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메가아시아의 형성과 동학
베스트
정치/외교 top100 1주
가격
35,000
5 33,25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메가아시아연구총서

이 상품의 시리즈 알림신청

책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부상하는 메가아시아의 이해(신범식)

제1부 메가아시아 인식과 전략

제2장 오래된 미래: 미중 냉전과 인도-태평양의 형성(김일년)
제3장 중국의 일대일로가 메가아시아에 미치는 영향(이창주)
제4장 러시아의 신동방정책과 대유라시아주의(성원용)
제5장 일본 아시아전략의 진화와 인도-태평양: 일본의 지역구상과 메가아시아(최경준)
제6장 인도의 아시아 인식과 전략: 지역 패권국으로서 인도 읽어내기(강성용)

제2부 메가아시아의 다중 동학

제7장 가치사슬이 연결하는 메가아시아(이준구)
제8장 이슬람금융으로 연결되는 메가아시아(이충열)
제9장 북극물류를 통한 메가아시아로의 공간확장(이성우)
제10장 메가아시아와 한류(심두보)
제11장 메가아시아 형성의 동력으로서 아세안의 간(間)지역주의 실천(최경희)

찾아보기

저자 소개11

현)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현) (사)유라시아21 회장,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중앙아시아센터장 모스크바국제관계대학(MGIMO) 정치학박사 서울대러시아연구소장, 슬라브학회 총무이사, KBS객원해설위원 등 역임 2017, 『유라시아의 심장 다시 뛰다』 (서울: 진인진) 2018, 『지구환경정치의 이해』(편저) (파주: 한울아카데미) 2020, 『북·중·러 접경지대를 둘러싼 소지역주의전략과 초국경 이동』 (서울: 이조) 2021, 『러시아의 사이버안보』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신범식 의 다른 상품

김일년은 서양 현대사를 전공한 역사가로 20세기 미국의 정치사와 지성사, 외교사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고 있다. 서울대학교에서 학부와 석사를 마친 뒤,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Ohio State University, OSU)에서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박사학위 논문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진보 진영이 유럽과 동아시아의 사회주의자와 민족주의자, 민주주의자들과 교류하는 양상을 추적했다. Diplomatic History, Modern Intellectual History, ≪역사비평≫ 등에 논문을 발표했으며, 지금은 몇 편의 학술 단행본을 집필 중이다. 현재 이화여자대학
김일년은 서양 현대사를 전공한 역사가로 20세기 미국의 정치사와 지성사, 외교사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고 있다. 서울대학교에서 학부와 석사를 마친 뒤,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Ohio State University, OSU)에서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박사학위 논문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진보 진영이 유럽과 동아시아의 사회주의자와 민족주의자, 민주주의자들과 교류하는 양상을 추적했다. Diplomatic History, Modern Intellectual History, ≪역사비평≫ 등에 논문을 발표했으며, 지금은 몇 편의 학술 단행본을 집필 중이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조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김일년의 다른 상품

중국 상하이 푸단대 외교학 박사. KMI 현지연구원, 세종연구소 객원연구위원을 거쳐 현재 아주대 정치외교학과 강사로 재직 중이다. 현재 아주대학교에서 ‘중국정치’, ‘중국의 대외관계’ 등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는 『일대일로의 모든 것』, 『동북아 신 네트워크』, 『시진핑 집권 2기의 이슈와 전망(공저)』, 『미국 바이든 행정부 시대 미중 전략경쟁과 한국의 선택 연구(공저)』, 『갑오: 120년 전 뉴스 일러스트로 본 청일전쟁(역서)』 등이 있다.

이창주의 다른 상품

현) 인천대 동북아국제통상학부 교수 현) (사)유라시아21 부회장, 크라스키노포럼 이사 상트페테르부르크국립대학교(SPBU) 경제학박사 한국비교경제학회 회장, 한국동북아경제학회 부회장, 북방경제협력위원회 민간위원 등 역임

성원용의 다른 상품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미국 워싱턴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정치학 박사 2020, “핀란드와 에스토니아의 중간국 외교: 국가 정체성과 안보·경제 정책.” 『유럽연구』 2019, “Democratic Constitutions Against Democratization: Law and Administrative Reforms in Weimar Germany and Implications for New Democracies.”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2018, 『법집행의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미국 워싱턴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정치학 박사
2020, “핀란드와 에스토니아의 중간국 외교: 국가 정체성과 안보·경제 정책.” 『유럽연구』
2019, “Democratic Constitutions Against Democratization: Law and Administrative Reforms in Weimar Germany and Implications for New Democracies.”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2018, 『법집행의 정치: 신생민주주의 국가의 법집행과 공권력의 변화』 (서울: 도서출판 이조)

최경준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현재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남아시아센터장을 맡고 있다.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Hamburg대학에서 인도학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 관심분야는 인도고전학과 인도철학이며, 최근 현대 남아시아 각국의 사회·정치적 역동성에 대한 연구로 관심분야를 확장시키고 있다. 『Die Debatte im alten Indien』과 『빠니니 읽기』 등의 저서를 포함한 글을 발표해 왔다.

강성용 의 다른 상품

한양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주된 연구주제는 글로벌 가치사슬의 관점에서 글로벌 산업의 조직 구조와 이의 지리적, 조직적 재편을 분석하고, 국가 간, 기업 간 비교연구를 통해 지구화와 경제 및 사회발전의 연관성을 해명하는 것이다. 다수의 논문을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Journal of Business Ethics』, 『Journal of Contemporary Asia』, 『Journal of Supply Chain Management』 등의 학술지에 실었다.
현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공공정책대학 경제통계학부 교수 및 공공정책대학장.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 경제학 박사. 한국금융연구원 부연구위원, 한국동남아학회 부회장, 한국동남아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지급결제학회 회장 등 역임 주요논저 : “Financial Accessibility and Economic Growth with Myagmarsuren Boldbaatar”(2015), “Assessing the Financial Landscape for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Economic Communi
현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공공정책대학 경제통계학부 교수 및 공공정책대학장.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 경제학 박사. 한국금융연구원 부연구위원, 한국동남아학회 부회장, 한국동남아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지급결제학회 회장 등 역임
주요논저 : “Financial Accessibility and Economic Growth with Myagmarsuren Boldbaatar”(2015), “Assessing the Financial Landscape for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Economic Community”(2015), “ASEAN 선도 3개국의 경기변동 요인과 위기 극복 정책 : 동아시아 금융위기 이후와 이전의 비교 분석”(2014), “아세안 경제공동체 탄생에 대한 기대와 현실”(2014), “필리핀 방사모로 이슬람 자치지역의 경제 현황과 미래 개발정책수립을 위한 제언”(2014), “동아시아 금융협력의 현황과 과제”(2013), “기후변화를 고려한 논 농업의 다원적 기능 가치”(2012) 등

이충열의 다른 상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종합정책연구본부장이자 한국외국어대학교 겸임교수. 서울시립대 대학원에서 도시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항만경제학회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통일부, 산업부, 국토부, 해수부 정책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 『항만과 도시』(2013) 논문: 「A Tale of Asia's global hub Port cities: The Spatial Evolution of Hong Kong and Singapore」(2008), 「Centrality and vulnerability in liner shipping networks: revisiting the Northeas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종합정책연구본부장이자 한국외국어대학교 겸임교수. 서울시립대 대학원에서 도시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항만경제학회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통일부, 산업부, 국토부, 해수부 정책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 『항만과 도시』(2013)
논문: 「A Tale of Asia's global hub Port cities: The Spatial Evolution of Hong Kong and Singapore」(2008), 「Centrality and vulnerability in liner shipping networks: revisiting the Northeast Asian Port Hierarchy」(2010), 「Port governance in Korea: Revisited」(2016)

이성우 의 다른 상품

성신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미국 위스콘신대학교(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싱가포르국립대학교(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에서 조교수로 근무했다. 그간 한류와 아시아 대중문화, 글로벌 미디어산업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미국 듀크대학교(Duke University) 방문학자, 한국소통학회 회장, 서울문화재단 이사, 성신여대 사회과학대학장을 역임했다. 저역서로 『Pop Culture Formations across East Asia』, 『포스트 차이나, 아세안을 가다』,
성신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미국 위스콘신대학교(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싱가포르국립대학교(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에서 조교수로 근무했다. 그간 한류와 아시아 대중문화, 글로벌 미디어산업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미국 듀크대학교(Duke University) 방문학자, 한국소통학회 회장, 서울문화재단 이사, 성신여대 사회과학대학장을 역임했다. 저역서로 『Pop Culture Formations across East Asia』, 『포스트 차이나, 아세안을 가다』, 『미디어의 이해』 등이 있다. 「Hybridity and the rise of Korean popular culture in Asia」, 「케이팝(K-pop)에 관한 소고: 한류, 아이돌, 그리고 근대성」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심두보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정치체제 민주성의 결정요인에 관한 경험적 연구: 동아시아 5개국을 중심으로」로 박사학위를 받고, 한국동남아연구소 선임연구원과 주아세안대표부 선임연구원,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 민간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한국 속 ‘동남아 현상’ 개념을 고안하여 한국과 아세안 사이의 인적 그리고 문화교류연구, 신흥지역으로서 동남아 지역에 대한 경제 및 소비시장으로서 연구, 한국기업의 동남아진출전략연구, 인도네시아 정치변동 및 정치과정연구, 아세안지역협력체연구, 한-아세안관계연구, 신남방정책 연구 등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동남아지역연구자로서 활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정치체제 민주성의 결정요인에 관한 경험적 연구: 동아시아 5개국을 중심으로」로 박사학위를 받고, 한국동남아연구소 선임연구원과 주아세안대표부 선임연구원,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 민간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한국 속 ‘동남아 현상’ 개념을 고안하여 한국과 아세안 사이의 인적 그리고 문화교류연구, 신흥지역으로서 동남아 지역에 대한 경제 및 소비시장으로서 연구, 한국기업의 동남아진출전략연구, 인도네시아 정치변동 및 정치과정연구, 아세안지역협력체연구, 한-아세안관계연구, 신남방정책 연구 등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동남아지역연구자로서 활동하고 있다.

최경희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3년 01월 30일
쪽수, 무게, 크기
410쪽 | 824g | 153*225*28mm
ISBN13
9788963475394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33,250
1 33,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