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19년 06월 24일 |
---|---|
쪽수, 무게, 크기 | 330쪽 | 496g | 130*198*30mm |
ISBN13 | 9791190090018 |
ISBN10 | 1190090015 |
포함 소설/시 2만원↑ 패브릭포스터, 비누 증정 (각 포인트 차감, 선착순 한정)
출간일 | 2019년 06월 24일 |
---|---|
쪽수, 무게, 크기 | 330쪽 | 496g | 130*198*30mm |
ISBN13 | 9791190090018 |
ISBN10 | 1190090015 |
MD 한마디
제43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한국과학문학상 대상과 가작을 동시에 수상하며 차세대 SF 작가의 화려한 등장을 알린 김초엽의 첫 소설집으로, 그야말로 올해 가장 핫한 작가이자 책입니다. 읽은 분이라면 누구나 "시선에서 질문까지, 모두 인상적"이란 평가에 고개를 끄덕이실 겝니다. 한국 SF의 현재이자 미래가 될 작가의 행보가 더욱 기대됩니다. - 소설MD 김도훈
우리 SF의 우아한 계보, 그 후 지난겨울까지 바이오센서를 만드는 과학도였던 김초엽 작가는, 이제 소설을 쓴다. 「관내분실」로 한국과학문학상 중단편부문 대상을 받았다. 필명으로 낸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도 동시에 상을 받았다. ‘한국 SF의 우아한 계보’라 불리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김초엽 작가는 그 후, 더욱 도약했다. 자신만이 그려낼 수 있는 김초엽 특유의 작품세계를 보여주었다. 투명하고 아름답지만 순진하지만은 않은, 어디에도 없는 그러나 어딘가에 있을 것 같은, 근사한 세계를 손에 잡힐 듯 이야기에 담아냈다. 다섯 개의 위성이 뜨는 곳에서도, 지지 않는 마음 표제작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에는 매력적인 ‘할머니 과학자’가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인물을 통해 소설은 어째서 어떤 고통은 기꺼이 감내할 수 있는지, 생의 끝에서 최선을 다한다는 것은 무엇인지를 자꾸만 묻는 듯하다. 문학상 이후 김초엽의 작품들은 더욱 확장된 세계를 그려낸다. 작가의 고민과 질문도 더 단단해진듯하다. 다섯 개의 위성이 뜨는 행성에 홀로 남겨져 외계인과 조우하게 될지라도(「스펙트럼」), 고통 없는 유토피아에서 짐짓 모르는 것처럼 질문하지 않고 살아갈 수 있을 때에도(「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의 세계를, 우리의 세계를 알아야겠다고 용기 내는 마음, 우리의 사랑과 우정을 말하며 지지 않는 마음, 분투하는 태도가 김초엽의 소설에는 있다. 소녀들의 영웅이 금메달리스트일 필요는 없다 김초엽은 정상과 비정상, 성공과 실패, 주류와 비주류의 경계를 끊임없이 질문한다. 미션에 실패했다고 비난받는 우주인일지라도(「나의 우주 영웅에 관하여」), 어떤 소녀에게는 그의 존재 자체가 응원일 수 있다. 무엇이 성공이고, 무엇이 실패인가. 우주 미션에는 실패했지만, 소녀를 응원하는 일에 성공했다면 그 삶을 실패한 삶이라 할 수 있을까. 소녀들의 영웅이 금메달리스트일 필요는 없다. 경계에 선 소설가 김초엽은 고민과 질문을 쨍하게 빛나는 이야기로 들려준다. 그것도 아주 재미있게. |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 ·007 스펙트럼 ·057 공생 가설 ·097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145 감정의 물성 ·189 관내분실 ·219 나의 우주 영웅에 관하여 ·273 해설 | 인아영(문학평론가) 아름다운 존재들의 제자리를 찾아서 ·321 작가의 말 ·337 |
[사람을 지향하는 SF,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제목이 참 흥미로워서 기억해뒀다가 읽은 책입니다.
김초엽 작가님의 책은 이 책으로 처음 접해보았는데요,
SF라는 미래적, 기계적 이야기가 담겨있으면서도
결국 그것이 담고 있는 것은 사람에 대한 이야기라 좋았습니다.
상상력도 돋보이고, 따스함도 돋보이는 소설이었어요.
너무 흥미롭고 재미있는 책이었다. 대뜸 내 소감부터 이야기하는 것이 웃기긴 하지만, 내가 이런 소설을 좋아한다는 것을 이 책을 읽으며 알게 되었다. 나는 원래 단편을 좋아하지 않는다. 내가 재미있어하는 이야기를 길게 보고 싶어 하는 평범한 독자인 만큼 긴 호흡을 가진 책들을 좋아한다. 근데 이 책은 단편들로 채워져 있지만 그 이야기의 여운이 길고, 그 이야기들의 결이 결국은 같은 방향으로 흐르는 듯해서 참 좋았다. 이 작가님의 책을 더 읽어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이라는 제목은 익히 들어서 알고 있었는데, 19년 6월에 초판이 출간되고 20년 7월 기준으로 20쇄나 발행했다는 기록을 보고 너무 놀랐다. 최근에 나온 책 중에, 그것도 신인 작가 책인데 베스트셀러가 된 책이 있다니! 원래 베스트셀러는 잘 읽지 않는 편인데 뭔지 모를 호기심으로 책장을 열어보았다.
책을 펴자 가장 먼저 눈에 띈 건 무지개를 연상시키는 일곱 색깔이었다. 프리즘으로 빛을 비춰보면 아름다운 일곱 빛깔을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에피소드도 총 7개, 작품마다 무지개 색깔의 용지를 사용해서 작품을 나타내서 그런지 책 자체가 알록알록했다. 표지도 경쟁력인 시대이기는 하지만 소설인데 뭐 이렇게까지 외형을 신경쓰나하고 처음엔 생각했었다. 제목에서 풍기는 느낌이나 표지는 영락없는 에세이류 소설 같아서 편하게 생각하고 읽기 시작했는데 읽다보니 다른 소설과는 사뭇 느낌이 달랐다. 책을 읽다말고 책분야를 찾아보니……. 어? SF과학소설이라고? 그래서 저자의 이력을 봤더니, 아.... 화학과를 졸업하고 생화학 석사학위까지 받은 이과생이었다.
지금은 문과, 이과의 구분이 없지만 문과의 피가 흐르는 나로서는 수학이나 과학에 대한 거부감이 있는 편이었고, 그래서 그런지 과학서적은 잘 읽지 않는 편이다. 이게 과학소설인 줄 알았다면 단연코 난 이 책을 선택하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어쩌랴! 이미 읽기 시작했으니 끝은 봐야지. 중간에 포기한 책은 있어도 처음부터 읽기를 포기한 책은 없었으니까.
사서는 짧은 침묵 끝에 다시 입을 열었다.
“은하 씨는 여기 어딘가에 계실 겁니다. 다만 찾을 수가 없어요.”
엄마가 실종되었다. 그러니까, 죽어서야 실종되는 사람은 흔치 않을 것이다. 생전에도 지민은 엄마가 실종되리라고는 상상해본 적이 없었다. 엄마는 너무 찾기 쉬운 사람이었다. 그랬던 엄마가 이제 와서 언제, 어디로 사라져버린 걸까. 그 시점도 위치도 지금은 알 수 없다. 지민이 엄마를 찾아온 날은, 엄마가 이 도서관에 기록된 지 벌써 3년이 지난 후였으니까. -p.222~223 <관내분실> 중에서-
서희가 또 하나 떠오른 듯이 키득거리며 말했다.
“그러고 보면, 한번은 우주의 저편에 대해서 무슨 말을 했는지 알아? 이렇게 많은 돈을 써가면서 굳이 볼 필요가 있을까. 그냥 똑같은 우주일 것 같은데, 이랬다니까.” -p.312 <나의 우주 영웅에 관하여> 중에서-
“감정의 물성?”
“그러니까 자기들 말로는 감정 자체를 조형화한 제품이래요. 종류도 꽤 많아요.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공포체’, ‘우울체’ 하는 식으러 이름이 붙고, 파생되는 제품으로 비누나 향초, 손목에 붙이는 패치도 있고요. 지금 유진 씨가 구해 온 건 침착의 비누라는 건데, 진짜 비누처럼 써도 되지만 그냥 손으로 만지작거리는 것만으로도 효과가 있나봐요. 10분 정도 사용하면 마음이 차분해진다고…….”
“그게 무슨 바보 같은 소리야?”
나는 미간을 찌푸렸다. 어째 유사과학 상품 팔아먹는 사람들과 하는 소리가 딱 비슷했다. -p.193~194 <감정의 물성> 중에서-
유전자 조작과 관련된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 냉동수면기술과 우주 웜홀을 통한 공간이동을 다룬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뇌스캔 방식을 통해 죽은 사람도 계속 만날 수 있는 <관내분실> 등 과학소설답게 각 작품마다 과학이론이나 미래에 일어날법한 과학적인 상황 등을 배경으로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
다 읽고 보니 일곱 빛깔 무재기만큼이나 일곱 작품 모두의 분위기가 독특하고 특이했다. 하지만 각 작품마다 우리에게 던져주는 메시지는 묵직했고 저자가 던지는 질문들은 독자들에게 공감을 자아내기에 충분한 주제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저자가 어떠한 이야기들을 독자들에게 던져 줄지 사뭇 기대가 된다.
#우리가빛의속도로갈수없다면
#김초엽
#허블
#동아시아출판사
#과학소설
#SF소설
#SF과학소설
#장르소설
#베스트셀러
#3월독서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