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닫기
사이즈 비교
정가제 Free
우먼카인드 womankind (계간) : 11호 [2020]
잡지

우먼카인드 womankind (계간) : 11호 [2020]

: 정치하는 여성들이 가져올 미래

편집부 저 | 바다출판사 | 2020년 05월 04일   저자/출판사 더보기/감추기
리뷰 총점10.0 리뷰 4건 | 판매지수 72
정가
15,000
판매가
14,250 (5% 할인)
최신호가 출시되면 알려드립니다. 잡지 신간 알림신청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20년 05월 04일
쪽수, 무게, 크기 168쪽 | 466g | 180*245*20mm
ISBN13 2590176850007

이 상품의 태그

프리즘오브 PRISMOf (계간) : 여름 [2020]

프리즘오브 PRISMOf (계간) : 여름 [2020]

13,500 (10%)

'프리즘오브 PRISMOf (계간) : 여름 [2020]' 상세페이지 이동

마니에르 드 부아르 (계간) : VOL.2 [2021]

마니에르 드 부아르 (계간) : VOL.2 [2021]

17,100 (5%)

'마니에르 드 부아르 (계간) : VOL.2 [2021]' 상세페이지 이동

마니에르 드 부아르 (계간) :VOL.5 [2021]

마니에르 드 부아르 (계간) :VOL.5 [2021]

17,100 (5%)

'마니에르 드 부아르 (계간) :VOL.5 [2021]' 상세페이지 이동

마니에르 드 부아르 (계간) :VOL.4  [2021]

마니에르 드 부아르 (계간) :VOL.4 [2021]

17,100 (5%)

'마니에르 드 부아르 (계간) :VOL.4 [2021]' 상세페이지 이동

마니에르 드 부아르 (계간) : VOL.3 [2021]

마니에르 드 부아르 (계간) : VOL.3 [2021]

17,100 (5%)

'마니에르 드 부아르 (계간) : VOL.3 [2021]' 상세페이지 이동

베어 bear (계간) : vol.11

베어 bear (계간) : vol.11

12,350 (5%)

'베어 bear (계간) : vol.11' 상세페이지 이동

우먼카인드 womankind (계간) : 13호 [2020]

우먼카인드 womankind (계간) : 13호 [2020]

14,250 (5%)

'우먼카인드 womankind (계간) : 13호 [2020]' 상세페이지 이동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8 [2019]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8 [2019]

14,250 (5%)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8 [2019]' 상세페이지 이동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15 [2021]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15 [2021]

14,250 (5%)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15 [2021]' 상세페이지 이동

계간 창작과비평 1년 정기구독

계간 창작과비평 1년 정기구독

57,600 (20%)

'계간 창작과비평 1년 정기구독' 상세페이지 이동

브리드 Breathe (계간) : ISSUE 8 [2020]

브리드 Breathe (계간) : ISSUE 8 [2020]

13,500 (10%)

'브리드 Breathe (계간) : ISSUE 8 [2020]' 상세페이지 이동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9 [2020]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9 [2020]

14,250 (5%)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9 [2020]' 상세페이지 이동

우먼카인드 womankind (계간) : 20호 [2022]

우먼카인드 womankind (계간) : 20호 [2022]

14,250 (5%)

'우먼카인드 womankind (계간) : 20호 [2022]' 상세페이지 이동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5 [2019]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5 [2019]

14,250 (5%)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5 [2019]' 상세페이지 이동

우먼카인드 womankind (계간) : 12호 [2020]

우먼카인드 womankind (계간) : 12호 [2020]

14,250 (5%)

'우먼카인드 womankind (계간) : 12호 [2020]' 상세페이지 이동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14 [2021]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14 [2021]

14,250 (5%)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14 [2021]' 상세페이지 이동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13 [2021]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13 [2021]

14,250 (5%)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13 [2021]' 상세페이지 이동

어반라이크 URBANLIKE (반년간) : No.41 [2020]

어반라이크 URBANLIKE (반년간) : No.41 [2020]

22,500 (10%)

'어반라이크 URBANLIKE (반년간) : No.41 [2020]' 상세페이지 이동

과학잡지 에피 (계간) : 17호 [2021]

과학잡지 에피 (계간) : 17호 [2021]

13,500 (10%)

'과학잡지 에피 (계간) : 17호 [2021]' 상세페이지 이동

브리드 Breathe (계간) : ISSUE 10 [2021]

브리드 Breathe (계간) : ISSUE 10 [2021]

13,500 (10%)

'브리드 Breathe (계간) : ISSUE 10 [2021]' 상세페이지 이동

카드 뉴스로 보는 책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4 Editor’s letter
10 News From Nowhere
20 politics 여성에겐 자기만의 당이 필요하다
28 politics 과소대표되었던 목소리를 대변하는 정치를 향해
40 empowerment 우리가 열망하는 변화
46 solidarity 정치하는 여성은 어디에나 있다
52 feminism 힘을 발휘하는 우리가 되는 것
58 feminism 싸우는 사람 에멀린 팽크허스트
68 art 자기 자신에게 솔직한 예술
76 psychology 내면의 안녕이 이끄는 삶
84 artist 버네사 벨과 찰스턴 하우스
96 nature 영국식 정원의 비밀
104 theatre 예술적 관점이 가능하게 한 변화

we are womankind: England
124 voice 영국에서 온 편지
132 writing 문학적 영감의 도시 옥스퍼드
144 art 붉은 머리칼의 여인
158 literature 올더스 헉슬리와 신비주의

166 Books
170 Poet

책 속으로 책속으로 보이기/감추기

더 이상 한 명의 여성도 잃을 수 없다며 일상을 포기하면서까지 매달렸던 그 많은 시위와 총공과 청원에도 불구하고 가부장적 공권력과 법제도가 꿈쩍도 하지 않을 때, 남은 일은 하나밖에 없다. 포기? 체념? 순응? 아니, 요구하는 행위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는 것. 임기 내내 여성 의제에 집중할 여성의당을 만들어 국회로 가는 것이다. 투표권만 있었지 한국 정치사에서 여성은 언제나 뒷전이었다. 그것이 생존의 문제라 할지라도 여전히 해일 앞의 조개 취급을 받아왔다. 이를 풀기 위한 해답이 단지 여성 의원 수를 늘리는 것이 아닌 여성의, 여성에 의한, 여성을 위한 정당이란 사실. 여성의당이야말로 어떤 시위보다 위협적이고 청원보다 강력하다는 핵심을 한국 여성들은 압축적 경험을 통해 알아버렸다. 바로 이것이 열흘 만에 6,000명 당원 모집이라는 기적이 가능했던 이유다.
---「여성에겐 자기만의 당이 필요하다」 김진아_ p.24-25

“어쨌든 저는 단 한 번도 본 적 없는 의원이 될 거라는 목표는 가지고 있어요. 제일 해보고 싶은 건 등원 첫날 브이로그예요. 국회라는 공간에 있는 것이 당연하지 않은 사람이 외부자의 시각으로 바라볼 때의 경험을 온전히 공유하고 싶어요. 이 자리에 있어야 하는 사람이 꼭 저여야만 하는 이유도 없고, 아닐 이유도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비슷한 가치를 가진 사람들을 그렇게 초대하고 싶은 거죠. 무엇보다 중요한 두 가지 화두는, 제가 생각하는 실질적 변화를 위한 법안을 추진하는 것과 정치 문화 자체를 바꾸는 거예요.”
---「과소대표되었던 목소리를 대변하는 정치를 향해: 정의당 미래정치특별위원장 장혜영 의원」 최지은_ p.43

t는 누구보다 힘들었던 사람이었기 때문에, 힘든 사람에게 무엇이 가장 필요한지 정확하게 알고 있었다. 한 개인이 어떤 경험을 통과하며 더 강한 개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나는 t로부터 배워갔다. 더불어 강한 사람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단련되어 만들어지는 존재라는 것도 t 덕분에 재확인했다. (중략) 아직 다 재건되지 못한 성폭력 피해자의 삶이 무쓸모하지 않고, 잘 살고 있고, 앞으로 더 잘 살게 될 거라고 t는 믿고 있다. 아프지 않고, 자살하지 않고,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아가는 것. 자신의 꿈은 자연사라고 t는 농담과도 같은 진담을 자주 말해왔다. 먼 훗날, 우리가 할머니가 되어 이 시간들을 돌아볼 때, 생각보다 쉽게 꿈을 이루었다고 t가 말할 수 있게 되었으면 좋겠다.
---「정치하는 여성은 어디에나 있다」 임솔아_ p.50-51

1928년, 팽크허스트는 독감으로 생을 마감했고, 그로부터 2주 후 21세 이상 여성의 온전한 투표권을 보장하는 법안이 통과되었다. 팽크허스트의 오랜 전우들은 여성사회정치연맹을 상징하는 삼색 의상을 입고 휘장과 메달을 걸고 팽크허스트의 장례식에 참석했다. 물론 그들 외에 여성참정권을 위해 싸운 사람들이 있었지만, 그들은 누구보다 목소리를 냈고, 누구보다 눈에 띄었으며, 누구보다 신문에 도배되었다. 에멀린 팽크허스트의 말에 따르면, 여성에게는 “부당한 상황에 굴복하거나 들고일어나는” 두 가지 선택권이 있다고 한다. 팽크허스트는 후자였다.
---「싸우는 사람 에멀린 팽크허스트」 니암 보이스_ p.65

“제가 굉장한 자부심이 있다고 한 건, 제가 오만하다거나 남들이 제멋대로 구는 저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길 바란다는 뜻이 아니에요. ‘자부심’이라는 말을 정확히 이해해야 해요. 그 말의 가장 근본적인 의미는 강한 자존감이에요. 온전한 자기 자신으로 존재하며 정당하게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는 감각이죠. 우리는 독립적인 자아로 존재하기에는 너무 많은 균열과 편협함, 불안에 둘러싸인 채 살아가고 있어요. 사회 안에서는 누구나 자신이 강한 자존감을 지녔으며 그 안에서 안정감을 느낀다고 주저 없이 말할 수 있어야 해요. 모든 사람이 안전하게 자기 자리를 차지했다고 느끼는 사회를 만들고 싶어요.”
---「예술적 관점이 가능하게 한 변화: 런던 로열 코트 극장 예술감독 비키 페더스톤」 스타브 디미트로풀로스_ p.108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지난 3월 8일 세계여성의 날, 여성의당이 창당했다. 여성의당은 남성 중심 정치에서 벌어진 여성에 대한 모든 혐오와 차별에 반대하고 여성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정책을 입안하겠다고 성명했다. 김진아 작가는 『나는 내 파이를 구할 뿐 인류를 구하러 온 게 아니라고』에서 ‘정치를 하자’고 말한 후 이번 총선을 여성의당 공동대표의 자격으로 치렀다. 그로부터 한국 최초 여성 의제 정당의 탄생 이야기를 듣는다. 앞으로 4년 뒤, 8년 뒤 가능할 여성 정치의 얼굴을 그려볼 수 있을 것이다.(「여성에겐 자기만의 당이 필요하다」 p.20)

장혜영 의원을 최지은 작가가 만났다. 다큐멘터리 「어른이 되면」, 유튜브 채널 ‘생각 많은 둘째 언니’로 잘 알려진 장혜영 감독은 지난 2월 정치인으로서 출사표를 던졌고, 이번 총선에서 비례대표 의원으로 당선되었다. 그가 ‘생각 많은’에 그치지 않고 ‘권력지향형’으로 정체성을 탈바꿈해야겠다고 생각한 이유는 뭘까? 엉망진창인 세상 속에서 그가 정치인으로서 지키고 싶은 품격은 무엇일까? 이 인터뷰에서 ‘과소대표되었던 목소리’를 대변하는 사람 장혜영이 앞으로 펼쳐 보일 정치에 대한 밑그림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과소대표되었던 목소리를 대변하는 정치를 향해」 p.28)

뉴질랜드 총리 저신다 아던, 세계 최연소 총리인 핀란드의 산나 마린, 재임에 성공한 대만 총통 차이잉원 등 전 세계적으로 여성 정치인의 행보가 눈길을 끈다. 이 중 산나 마린 총리는 내각의 절반 이상을 여성으로 임명했고, 그들 상당수는 30대 초반이다. 핀란드에서 가능했던 정치가 너무 먼 나라 이야기일까? 『한겨레』 박다해 기자가 세계 여성 정치인들이 바꿔가고 있는 정치 지형을 짚어본다.(「우리가 열망하는 변화」 p.40)

임솔아 작가에게는 열렬하게 정치하는 여성으로 살고 있는 친구가 있다. 문단 내 성폭력 해시태그 운동이 시작된 후 피해자와 연대하며 그들의 도움 요청에 가장 먼저 달려갔다는 친구. 그 누구보다 아픈 몸으로 아픈 여성에게 열심히 응답한 친구의 안부를 묻는 듯한 작가의 글에서 여성 연대의 따스한 온도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정치하는 여성은 어디에나 있다」 p.46)

불꽃페미액션과 페미당 창준위에서 활동 중인 이가현은 이번 총선에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여성을 위해 말하고 행동하는 정치인, 양심을 지키면서 힘을 발휘하는 정치인이 되기 위해 달려온 그의 포부를 들어본다.(「힘을 발휘하는 우리가 되는 것」 p.52)

we are womankind: England
창의적으로 때론 전투적으로 싸웠던 그들


『우먼카인드』 11호가 찾아가는 나라는 영국이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인물은 여성참정권 운동가 에멀린 팽크허스트다. 20세기 초 여성참정권 운동가들은 투사였고, 팽크허스트는 그 투사들의 빼어난 지휘관이었다. 창의적이고 전략적으로 싸우기 위해 그가 감행한 지혜와 용기. 소설가 니암 보이스가 팽크허스트와 여성사회정치연맹 회원들이 일궈낸 영국 여성참정권 운동의 전말을 상세히 들려준다.(「싸우는 사람 에멀린 팽크허스트」 p.58)

버네사 벨은 화가이자 실내 장식가였다. 20세기 초 영국 예술가와 지식인의 모임 ‘블룸즈버리 그룹’을 동생 버지니아 울프와 함께 만들어 활동한 인물이다. 버네사 벨은 화가로서의 예술적 재능뿐만 아니라 삶을 살아가는 데도 탁월한 재능이 있었다, 소설가 케이트 케네디가 버네사 벨의 자유로운 예술 세계와 대담한 인생을 생생하게 읽어낸다. 버네사 벨의 그림 작품과 블룸즈버리 그룹의 아지트이자 버네사 벨의 작업실이었던 찰스턴 하우스의 풍경도 만끽할 수 있다.(「버네사 벨과 찰스턴 하우스」 p.84)

런던 로열 코트 극장의 예술감독 비키 페더스톤은 현재 영국 연극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이다. 페더스톤은 전 세계적으로 미투 운동을 촉발한 하비 와인스타인의 성범죄가 폭로되자 영국 연극계에 만연한 권력 남용의 문제를 따지기 시작했다. 그는 연극계의 위력 성범죄를 근절하는 방안을 논의했고, 성범죄를 추궁하기 위한 연극계 행동 규범을 만들었다. 냉정하게 시비를 가리고 규범을 만들어 조직의 회복력을 도모하는 페더스톤은 리더가 갖춰야 할 자질과 역량을 보여주는 좋은 예다.(「예술적 관점이 가능하게 한 변화」 p.104)

이 밖에도 화가 조지 언더우드의 작품 세계를 만난다. 그는 1970년대에 수많은 밴드의 앨범 커버를 디자인했으며 현재는 화가의 삶을 살고 있다. 특히 록스타 데이비드 보위와 인연이 깊은 인물이다. 그로부터 보위와 얽힌 에피소드, 그리고 자신의 작업 이야기를 듣는다.(「자기 자신에게 솔직한 예술」 p.68) 옥스퍼드는 세계 어느 곳보다 높은 작가 밀도를 자랑하는 도시다. 소설 창작과 관련이 깊은 이 도시의 명맥을 현재까지도 이어가고 있는 여성 작가들의 활약 또한 흥미롭다.(「문학적 영감의 도시 옥스퍼드」 p.132)

회원리뷰 (4건) 리뷰 총점10.0

혜택 및 유의사항?
여성잡지, [우먼카인드]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f*******i | 2020.05.17 | 추천1 | 댓글0 리뷰제목
아무튼 여성잡지라니!게다가 이번 주제는 '정치하는 여성들이 가져올 미래'이다. 내가 이번 총선에 투표하기 전 출마하는 당과 의원들을 볼 때 압도적으로 남성이 많은 것을 보았다. 그 사이에서 여성 4명이 정장을 입은 모습을 보고 멋있다고 생각하기도 했었다. 항상 역사 공부를 하면 거의 남성 중심의 서사가 많았다. 이번에도 역사책을 읽으며 남성 중심의 역사가 많다는 것을 확연;
리뷰제목

아무튼 여성잡지라니!

게다가 이번 주제는 '정치하는 여성들이 가져올 미래'이다.

내가 이번 총선에 투표하기 전 출마하는 당과 의원들을 볼 때 압도적으로 남성이 많은 것을 보았다.

그 사이에서 여성 4명이 정장을 입은 모습을 보고 멋있다고 생각하기도 했었다.

항상 역사 공부를 하면 거의 남성 중심의 서사가 많았다.

이번에도 역사책을 읽으며 남성 중심의 역사가 많다는 것을 확연히 느꼈다.

물론 이제껏 우리 나라를 빛내주신 위인들을 폄하할 목적으로 말한 것이 아니다.

그런 위인들이 탄생하는 과정에서 여성에게 주어진 역할이 무엇인가를 고려했을 때 한 말이다.

남성들이 서로에게 투표를 하고 정치적 투쟁을 할 때 여성들은 다른 의미로 투쟁을 했었다.

그것은 바로 투표권을 얻기 위해 투쟁을 하는 것이었다.

'여성참정권 운동'

지금 보면 조금 낯선 단어같다

나도 잡지를 읽으며 살짝 낯설기도 하였다.

여성에는

부당한 상황에서 굴복하거나 들고 일어나는

두 가지 선택권이 있다.

에멀린 팽크허스트

에멀린 팽크허스트는 <우먼카인드>잡지의 표지에 있는 사람이다.

그녀는 여성 참정권론자였다.

그녀를 다룬 챕터를 보며 정말 치를 떨기도 했고 되려 용기를 가지기도 했다.

'생각 많은 둘재 언니'라는 유투브를 운영하는 장혜영 의원.

그녀를 다루는 인터뷰를 보며 나는 많은 생각이 들었다.

나는 장혜영 의원은 이전부터 알고 있었다.

바로 유튜브를 통해서 말이다.

장애인 인권에 대해 알아보려던 차에 발견한 보물같은 채널이었다.

이 채널은 발달 장애인 동생을 시설에서 벗어나게 해 자신과 함께 사는 모습을 보여주는 채널이었다.

그냥 아무 생각 없이 보던 이 유투버가 후에 정의당 미래정치특별위원장이 될 줄 전혀 몰랐다.

아니, 정치에 접근한다고 생각도 못했다.

그래서 더 감격스러웠고 정말 응원하고 싶었다.

느낀 점

-정말 다양한 인물과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나는 살면서 난생 처음 들어보는 사람도 많았고 여러 새로운 사실들을 알게 되었다.

사실 잡지라 하면 그 잡지만의 고유한 성격이 분명 존재한다고 생각하는데 이 잡지는 새로운 지식을 보는데 아주 유용한 잡지이다.

지식이라고 해서 학문적인, 무거운 것만 다룬다기 보다 우리 주변의 여성들은 어떻게 사는지도 알 수 있었다.

국적을 떠나 다양한 인종을 만날 수 있었고 나이도 상관없어 세상을 보는 눈이 좀 더 넓어진 것 같기도 했다.

여러 인터뷰들과 편지들을 보면서 내가 앞으로 살아갈 때 어떤 마음가짐으로 살 수 있는지를 제시하는 것 같기도 했다.

그리고 무조건 여자만 다루는 것이 아니었다.

남성 예술가도 나오고 반려견 등도 담고 있어 누구나 읽을 수 있다.

혹시나 '여성'메거진이라는 초점에 맞춰 꺼리는 사람도 읽으면 그런 마음이 사라질 것이다.

너무 공격적이지도 않고 내겐 유익하고 읽는 동안 재미난 시간이었다.

-인터뷰, 이야기 등 보다 개인적인 수기를 통한 여성과의 유대감

나는 이 잡지를 지루하지 않게 본 이유가 다양한 여성들의 인터뷰와 편지, 이야기 등이 담겨 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다른 나라에 사는 그녀들, 그리고 각기 다른 인생을 사는 그녀들의 이야기를 보면 뭔가 모를 유대감이 느껴졌다.

이런 식으로 다른나라 여성의 삶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가지는 것도 정말 좋은 방식이란 생각이 들었다.

무엇이 그녀들을 이끌었는 지, 무엇을 통해 한 단계 성장의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되었는 지 발견할 수 있게 해주었다.

-아름다운 삽화들의 향연

이 잡지는 표지부터 확 끌리는 무언가가 있었다.

색감부터 해서 디자인에 정말 신경을 많이 쓴 것 같았다.

다른 호들을 보아도 역시 표지부터 장난아닌 디자인 실력을 보였다.

글과 그림을 둘 다 충족시키는 느낌이랄까?

그리고 화가들을 설명하며 다수의 작품들을 넣어주어 굳이 찾지 않아도 쉽게 볼 수 있었고 책이지만 화질도 선명했다 .

다 보고 구독하고 싶다고 느낀 잡지!

좋은 기회에 감사하고 앞으로 모든 여성들을 위하여!

1명이 이 리뷰를 추천합니다. 공감 1 댓글 0
정치하는 여성들이 가져올 미래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y****6 | 2020.05.17 | 추천1 | 댓글0 리뷰제목
    2017년 창간호 이래로 드문드문 챙겨보게 되는 잡지 우먼카인드. 벌써 Vol.11호가 출간되었다.계간지로 출간되는 여성의 언어로 여성의 시선으로 세상을 말하는 잡지. 우먼카인드 3월 8일 세계여성의 날, <여성의 당>이 창당되었다.21대 총;
리뷰제목


 

 

 

2017년 창간호 이래로 드문드문 챙겨보게 되는 잡지 우먼카인드. 벌써 Vol.11호가 출간되었다.

계간지로 출간되는 여성의 언어로 여성의 시선으로 세상을 말하는 잡지. 우먼카인드

 

3월 8일 세계여성의 날, <여성의 당>이 창당되었다.

21대 총선 전체의석 300석 중 여성의원은 비례대표 포함(28名) 58명으로 역대 최대 기록이다.

이번호의 표지는 영국의 여성참정권 운동가 에멀린 팽크허스트(1858-1928)

그녀는여성에게 두가지 선택권이 있다고 말했다.

부당한 상황에 굴복하거나  VS 들고 일어나거나 둘중 하나의 기로에 섰을때 선택의 몫은 자신에게 있다.

 

이번호에서 다뤄지는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의 당 창당에 관한 이야기를 읽으며 정치하는 여성들이

가져 올 미래를 내다본다.  여성의 삶이 종속되지 않는 삶.

자신을 표현하고 스스로의 가능성을 상상하기 위해 자기만의 방이 필요하다고 했던 버지니아 울프의

글처럼 여성으로서의 삶은 여성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변화한다.

누군가, 스스로 행동하지 않으면 변하지 않는것중 하나다.

사람들은 불가능하다는 말로 어렵다는 말을 대체하려고 하지만, 불가능한 일이 일어나는 사회가 희망

적이다. 육아와 경력중 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가?

여성이라면 대부분 한번쯤은 선택의 기로에 서게될 삶의 기로에서 나도 꽤 오랜 고민을 했던 육아와

병행해야 했던 경력의 걸림돌 같았던 사안들.

결국 남성보다는 여성의 사회활동은 많은 제약과 감수해야 할 일들이 많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인생의 결정적인 순간들은 번개가 치듯 뜻밖의 경험을 통해 찾아온다는 말 또한 삶에 변화를 맞는

커다란 계기가 된다.


우먼카인드는 매호 다양한 나라들의 여성들의 삶의 이야기에도 주목한다.

지구촌의 여성들의 다양한 삶을 통해 나와 우리, 과거와 헌재 그리고 미래로 이어지는 다양한 삶의

방향과 사례들을 보고 듣고 예측한다.

한 나라의 경제지표와 삶의 질을 가늠해 보는 국내 총 생산지표는 행복과 정비례하지 않는다.

따라서 행복예산이라는 이번호에 실린 용어를 통해 일상에서 행복의 지표가 무엇인지를 좀더 깊게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이번호에 실린 다양한 카테고리중 영국식 정원이 국가예술로서 시민농장을 운영하는 방식이라든가

영국 런던의 로열 코트극장의 예술감독 비키 페더스톤과의 인터뷰를 통해 진정한 리더십에 대한 그녀의

이야기가 와 닿는다.

"진정한 리더십이란 구성원들이 자신의 역량을 자유롭게 발휘 할 수 있다고 느끼게 함으로써 긍적적인

환경을 조성해내는 능력이다."

사회안에서는 누구나 지신이 강한 자존감을 지녔으며 그 안에서 안정감을 느낀다고 주저없이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세계 어느 곳보다 높은 작가 밀도를 자랑하는 옥스포드의 <블랙웰>서점과 문학적 영감의 도시 옥스포드

를 탐방한다. 문학적 영감이 넘쳐나는 배경과 작가들의 문학정 중추가 되었던 공간에 대한 이해.

이 외에도 영국예술하면 떠오르는 붉은 머리의 여인을 그린 작가 단테 가브리엘 로세티의 작품세계와

작품의 배경에 얽힌 사연들을 소개한다.

뭐든 할수 있거나 하고 싶은게 있다면 바로 시작하라.

대답한 용기속에 천재성과 능력, 그리고 기적이 숨어있다.

 

1명이 이 리뷰를 추천합니다. 공감 1 댓글 0
포토리뷰 정치는 여성의 미래다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N******e | 2020.05.16 | 추천1 | 댓글0 리뷰제목
정치는 특정 집단에게만 주어지는 특권인가? 주류 집단, 그들만의 리그에서 행해지는 성스러운 의식인가?최근 들어 정치는 우리의 일상생활을 바꾼다ㅡ는 문장이 사람들의 의식 속에 잘 자리잡고 있는 것을 느끼며 '정치의 대중화'는 꽤나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고 보입니다. 그러나 '정치의 평등화'는? 여성에게도 평등한가ㅡ 생각해보면 글쎄올시다. <우먼카인드> 11호는 21대 총선;
리뷰제목
정치는 특정 집단에게만 주어지는 특권인가?
주류 집단, 그들만의 리그에서 행해지는 성스러운 의식인가?

최근 들어 정치는 우리의 일상생활을 바꾼다ㅡ는 문장이 사람들의 의식 속에 잘 자리잡고 있는 것을 느끼며 '정치의 대중화'는 꽤나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고 보입니다. 그러나 '정치의 평등화'는? 여성에게도 평등한가ㅡ 생각해보면 글쎄올시다. <우먼카인드> 11호는 21대 총선 결과, 여성의원이 확보한 의석의 숫자로 글을 열고 있습니다. '역대 최대'라는 미사여구로 아무리 수식해도 데이터는 냉정하게 말해주지요. 여성의 자리는 20퍼센트도 채 안 된다고.

역사적으로 수많은 항의와 운동, 오랜 투쟁 끝에 여성의 참정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고, 유명 여성 정치인이 여럿 나왔지만 여전히 주류 정당에서 여성담론의 헤게모니를 가져오는 데는 요원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성에게는 자기만의 당이 필요하다고 '여성의 당' 공동대표 김진아 작가는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결국 정치하는 여성들이 가져올 미래는 여성에게 자기만의 당이 필요하지 않는 사회일 것입니다. 여성 정치인이 그냥 정치인으로 불리는 시대, 의제를 설정하는 데 있어 여성ㅡ이 소멸할 수 있는 시대를 만들기 위해 우리는 과소대표된 여성 정치인의 목소리가 주는 환상에만 심취해있지 말고, 더 많은 여성을, 특히 지극히 일상적인 여성들을 정치하게 해야 합니다. '정치는 여성의 미래다!' 외치고 싶은 마음의 발로로서 <우먼카인드> 11호를 읽어보시라 적극 권하는 바입니다.


여성을 위한 정당이라니 아직도 여자 남자 따지느냐, 시대착오적이라는 이들도 있다. (중략)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와 가해자 연령이 점점 더 낮아지는 것과 여성의 당 10대 당원 수가 적지 않은 것은 동전의 앞뒷면처럼 연결되어 있다. 다른 정당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연령대는 자신의 안전과 경제권이 위협받고 있음을 일찍부터 자각함 여성이 많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여성의 당은 시대착오적이 아니라 그 어느 정당보다 시대반영적이다. - 25-26쪽, '여성에겐 자기만의 당이 필요하다' 중



http://www.instagram.com/p/CABAgZZgpeP/?igshid=11ta524436ifx

1명이 이 리뷰를 추천합니다. 공감 1 댓글 0

한줄평 (2건) 한줄평 총점 10.0

혜택 및 유의사항 ?
평점5점
이번 호는 지극히 성평등이 필요한 영역인 정치에서 여성 이 나가야 할 방향을 고민합니다.
1명이 이 한줄평을 추천합니다. 공감 1
N******e | 2020.05.16
구매 평점5점
추천합니다. 여기 출판사에서 나오는 잡지들이 다 좋네요.
이 한줄평이 도움이 되었나요? 공감 0
YES마니아 : 플래티넘 제**본 | 2021.02.02
  •  쿠폰은 결제 시 적용해 주세요.
1   14,250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