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머리말(박수진)
프롤로그 남아시아의 스마트시티-구조와 방향(손정렬) 제1부 스마트시티와 세계 속의 남아시아 제1장 스마트시티의 등장과 한국의 스마트시티 구조(이재용) 제2장 스마트시티의 세계적 흐름과 남아시아 및 한국의 도전(김용학) 제3장 아시아 도시와 남아시아의 스마트시티 전략(손정렬·김윤호) 제2부 인도의 경제·사회발전과 스마트시티 제4장 인도의 IT산업·AI·4차 산업 혁명(이명무) 제5장 인도의 도시화와 스마트시티미션의 구조 및 평가(박수진·박양호) 제6장 인도의 스마트시티 미션(SCM), 팹랩(Fab Lab), 리빙랩(Living Lab)(김윤호) 제7장 인도의 스마트시티와 교육: 스마트 교육을 중심으로(맹현철) 제8장 인도 스마트시티미션의 가능성과 한계: 신흥중산층을 통해 본 사회·정치적 맥락(강성용) 제9장 인도의 교통 및 기초인프라와 스마트시티 전략(이상건) 제10장 인도의 공간정보와 스마트시티(사공호상) 제11장 인도의 ‘지속가능한 스마트시티’ 패러다임과 한국·인도 파트너십(박양호) 에필로그(박양호) 이 책을 쓴 분들(가나다 순) |
손정렬의 다른 상품
박수진의 다른 상품
박양호의 다른 상품
강성용 의 다른 상품
김용학의 다른 상품
이재용의 다른 상품
인구와 경제대국인 인도를 포함한 남아시아에서 오늘날 도시화가 빠르게 전개되고 있다. 이 지역에서의 도시화는 열악한 주택문제, 환경오염, 교통 혼잡, 위생문제, 치안과 재해문제 등 각종의 심각한 도시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도시화로 인한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요 개발방식으로 IT 등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시티 개발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스마트시티란 IT, 환경기술(ET), 인공지능(AI) 등 스마트 기술이 인간의 기본 생활환경 수요에 접목된 도시를 의미한다. 스마트시티의 첨단 기술은 도시문제를 극복하고 경제 성장을 촉진시켜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며 친환경적인 도시로의 변모를 가져올 수 있으며, 산업발전과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남아시아에서는 스마트시티 정책이 확산되고 있다.
인도는 스마트시티 100개 개발 사업을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스리랑카 등에서도 ‘스마트 네이션(Smart Nation)’ 등의 스마트 국가도시정책을 펼치고 있다. 남아시아에서의 도시화 문제 해결과 지구촌 번영을 위해서는 유엔과 세계은행 등 국제기구를 비롯한 주요 국가에서의 남아시아 스마트시티에 대한 국제적 지원과 교류협력이 긴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는 이번에 「남아시아의 스마트시티-구조와 방향」이라는 제목의 서적을 출간했다. 이 책은 인도를 비롯한 남아시아에서의 도시화로 발생하는 여러 도시문제를 IT와 모바일, 데이터 및 에너지 기술 등 스마트 기술을 활용해 해결하는 남아시아 스마트시티 개발과 관련된 정책의 배경과 구조를 분석하고, 미래 방향 및 국제교류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인도의 스마트시티 개발과 관련해서는 정책평가 및 주요 분야별로 심층 분석하고 있으며 인도의 지속가능한 스마트시티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이 우리나라의 스마트시티 개발 경험과 지식을 응용해 인도를 포함한 남아시아의 스마트시티 정책을 지원하고 한국과의 공동발전을 위한 파트너십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하고 있다. 그리고 중앙정부와 국회, 지자체, 공기업, KOICA, 국책연구기관, 대학과 연구소, 기업, 시민단체 등에서, 나아가 세계은행과 유엔 등 국제기구에서도 인도를 포함한 남아시아의 스마트시티에 관한 지식과 경험의 공유, 시장진출 및 교류협력 등을 위해 이 책이 활용되길 바란다. ---「머리말(박수진)」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