 한 일들을 떠올려 보라 + 조지 엘리엇 그렇게 물으시니 + 유용선 병 + 공광규 밖에 더 많다 + 이문재 강아지 + 조병화 나를 멈추게 하는 것들 + 반칠환 젊은 시인에게 주는 충고 + 라이너 마리아 릴케 chapter 3 인생의 절반이 되어서야 비로소 깨달은 것들 오늘, 쉰이 되었다 + 이면우 한쪽 어깨 + 이상교 아버지의 마음 + 김현승 내가 이제 깨달은 것은 + 작가 미상 짐과 집 + 김언 산머루 + 고형렬 발작 + 황지우 나이 + 김재진 비에도 지지 않고 + 미야자와 겐지 삶 + 안도현 오래된 기도 + 이문재 어떻게 죽을 것인가 + 아툴 가완디 별똥별과 소원 + 이원규 chapter 4 이누이트 족의 언어에 ‘훌륭한’이라는 단어가 없는 이유 나는 성공하고자 힘을 구했지만 + 어느 병사의 기도 사람의 일 + 천양희 사십대 + 고정희 물 끓이기 + 정양 콩나물에 대한 예의 + 복효근 계산에 대하여 + 나희덕 첫사랑 + 정세훈 어떤 것을 알고자 한다면 + 존 모피트 인생은 아름다워 + 쥘 르나르 인간론 + 알렉산더 포프 선택의 가능성 + 비스와바 쉼보르스카 사랑에게 + 정호승 익어 떨어질 때까지 + 정현종 chapter 5 나는 정말 잘 살아가고 있는 걸까 회색양말 + 김기택 그리하여 어느 날, 사랑이여 + 최승자 생의 일들에 덜 몰두한다는 것 + 달라이 라마 밤의 이야기 20 + 조병화 자탄 + 퇴계 이황 엄마의 발 + 김승희 인간에게 진실로 위대한 일은 + 프랑시스 잠 그냥 둔다 + 이성선 오늘은 일찍 집에 가자 + 이상국 부부 + 함민복 항아리 속 된장처럼 + 이재무 배움을 찬양한다 + 베르톨트 브레히트 chapter 6 무심코 하는 말들을 위한 기도 가장 이상한 세 단어 + 비스와바 쉼보르스카 해같이 달같이만 + 이주홍 백비 + 이성부 누군가의 그 말 + 천양희 반성 16 + 김영승 신은 모든 것 속에 +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기도 + 라파엘 메리 델 발 비누 + 정진규 더딘 사랑 + 이정록 양철 지붕에 대하여 + 안도현 어부 + 김종삼 하루를 살아도 행복하게 + 안젤름 그륀 취나물국 + 박남준 chapter 7 시가 내 곁에 있어 참 다행이다 별 + 공재동 죽고 난 뒤의 팬티 + 오규원 그 저녁은 두 번 오지 않는다 + 이면우 죽음의 노래 + 발라 크리슈나 사마 사랑 + 김영현 시간에게 + 김남조 버릇 + 박성우 넉넉한 마음 + 김재진 벚꽃 그늘에 앉아 보렴 + 이기철 사랑 + 박형진 함께 있되 거리를 두라 + 칼릴 지브란 수도원에서 + 정채봉 끝까지 가라 + 찰스 부코스키 chapter 8 내 삶을 뻔한 결말로부터 구해 준 결정적 순간들에 대하여 그렇게 소중했던가 + 이성복 그거 안 먹으면 + 정양 도반 + 이성선 새점을 치며 + 정호승 버리긴 아깝고 + 박철 동행 + 배문성 운동회 날 + 오성호 혼자 가질 수 없는 것들 + 문정희 자살에 대한 경고 + 에리히 케스트너 하루를 위한 잠언 + 막스 에르만 첫마음 + 정채봉 |
"어디 가나 벽이고 무인도이고 혼자라는 생각이 들때"(이어령)
"밤 1시와 2시 틈 사이로 문득 내가 잘못 살고 있다는 느낌이 들때(오규원)
"세상 일이 하도 섭하고 억울해서 세상의 반대쪽으로 돌아앉고 싶을때"(나태주)
난 이럴 때 시를 찾는다. 뜻대로 되지 않는 세상과 인간관계에 실망하고 상처받으면서 살아간다. 어쨋든 삶은 계속될 것이므로. 쳇바퀴 같은 일상을 반복하면서 용기있게 다른 삶을 선택하지 못하는 자신을 향해 한숨을 내쉰다. 그럴 때 시는 삶의 틈 사이로 찾아와 작은 기쁨과 위안을 주었다.그래서 시를 읽는 한, 삶은 결코 뻔한 결말로 끝나지 않을 것이다. 사랑하는 사람에게 나는 이렇게 살아왔노라 대신 나는 이런 시를 읽어왔다고 고백한다면 더 멋지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