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이 바뀌길 기다리는 동안 웃기는 일만 계속 벌어졌어. 그런 건 없어. 왜냐하면 내가 바뀌지 않았거든. 난 같은 실수를 두 번 다시 하지 않을 거야.” “주의를 끄는 소설이 있다. 의미 있는 소설이 있다. ‘난민, 세 아이 이야기’는 둘 다다.” - 루타 서페티스,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Salt to the Sea]의 저자 - 이 책에는 세 명의 아이가 나온다. 1930년대 나치 독일 하에 있던 유대인 소년과 1994년 쿠바에 살던 소녀, 2015년 시리아 내전 한가운데 사는 소년이다. 그 세 아이의 이야기가 번갈아 등장하고, 그들 각각이 난민이 되어 새로운 삶을 찾아 가는 과정이 그려진다. 이 세 아이는 시대도 공간도 상황도 다르다. 하지만 그들의 이야기를 번갈아 읽다 보면 우리는 하나의 이야기, 하나의 감동을 받는다. 우리에게 난민이란 말은 먼 나라의 이야기였다. 2018년 5월, 제주에서 500명 넘는 예멘 난민들이 입국하고 난민 신청한 것이 우리에겐 가장 큰 난민 문제였다. 하지만 정말 난민이라는 것이 남의 일일까?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난민이라는 문제를 머리로 알려주는 게 아니라 가슴으로 느끼게 하고, 그리고 남이 아닌 우리의 일이라는 것을 깨닫게 한다는 점이다. 세 아이의 이야기는 서로 각자의 호흡으로 전개되지만 점점 하나의 리듬이 되고 그 속에서 이어진 인연은 곧 우리도 그들이라는 생각을 갖게 한다. 이 책은 어린이 책으로는 굉장히 많은 400쪽 분량의 소설이다. 적지 않은 분량이지만 빠른 속도로 읽을 수 있다. 사건이 긴박하게 전개되고, 주인공의 상황 속에서 삶과 죽음을 넘나드는 모험이 펼쳐지며, 그 속에 가슴 뜨겁게 하는 감정이 자리 잡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미국 아마존에서, 뉴욕타임스에서 오랫동안 베스트셀러로 사랑받았다. 책의 책장을 넘기다 보면 사랑과 용기, 희생 등 다양한 모습이 아름답게 펼쳐지며 그들의 삶을 힘껏 응원하는 우리를 발견하게 된다. 2018년 초에 선정하는 뉴베리상에서 이 [난민, 세 아이 이야기]의 수상을 공공연하게 응원하는 이들이 많았다고 한다. 단순히 주제가 이슈성을 갖기 때문은 아니다. 세 아이들의 이야기가 교차되면서 아이들의 성장이 그려지고 그 속에 큰 감동과 바른 가치와 남다른 문장과 구성이 담겨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책은 부모와 선생님들이 아이들을 위한 난민 교재, 토론거리로 여전히 많이 찾고 있다. 한국에서도 이 책을 읽은 아이들이 큰 감동을 받고, 난민에 대해 가슴으로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될 것이다. |
책 표지를 보는 순간 강렬한 끌림이 있어 구매하게 된 책..
아이가 보는 책으로 권장 도서에 있었지만 어른이 보기에도 손색없는 도서이다
요즘 우리 현실에서 살아가는 아이들은 1도 느낄 수 없는 전쟁이라는 커다란 공포..
어린나이에 느껴야 하는 삶과 죽음의 경계에 선 아이들...
그 아이들의 시선에 비친 이 모든 것들이 한순간도 책에서 눈을 못 떼게 한다...
우린 이곳에서 한가하게 커피를 마시고 있을때에도
반대편 그곳에선 이유도 모른채 죽어가는 아이들이 많겟지..
"무슨 책인데 그렇게 재미있게 읽어" 궁금한듯 묻는 초등 딸아이에게
얼른 해 줄말이 떠오르지 않는다 . " 말로 설명하기 힘들어 엄마 다 읽으면 읽어바바"
초등 고학년이라 충분히 읽을 수 있을듯..같이 읽고 한번 이야기 나누어 봐야겟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