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1년 07월 07일 |
---|---|
쪽수, 무게, 크기 | 296쪽 | 430g | 148*210*20mm |
ISBN13 | 9791165216023 |
ISBN10 | 1165216027 |
발행일 | 2021년 07월 07일 |
---|---|
쪽수, 무게, 크기 | 296쪽 | 430g | 148*210*20mm |
ISBN13 | 9791165216023 |
ISBN10 | 1165216027 |
프롤로그 ㅣ 왜 자기조절능력이 점점 더 중요해지는가 PART 1. 혼자 공부할 수 있는 아이가 줄고 있다 제1장. 코로나19로 드러난 자기조절능력 문제 01. 원격수업에 전혀 집중 못 하는 아이 02. 잘살기 위해 필요한 성공의 조건들 03. 자기조절능력이란 [Box] 아무것도 하고 싶어 하지 않는 아이 제2장. 아이의 자기조절능력을 키워주는 법 04. 훈육이 필요한 순간, 자기조절능력이 큰다 05. 상을 잘 활용하면 자기조절능력이 자란다 06. 결국 신뢰의 문제다 [Box] 놀이의 활용 제3장. 자기조절능력의 발달 단계 07. 0단계_ 애착으로 자기긍정감 키우기 08. 1단계_ 감정을 말로 표현하는 법 배우기 09. 2단계_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 구분하기 10. 3단계_ 자존감과 도덕심, 인내심 PART 2. 아이의 자기조절능력 연습 제4장. 자기조절능력 1단계: 감정의 탄생과 감정조절 연습 01. 잠드는 걸 어려워할 때 02. 심하게 고집을 부릴 때 03. 애착 물건에 집착할 때 04. 쉽게 화를 내거나 짜증을 낸다면 05. 위험한 물건을 가지고 놀려 할 때 06. 화가 나면 폭력성을 보일 때 07. 대소변 실수를 할 때 [Box] 부모의 자기조절능력 키우기 제5장. 자기조절능력 2단계: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 08.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말을 할 때 09. 남에게 민망한 말을 거침없이 할 때 10. 사실과 다른 엉뚱한 말을 할 때 11. 하루 종일 간식만 먹으려 할 때 12. 혼자서 못 노는 아이라면 13. 동생을 괴롭힐 때 14. 원하는 것을 말 못 하고 징징댈 때 15. 돌아다니며 식사할 때 16. 책상에 앉기 싫어한다면 17. 수줍음이 너무 클 때 18. 겁을 너무 많이 낼 때 19. 친구와 자꾸 싸운다면 [Box] 올바른 타임아웃 방법 제6장. 자기조절능력 2단계: 끈기, 사회성, 도덕심과 자기조절능력 20. 공부에 집중하지 못할 때 21. 혼자 공부하지 못할 때 22. 학교 가기 싫다고 할 때 23. 공부에 집중 못 하고 산만할 때 24. 짝을 바꿔 달라고 조를 때 25. 밥을 해 놨는데 치킨 먹는다고 할 때 26. 비싼 브랜드 옷을 사달라고 할 때 27. 남의 것을 훔쳤다면 28. 친구에게 휘둘릴 때 29. 아이가 욕을 한다면 30. 게임을 너무 많이 할 때 31. 뻔한 거짓말을 할 때 32. 따돌림을 받을 때 [Box] 자기조절능력을 키우는 초등학생 훈육 원칙 |
코로나 이후로는 점점 금전적인 것 뿐만아니라 학습의 격차가 점점 벌어져 가고 있는 중이지 않나 싶어요. 거기다 예전보다는
정말 재미있는 것들도 많고 빠르게 소통되어가는 온라인 속에서의 자기조절은 정말 어려워요. 단순히 공부만을 위한게 아니라
대인관계 속! 즉 사회성에 있어서도 중요한 '자기조절능력' 인 것 같아요. 감정을 조절하지 못해 별일 아닌 일로 삐지거나,실수하거나 충동을 조절못해 빠지거나 말이죠.
아무것도 하고 싶어하지 않는 아이 ! 학원도 안가고, 운동도 안 하는 아이! 종일 핸드폰만 바라보는 아이는 ' 시작이 두려운 '것일 수도 있다고해요
아이들은 실패를 두려워하게 되다보니 시작을 했다가 끝까지 못했다면 스스로를 자책하게 되죠. 고로 시작했다고 꼭 끝을 봐야 하는 것ㅇ ㅣ 아니라뭐하나 끝까지 못한다고 타박하지 말고 걱정하지 말라고해요. 아이는 스스로 무엇을 잘할 수 있을지 전혀 알지 못합니다. 직접 해봐야 그걸 좋아하는지 잘하는지도 알 수 있어요. 아이에게는 완주보다는 도전하는 용기가 더 중요합니다. 아이가 무언가를 시작해서 성취 해냈다면 같이 기뻐해주세요. 아이가 무언가를 시작했지만 중간에 그만두기로 했다면, 그만두기로 한 것도 스스로 내린 결단이라는 것을 알려주세요.
부정적으로 자신을 설명하는 아이 '나는 울보야' 그리고 반대로 자신을 똑똑이 라고 하는 아이 이 두 아이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고해요.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진 아이는 자신감,자존감이 떨어지고, 적극적으로 자신을 조절하려는 의지도 떨어진다고해요
자기 조절능력이 발달하려면 이 시기에 아이가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해요.
그런데 부모들은 " 넌 왜 맨 늘 그모양이야? / 이 울보야 왜 또 울어?" 말은 비수처럼 아이의 자아개념을 해칩니다
그보다는 " 우리 똑똑이가 항상 잘 했는데 이 일은 잘 못했네"라고 말하는 것이 좋아요. 아이 자체를 비난하는게 아니라 아이가 잘못한 일에 대해서만 꾸중해야 아이가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갖지 않습니다.
상세하게 아이 행동 하나하나 자기조절능력이 왜 필요한지 그리고 훈육할 때 어떻게 해야하는지 나와있어서요.
초등고학년보다는 유아 6세에서 초등저학년 정도 육아맘분들이라면 추천하고 싶고요.
아이의 마음을 헤아려보기 그리고 부모의 훈육에 대해 점검해보면서 아이의 자기조절능력과 긍정적인 마인드를 길러보면 좋겠네요
본 리뷰는 업체에서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 입니다.
초등자기조절능력이라는 제목을 보자마자 순식간에 구입을 했습니다. 요즘 아이가 초등2학년 남아인데 고집도 세지고 부모의 말도 잘 듣지 않구요.. 아무래도 자기주장도 세지고 자아가 성장을 하는 시기인 것 같아서 무턱대고 혼내기 보다는 어떻게 반응하고 어떠하게 대처를 하면 아이를 더 바른길로 인도할 수 있을까 고민하던중에 읽게 되었는데.. 아무래도 많이 아는 내용이 많아요. 그냥 일반적으로 상식적인 내용인 것 같아서 좀 아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