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D 한마디
[뇌과학자 정재승 교수가 들려주는 생물인류학] 영웅이 되기 위해 뭉친 네 외계인들, 오래전 지구에 아우레를 구할 열쇠가 있다! 역사를 되돌리기 위해 타임머신에 오른 외계 모험가들이 펼치는 시공초월 인류 역사 탐험! 수백만 년의 호미닌 역사를 따라 지구의 생명체를 만나요. - 어린이MD 김현기
뇌과학자 정재승 교수와 함께하는 두 번째 우리들의 이야기. 이번에는 생물인류학이다! 뇌과학이라는 학문을 어린이들의 눈높이에서 보여 준 정재승 교수의 첫 번째 시리즈 『정재승의 인간 탐구 보고서』를 잇는 두 번째 이야기는 인류의 진화를 다룬 생물인류학이다. 『인간 탐구 보고서』가 현재 우리의 모습을 이해하기 위해 뇌과학과 심리학의 측면에서 우리의 현재 모습을 낯설게 관찰하기를 시도했다면, 이번에는 수많은 다른 유인원들이 아닌 오직 호미닌만이, 그중에서도 호모 사피엔스만이 오늘날과 같은 고도의 문명을 이루게 된 배경을 외계인의 시선으로 다시 한번 관찰해 본다. 오늘날 인류의 조상을 대표하는 가장 도드라진 특징의 시작은 바로 큰 뇌가 아닌 두 발 걷기. 아마도 가장 먼저 두 발로 걸었을 것이라고 추정되는 700만 년 전의 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부터 ‘루시’라는 이름으로 유명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 두 발로 걸어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된 호모 하빌리스와 달리기를 잘했던 호모 에렉투스, 그리고 호모 사피엔스보다 더 큰 뇌와 큰 체격을 가지고 있었던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와 끝까지 살아남아 오늘날의 우리가 된 호모 사피엔스까지. 700만 년 동안 진화해 온 다양한 모습의 호미닌이 남긴 여러 유적들을 통해, 각 진화의 단계에서 호미닌들은 어떤 신체와 행동 양식을 발달시켰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문명은 어떻게 발달해 왔는지, 왜 호모 사피엔스만이 오늘날까지 살아남아 고도의 문명을 이루는 생물종이 되었는지를 역사적이고 과학적인 사실과 판타지적 상상을 동원해 이야기로 풀어낸다. 타임머신을 타고 오래전 인류의 생활 속으로 들어간다면, 어떠한 모습을 맞닥뜨리게 될까? 외계의 생명체가 낯선 인류의 조상을 만나고, 한없이 미약했던 인류의 조상이 외계의 생명체를 만났을 때 이들은 서로 어떤 상황을 연출했을까? 너무나도 낯선 인류와 외계인의 만남이 만들어 낼 좌충우돌 이야기 속에서 우리의 과거를 만나 보기를! |
펴내는글 프롤로그 이상한 칩을 주운 것 같아 1화 미스터리 홀로그램의 정체 2화 아우레에 관한 놀라운 이야기 3화 쿠라는 녀석 4화 아우레를 구하는 방법 5화 작전명 : 인피니티를 막아라! 6화 웜홀 너머의 푸른 행성, 지구로 출발! 7화 위기의 탐사대 ft. 무시무시한 지구 동물들 라세티의 탐사일지 첫 번째 지구 보고서, 300만 년 전 지구에 도착하다 |
솔직히 아이들에게 너무 어려운 부분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했고
아이들에게 너무 간략하게 설명되어 있다면 오히려 모르는 것 보다 옳지 않다고
생각했는데 이 책은 정재승교수의 속도에 맞게 아이들의시선에맞춰 이야기가 전개되어 있어서
빠르지 않고 적당한 속도를 유지하고 있다.
역사를 좋아하는 아이라면 더욱더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책이라고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