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0년 06월 05일 |
---|---|
쪽수, 무게, 크기 | 248쪽 | 484g | 170*250*20mm |
ISBN13 | 2590471959009 |
발행일 | 2020년 06월 05일 |
---|---|
쪽수, 무게, 크기 | 248쪽 | 484g | 170*250*20mm |
ISBN13 | 2590471959009 |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8 [2019]
14,250원 (5%)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13 [2021]
14,250원 (5%)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14 [2021]
14,250원 (5%)
블루스트리트 (BLUE STREET) B형 (계간) : Vol.13 취향저격 카페생활 - 오늘, 당신의 끌림은 어디인가요? [2020]
10,800원 (10%)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2 [2018]
14,250원 (5%)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6 [2019]
14,250원 (5%)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9 [2020]
14,250원 (5%)
News&Issues “면역력을 아십니까?”|이원우 ‘젊음의 샘’을 찾아서|해리엇 홀 명상에 대한 명상|제퍼슨 피쉬 Cover Story 왜 음모론은 사라지지 않는가 왜 음모론은 사라지지 않는가 | 전상진 사람들은 왜 음모론을 믿는가 | 마이클 셔머 누가 음모론을 만드는가 | 김준일 Special Section 코로나 시대의 삶, 우리는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코로나19 이후 최상의 시나리오와 최악의 시나리오|재레드 다이아몬드 실존적 위험과 인류의 미래|토비 오드 Focus 세상은 더 나아지고 있는가, 그렇지 않은가? 우리가 더 나은 세상에 살고 있다고?|리 매킨타이어 거짓은 진보를 가로막을 수 없다| 마이클 셔머 Theme 바이러스를 상대하려면 직관을 버려라| 이상아 과학자는 어떻게 가설을 만드는가| 전주홍 Column 수돗물 불소화 논쟁|해리엇 홀 개미와 인간을 비교해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알렉산더 판친 집중연재 상상, 인간을 특별한 존재로 만들다 | 김상욱 본능의 진화 | 이대한 Agenda & Article 아름다움의 진화 | 빅터 존스턴 파란색 냄새를 맡는 소녀 | 제시 베링 |
상당히 오래된 책인데 왜 음모론에 빠질까 라는 주제가 흥미로워서 구매하였습니다. 늘 지켜보던 잡지인데 이제야 사보게 되네요. 책이 가벼워서 좋고 내용은 무겁지만 읽기 쉽게 쓰여있어서 좋았습니다. 음모론에 대한 글 말고도 특히 핑커의 우리 인간의 선한 본성에 대한 토론도 관심깊게 읽었습니다. 찬반이 잘 토론되어 있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다음에도 좋은 주제 부탁드립니다.
코로나가 벌써 3년이 지났다.
엊그제 마스크 사려고 줄 섰던것 같은데....
이제는 그냥 하나의 해프닝 같은 느낌이다.
세계적인 정치질에 놀아난 느낌.
밑단에 있으면 싫어도 참고 군중과 따라가야하는 일들이 참 많다.
외롭고 괴롭고 따분하다. 어떨때는 고통스럽기까지 하다.
윗단에 있으면 괜찮겠냐 싶지만, 그것도 엄청 피곤할테지.
이 잡지는 과학 잡학잡지 느낌이 나서 쉽게 다가갈 수 있게 만든다.
역시 편집장도 외국 음모론관련 사람.
사람들은 힘들땐 샤머니즘 토테미즘을 찾는다. 결국 신도 그런 것 아닌가?
매 호마다 그렇듯 생각할 거리와 새로운 시선을 주는 잡지. 물론 이해하기 어려운 기사들도 있지만 나름 괜춘...
음모론, 코로나이후의 시대에 대한 생각.
세상은 더 나아지고 있는가, 거짓과 진보? -지금 팩트풀니스를 읽고 있어서 더 인상깊었다.
면역력, 명상, 노화하지 않는 법?
바이러스, 과학자가 만드는 가설?
그리고 집중 연재로 이어지고 있는 인간이 특별한? 이유에 대한 기사들.
아침마다 한 꼭지씩 읽었는데, 어떤 건 오래 걸렸고 어떤 건 금방 읽었다.
- 면역력을 아십니까
요즘 주목받는 이야기들이긴 하다.
중용; 뭐든 그렇듯 적당, 적절해야 한다.
유전적 요소, 환경적 요소 모두 있다.
인체 면역 반응은 너무 복잡하다.
명확한 해석 가능한 결과 나오는 특정 면역 세포의 반응 위주로 측정하는 게 좋겠다는 분위기.
면역 모니터링 기술 이용한 개인의 면역상태를 객관적,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사업이 성장할 듯.
주장: 연구 결과와 모순되거나 지지하는 연구결과가 없는
식습관이 건강에 미치는 효과는 실제로 먹은 음식의 결과 이지 그렇게 선택했기 때문이 아니다?
; 선택에 따라 그 결과가 나오는 거 아닌가?
- 음모론은 고통을 설명하는 이론..
음모론을 따르는 이유는 그에 담긴 저항적 태도에 공감하기 때무이다.
저 신뢰 사회에서 불투명성이 높을 때 음모론은 힘을 발휘한다.
음모론은 세상이 작동하는 방식에 대한 관점
-코로나19가 세계인을 결집시키기 위한 위기 극복 모델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최상의 시나리오는 공동으로 처한 문제 인식하고 함께 해결해가는 것.
최악의 시나리오는 각 국가가 독자적으로 문제 처리하려고 하는 것이다.
전주홍의 과학자는 어떻게 가설을 만드는가.; 읽기 어려웠다.
화가 나서 숨을 거칠게 내쉬는 것이 아니고 숨을 거칠게 내쉬는 행동을 뇌에서 화라고 해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