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하드보일드 탐정 소설의 개척자 레이먼드 챈들러 대표작. 테리 레녹스라는 남자와 친해진 탐정 말로. 아내를 살인한 용의자로 의심받게 된 레녹스를 도우며 밝혀지는 사건의 비밀을 담았다. 열정 넘치던 청년의 모습을 지나, 중년에 이른 탐정 말로의 원숙함과 특유의 냉소가 돋보이는 소설. - 소설MD 이주은
|
기나긴 이별
작품 해설: 지친 탐정에게 보내는 연서 (김용언) 역자 후기: 비열한 거리에 서 있는 남자의 초상 레이먼드 챈들러 연보 |
Raymond Chandler
레이먼드 챈들러의 다른 상품
김진준의 다른 상품
다음번에 롤스로이스 실버레이스를 타고 있는 예절 바른 주정뱅이를 다시 만나게 된다면 부랴부랴 갈팡질팡 도망쳐야지. 스스로 만든 함정보다 치명적인 함정은 없다.
--- p.130 사설탐정의 하루가 그렇게 지나갔다. 딱히 평범한 날은 아니었지만 아주 특별한 날도 아니었다. 사람이 이런 일을 계속하는 이유는 아무도 모른다. 부자가 될 수도 없는 데다 재미도 별로 없다. 때로는 두들겨 맞거나 총질을 당하거나 유치장에 처박히기 일쑤다. 드문 일이지만 죽기도 한다. 두 달에 한 번씩은 이 일을 그만두고 그럴싸한 직업을 찾아야겠다고 결심한다. 걸음을 옮길 때마다 머리가 제멋대로 흔들거리기 전에. 그런데 그때마다 초인종이 울리고, 내실 문을 열고 대기실로 나가면 새로운 얼굴이 새로운 골칫거리와 새로운 슬픔을 한 아름 안고 나타나서 약간의 돈을 내민다. --- pp.238~239 법조인들이 해결하게 내버려 둬요. 그 인간들이 법을 만드는 이유는 딱 하나예요. 그래야 다른 법률가들이 나서서 판사라는 또 다른 법률가들 앞에서 법을 낱낱이 해부할 테니까, 그래야 다른 판사들이 나서서 1심 판결이 잘못됐다고 말할 수 있을 테고, 그래야 대법원 판사들이 재심 판결도 잘못됐다고 말할 수 있으니까. 맞아요, 세상에는 법이라는 게 있죠. 너무 많아서 빠져 죽을 지경이죠. 그런데 법이 하는 일이라고는 법률가들한테 일거리를 만들어 주는 것뿐이에요. 변호사들이 법망을 빠져나가는 요령을 가르쳐 주지 않았다면, 거물급 깡패들이 얼마나 오래 버티겠어요? --- p.476 「버니 선배는 아주 좋은 경찰이지만 너무 순진해서 탈이야. 어떤 면에서는 모든 경찰이 똑같아. 다들 엉뚱한 것들만 탓한다니까. 누가 주사위 노름판에서 월급이 털리면 도박을 금지하라고 하지. 누가 곤드레만드레 취하면 술을 금지하라고 하고. 그럼 누가 교통사고로 죽으면 자동차를 금지해야겠네. 누가 호텔방에서 여자랑 뒹굴다가 잡혀가면 성교를 금지해야겠네. 누가 계단에서 구르면 집도 짓지 말아야겠네.」 「거 입 좀 닥쳐!」 「그래, 입 닥쳐야지. 나야 평범한 시민이니까. 정신 차리쇼, 버니. 우리한테는 마피아도 범죄 조직도 깡패들도 따로 없소. 시청이나 의회만 가도 썩어 빠진 정치인 패거리가 수두룩하니까. 범죄는 질병이 아니라 증상이야. 경찰은 뇌종양 걸린 사람한테 아스피린이나 먹이는 의사와 다름없지. 물론 곤봉 들고 손수 치료하겠다고 설치는 경찰은 빼고. 우리는 인구 많고 난폭하고 부유하고 자유분방한 국민이고, 범죄는 우리가 치러야 하는 대가요. 조직범죄는 조직화의 대가라고 해야겠지. 앞으로도 오랫동안 감수할 수밖에 없소. 조직범죄는 돈의 더러운 일면일 뿐이니까.」 --- pp.531~532 우리는 작별 인사를 했다. 나는 택시가 안 보일 때까지 지켜보았다. 다시 계단을 올라갔고 침실에 들어가 침구를 걷어 내고 새것으로 갈았다. 베개 밑에 긴 갈색 머리카락 한 올이 남아 있었다. 가슴속에 납덩이가 쿵 떨어지는 듯했다. 프랑스인들이 그런 느낌을 잘 표현했다. 젠장, 그 인간들은 모든 상황을 절묘하게 표현하고 언제나 정곡을 찌른다. 이별을 할 때마다 조금씩 죽어 가네. --- p.551 |
사설탐정 필립 말로는 고급 클럽 [댄서스] 앞에서 억만장자의 딸과 결혼한 독특한 매력의 남자 테리 레녹스를 우연히 만나게 된다. 술에 취해 인사불성이 된 레녹스를 말로가 집에 데려다 재워 준 인연을 시작으로, 두 사람은 자주 만나 술잔을 기울이며 마음을 나누는 친구 사이가 된다. 넘쳐나는 부에 둘러싸여 지내면서도 어딘지 어두운 일면이 엿보이던 레녹스. 그러던 어느 날 아침, 레녹스는 장전된 권총을 들고 다급하게 말로의 집 초인종을 누른다. 그는 간밤 자신의 아내가 누군가에게 끔찍하게 살해당했다고 말하며, 말로에게 한 가지 도움을 요청하는데…….
|
“내가 쓴 최고의 책은 『기나긴 이별』이다.”- 레이먼드 챈들러
하드보일드 소설의 대표 고전 레이먼드 챈들러가 창조한 전설적인 탐정 필립 말로의 활약을 담은 대표작 레이먼드 챈들러의 장편소설 『기나긴 이별』이 김진준 씨의 번역으로 열린책들에서 출간되었다. 열린책들 세계문학 시리즈의 252번째 책이다. 미국의 대표적인 추리 소설가 레이먼드 챈들러는 추리 소설계의 중요한 한 흐름을 형성하는 하드보일드 탐정 소설의 원조이자 대가로 평가되는 작가다. 그의 작품들은 불필요한 수식을 배제한 간결한 문체, 냉혹하고 비정한 현실 묘사, 생생한 거리의 언어로 이루어진 거친 대사들과 시니컬한 유머 등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보일드 탐정 소설의 대명사로 자리 잡았다. 특히 그가 창조한 매력적인 탐정 캐릭터 필립 말로는 셜록 홈스와 더불어 세계 추리 문학의 전설적인 탐정 중 하나로 손꼽히며 전 세계의 수많은 팬들을 양성해 냈다. 철저한 관찰과 분석을 바탕으로 논리적인 추리를 해나가는 홈스와는 달리, 직접 사건 현장에 뛰어들어 육탄전을 벌이기도 하며 순발력 있게 사건을 해결해 나가는 말로의 활약은 이후 탄생한 수많은 하드보일드 탐정 소설들의 모범이자 전설이 되었다. 『기나긴 이별』은 챈들러의 가장 널리 알려진 대표작으로, 대실 해밋의 『몰타의 매』, 로스 맥도널드의 『움직이는 표적』과 더불어 하드보일드 3대 걸작으로 손꼽히는 작품이다. 1939년 출간한 챈들러의 첫 장편소설 『빅 슬립』부터 이어진 『필립 말로』 시리즈의 후기 걸작으로, 초기작의 에너지 넘치던 냉소적 청년에서 이제 40대 중년에 이른 탐정 말로의 원숙한 매력을 엿볼 수 있는 소설이다. 억만장자의 딸인 아내를 끔찍하게 살해한 용의자로 몰린 수수께끼의 인물 테리 레녹스, 그와 우연히 인연을 맺게 된 말로와 레녹스의 짙은 우정, 레녹스의 혐의와 자살을 둘러싼 비밀들을 풀어 나가는 과정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작품으로 챈들러는 1955년 미국 추리 작가 협회의 최우수 작품상인 에드거상을 수상했으며, 후대 하드보일드 작가들은 물론 무라카미 하루키를 비롯한 현대 주요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무라카미 하루키는 이 작품을 자신이 가장 사랑하는 작품 중 하나로 손꼽으며 최소 열두 번 이상은 읽었노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1973년에는 로버트 올트먼 감독에 의해 영화로 제작되어 화제를 모으며 미국 누아르 영화 역사의 한 획을 그었다. 주인공 역은 엘리엇 굴드가 맡았다. 이 책을 옮긴 김진준 번역가는 이 작품 특유의 하드보일드한 문체, 특히 거리의 거친 느낌이 살아 있는 날것의 언어들을 생생한 입말로 능숙하게 옮겨 이 작품을 더욱 실감나게 즐길 수 있도록 했다. 또 미스터리 문학 전문가인 김용언 씨가 작품 해설을 집필하여 챈들러를 사랑하는 독자들이 보다 깊고 전문적인 시선에서 이 작품을 함께 음미할 수 있도록 했다. 중년에 다다른 탐정 필립 말로 그 비열한 거리에 버티고 서 있는 한 남자의 초상 이 작품에서 말로는 테리 레녹스라는 인물로 인해 휘말리지 않아도 될 온갖 사건들에 휘말리게 된다. 그러면서 말로가 발을 들이게 되는 곳은 상류층들만 거주하는 경치 좋은 동네부터 법과 정의가 통하지 않는 음습하고 적나라한 폭력의 현장까지 매우 다양하다. 그 과정에서 그는 자본주의 사회의 이면에 도사린 어두운 현실들을 마주하기도 하고, 거대 재벌과 경찰, 물불을 가리지 않는 조직폭력배들에게까지 온갖 협박과 경고, 폭행을 당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말로는 적당히 물러나기보다 특유의 냉소적인 유머로 고난을 받아 넘기며 고독한 싸움을 계속해 나간다. 그러나 『기나긴 이별』에서 중년에 이른 필립 말로는 이제 전작들의 에너지 넘치던 젊은이가 아니다. 냉소는 점점 더 심해져서 세상에 대한 쓰디쓴 무관심으로 변했고, 비정한 현실을 뼈저리게 아는 만큼 더욱 염세적으로 세계를 바라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구축한 윤리와 믿음의 체계는 여전히 완강하게 고수하는 모습이 오히려 깊은 인상을 남긴다. 사람은 보통 나이가 들수록 세상에 적응하며 유해지기 마련이지만, 말로는 그렇지 않다. 현실에 대해서는 더욱 차디찬 냉소로 일관하면서도, 본인이 옳다고 믿는 길을 고집스레 걸어가며, 누구보다 신실하게 우정을 지켜 가는 모습이 은근한 감동을 주기도 한다. 이 [불화의 힘], 타협하지 않고 묵묵히 비열한 거리를 걸어가는 [고독하고 우울한 단독자]의 형상은 필립 말로가 오랫동안 하드보일드 독자들의 열렬한 사랑을 받은 가장 큰 이유일 것이다. [말로도 늙어 가고, 독자들도 나이를 먹어 간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로는 지나치게 많은 (수상쩍은) 돈을 변함없이 거절하고, 부자들의 허영과 기만을 부러워하지 않고, 어차피 더 강하고 높은 자들에게 굽실거릴 것이 분명한 권력자들의 허세 앞에서 기죽지 않고, 누군가와 가정을 꾸려서 뒤늦게라도 [남들처럼] 살아 보겠다는 희망을 품지 않고, 혼자서, 천천히, 비열한 밤길을 걸어간다. 『기나긴 이별』은 이 강인하고 결벽증적인 남자의 뒷모습에 바치는 가슴 사무치는 연서다.] (「작품 해설: 지친 탐정에게 바치는 연서」 중에서) 가장 위대한 추리 작가의 하나. 그가 세운 기준은 후세의 작가들이 여전히 넘기 힘든 것이다. - [선데이 타임스] 챈들러는 다른 종류의 탐정을 탄생시켰다. - [더 타임스] 챈들러는 첫 문장부터 독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작가이다. - [데일리 텔리그래프] |
내게 가장 중요한 책은 세 권이다. 『까라마조프 씨네 형제들』, 『위대한 개츠비』, 그리고 『기나긴 이별』. 『기나긴 이별』을 나는 최소 열두 번은 읽었다. - 무라카미 하루키
|
챈들러는 독창적인 스타일리스트이다. 그는 셜록 홈스에 비견될 불멸의 등장인물을 창조했다. - 앤서니 버지스
|
챈들러 작품의 도입부들은 다시 한번 나를 경탄하게 한다. 미국 영어의 특질을 그보다 더 잘 이해한 작가는 없었다. - 줄리언 시먼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