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제2장 제3장 제4장 제5장 제6장 제7장 작품 해설 작가 연보 |
Hermann Hesse
헤르만 헤세의 다른 상품
아마 그 동정심 많은 복습 교사를 제외하고는, 어느 누구도 야윈 소년의 얼굴에 비치는 당혹스러운 미소 뒤로 꺼져가는 한 영혼이 수렁에 빠져 헤어나지 못하고, 불안과 절망에 싸인 채 주위를 두리번거리는 모습을 보지 못했다. 학교와 아버지, 그리고 몇몇 선생들의 야비스러운 명예심이 연약한 어린 생명을 이처럼 무참하게 짓밟고 말았다는 사실을 생각한 사람은 하나도 없었다. 왜 그는 가장 감수성이 예민하고 상처받기 쉬운 소년 시절에 매일 밤늦게까지 공부를 해야만 했는가? 왜 그에게서 토끼를 빼앗아버리고, 라틴어 학교에서 같이 공부하던 동료들로부터 멀어지게 만들었는가? 왜 낚시하러 가거나 시내를 거닐어보는 것조차 금지했는가? .. 이제 지칠 대로 지친 나머지 길가에 쓰러진 이 망아지는 아무 쓸모도 없는 존재가 되어버린 것이다.
--- 본문 중에서 |
독일 문학의 거장 헤르만 헤세의 자전적 소설
고루하고 위선적인 권위에 희생된 순수한 소년의 비극 개인의 창의성과 자유로운 의지를 짓밟는 제도와 교육에 대한 비판 “아무튼 지치지 않도록 해야 하네. 그렇지 않으면 수레바퀴 아래 깔리게 될지 도 모르니까.” 독일의 작은 시골 마을 슈발츠발트에 사는 한스 기벤라트는 유달리 총명한 소년으로 아버지 를 비롯한 어른들의 기대 속에 마울브론 신학교에 입학한다. 내성적이고 여린 한스는 강압적 인 신학교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방황하던 중 자유롭게 시를 쓰는 소년 하일너와 친해진 다. 하일너는 위선적인 교장에게 맞서다 퇴학을 당하고, 홀로 괴로워하던 한스는 신경쇠약이 심해져 결국 고향으로 돌아온다. 고향에서 시계 수리공 일을 하게 된 한스는 이전과는 달라 진 주변의 냉대와 사랑하는 여인의 배신으로 고통스러워한다. 『수레바퀴 아래서』는 고루한 전통과 권위에 맞선 어린 소년의 저항을 통해 무거운 수레바퀴 처럼 인간을 억누르는 기성 사회에 비판을 가한다. 헤세 역시 어린 시절 엄격한 신학교의 규 율에 적응하지 못하고 학교에서 달아나는 등 질풍노도의 청소년기를 보냈으며 이 책은 헤세 의 자서전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하지만 한스 기벤라트는 헤세의 분신일 뿐만 아니라 오늘을 사는 우리 젊은이들의 자화상이기도 하다. 이 작품은 누구나 겪는 기성 사회, 권위와의 갈등 을 그려 내고 있기 때문이다. ▶ 우리는 수레바퀴 아래 깔린 달팽이가 아니다. 어쩌면 우리는 수레를 끌고 앞으로 나아가 야 할 운명을 짊어진 수레바퀴 그 자체인지도 모른다. 고향의 짙은 흙내를 맡으며, 다른 바퀴와 함께 어우러져, 달그락거리는 가락에 맞춰, 공동의 이상향을 향하여, 흥겹게 돌아 가는 수레바퀴 말이다. 그 수레 위에 꿈과 사랑과 역사를 싣고서. ─ 김이섭, 「작품 해설」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