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 더 좋은 채식, 하지만 멀게만 느껴졌던 사찰음식을이제 집에서 손쉽게 만드세요!”전세계적으로 채식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한식에 있어서는 대표적인 채식이 바로 사찰음식이다. 하지만 우리는 그 동안 우리 고유의 채식인 사찰음식을 집에서 즐길 수 없었다. “사찰음식은 어려울 것 같다”, “채식은 맛없을 것 같다”는 선입견 때문이다. 이 책은 우리에게 가장 잘 맞는 채식인 사찰음식을 “쉽게” 그러면서도 “맛있게” 만드는 노하우를 친절히 알려주고 있다. 이렇게 쉽고 맛있는 사찰음식을 연구하는 저자의 이력이 특이하다. 원래 6성급 호텔의 한식당 조리장이었던 저자 정재덕 셰프. 그는 요리사로서 남들이 부러워하는 최고의 위치에 있었지만,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사찰음식에 매료되어 미련없이 호텔을 떠나 절로 들어갔다. 그렇게 절에서 생활하며 사찰음식을 화두 삼아 수행하는 자세로 두루 배웠고, 사찰음식의 대가인 대안스님에게 사사했다. 이후 조계종에서 직접 운영하는 사찰음식 전문점 ‘발우공양’의 헤드셰프로 일했고, 2010년에는 대한명인회에서 최연소 사찰음식 명인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지금은 사찰음식의 대중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하며 대학에서 사찰음식을 가르치고 있다. 그는 이 책의 모든 레시피를 개발하는데 있어 사찰음식의 기본 원칙은 철저히 지키되, 누구나 손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메뉴, 재료, 양념, 조리법 등을 현대화했다. 우리 밥상 위에 오르는 다른 음식들과 조화를 잘 이룰 수 있는 메뉴를 골랐고, 마트나 시장에서 보아왔던 친숙한 식재료와 양념을 썼다.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한 조리법을 접목시켰고, 맛 또한 요즘 입맛에 잘 맞도록 일부 조정해 아주 맛있게 만들었다. 또한 2~4인 가족에 맞춘 정확한 가정식 레시피를 소개하기 위해, 출판사이자 메뉴 개발회사인 ㈜레시피팩토리의 테스트키친팀과 함께 모든 레시피를 철저히 검증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163가지 레시피는 고기가 들어가지 않아도 푸짐한 일품요리, 속을 편안하게 해주는 한그릇 식사, 재료의 맛이 살아있는 반찬과 국물요리, 건강한 주전부리 등으로 아주 다양하다. 이 메뉴들은 우리집의 맛있는 건강밥상을 책임지기에 충분한 것들이다. 이제 [채식이 맛있어지는 우리집 사찰음식]으로 멀게만 느꼈던 사찰음식을 집에서 손쉽게 만들고, 몸과 마음이 건강해지는 기쁨을 누려보자.* 참고 사찰음식은 우리 땅에서 나는 제철 재료와 몸에 좋은 버섯, 산나물, 뿌리채소 등을 듬뿍 넣어 조리한다. 인공조미료나 오신채(파, 마늘, 부추, 달래, 흥거 등 매운 맛의 5가지 향신채)를 일체 사용하지 않는 대신 된장, 고추장, 간장 등의 발효식품과 채소국물 등을 써서 재료 본연의 맛을 살린다. 특히 일반 채식과 달리 위에 부담을 주고 밖으로 뻗치는 힘이 강한 오신채를 넣지 않아 몸의 건강은 물론 마음까지 편안하게 해준다. [채식이 맛있어지는 우리집 사찰음식]의 7가지 특징 1.고기가 들어가지 않아도 맛있는 일품요리, 먹고 나면 속이 편안하고 든든한 한그릇 식사, 자연 그대로의 맛이 담긴 국물요리와 반찬, 건강한 주전부리까지 163가지의 레시피를 풍성하게 담았다.2. 재료 본연의 맛과 영양을 살릴 수 있는 요리, 인공조미료와 오신채 없이도 맛있는 요리, 다른 음식들과도 조화를 잘 이루는 가정식으로 적합한 메뉴들만 꼼꼼히 선별했다.3. 가정에서 손쉽게 사찰요리를 만들 수 있도록 구하기 쉬운 재료들을 사용하고, 구하기 어려운 양념과 재료는 구입처를 소개하거나 대체 재료를 안내했다.4. 전통 사찰요리의 어려운 조리법을 간소화하고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한 현대적인 조리법을 일부 응용해 보다 건강하게 만들었다.5. 사찰요리를 처음 만드는 분도 따라하면 실패 없이 만들 수 있도록 불세기, 조리시간까지 검증하고, 재료가 낭비되지 않도록 정확한 분량을 제시했다. 이 모든 철저한 검증은 필자와 메뉴 개발회사 ㈜레시피팩토리의 테스트키친팀이 함께 진행했다.6. 사찰요리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들의 제철, 영양정보, 고르는 법, 보관법은 물론 손질하기 까다로운 재료들의 손질법까지 꼭 필요한 정보들을 꼼꼼히 실었다.7. 사찰요리로 체중 조절을 원하시는 분, 건강을 위해 칼로리를 조절하는 분을 위해 각 요리마다 1인분 열량을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