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게임 체인저와 미래 국가전략
가격
18,000
18,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1부 글로벌 복합 대전환과 게임 체인저

21세기 게임 체인저와 미래 국가전략 | 진창수·서동주
게임 체인저는 무엇인가?
게임 체인저의 몇 장면
게임 체임저는 어떤 파급 영향과 특성을 지니고 있는가?
각자도생의 국가전략에 던져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책의 구성

미중 전략 경쟁과 미래 국가전략 | 이수훈
세계 안보 정세 변화
미중 전략 경쟁 심화
게임 체인저
지역 및 국제안보 질서에 대한 영향
한국에 대한 함의

우크라이나 전쟁과 미래 국가전략 | 김정기
우크라이나 전쟁을 보는 관점과 전략적 사고의 필요성
우크라이나 전쟁의 국제적 파급과 한반도에 대한 함의
우크라이나 전쟁이 던지는 도전적 이슈들
한국의 대응 방향: 미래 국가전략에 대한 시사점
미래 국익 확대 전략으로서의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 참여와 동유럽 방산 협력

기술패권 경쟁과 미래 국가전략 | 박홍도
들어가며
게임 체인저로서의 기술
주요국의 게임 체인저 기술 대응 동향
미래 국가전략

에너지와 미래 국가전략 | 임은정
들어가며
에너지 분야 게임 체인저의 조건
미래 시나리오 전개
한국의 대응 방안
나오며

사이버 안보와 미래 국가전략 | 이기태
사이버 안보와 게임 체인저
사이버 안보의 주요 쟁점
사이버 안보 관련 미래 대응 준비
그랜드 국가전략: 인도·태평양 협력 모델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미래 국가전략 | 이상준
들어가며
글로벌 공급망 재편 요인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 전략 및 과제
나오며_

뉴 스페이스 혁명과 우주 국가전략 | 윤대엽
우주 국가전략 경쟁
올드 스페이스 혁명과 뉴 스페이스 혁명
K-뉴 스페이스 혁명?
우주 게임 체인저의 과제

보론 1: 핵전략 | 김민성
핵무기는 왜 게임 체인저인가?
전 세계 핵무기 보유 동향과 주요국의 핵전략 평가
한국의 미래 전략에의 함의

보론 2: 인권: 국제 질서와 정의, 그리고 한일 관계 | 윤석정
들어가며
국제 질서와 정의의 관계
시정 문화와 인권 관련 국제법의 발전
나오며: 한일 관계에 대한 함의

2부 각국의 게임 체인저와 대응

복합경쟁 시대 미국의 대응 | 차두현
핵심 기술경쟁력의 유지와 공급망 재편
동맹/우방 네트워크의 확장과 심화
군비 경쟁과 선도적 운용 개념의 강화

중국의 게임 체인저: 페트로 위안화? 중국 위안화 국제화의 숨은 전략 | 이창주
들어가며
배경: 기축통화, 페트로 달러
전환의 시작: 미국-사우디아라비아 관계
전환의 시작: 중국-사우디아라비아 관계
위안화 국제화, 페트로 위안화의 시동
위안화 국제화,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을까

일본의 게임 체인저 전략 | 오승희
들어가며
게임 체인저 아베 신조
전략적 연계를 통한 게임 체인저 육성 전략
나오며

게임 체인저와 국가전략: 러시아의 대응 | 이주연
미중 전략 경쟁 아래 러시아의 국가전략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미중 전략 경쟁
첨단기술에 대한 러시아의 전략
사이버 안보와 러시아 전략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한 러시아의 전략
나오며

북한의 핵개발 국가전략과 한반도 게임 체인저 | 홍석훈
들어가며
북한 핵무장과 신국제 질서의 게임 체인저
북한의 대남정책과 우리 정부의 대응
나오며: 지속 가능한 대북정책 모색 및 미래 전략

저자 소개16

일본 도쿄대학교 정치학 박사. 세종연구소 소장을 지냈으며, 현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일본연구센터 센터장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일본의 경제와 정치이며, 저서로는 『일본의 정치경제: 연속과 단절』, 『한국 일본학의 현황과 과제』, 『일본 정치경제의 효율성과 경쟁력 제고』, 『1990년대 구조불황과 일본 정치경제시스템의 변화』, 『일본 민주당 정권의 탄생과 붕괴: 대내외정책 분석을 중심으로(공저)』, 『일본 국내 정치가 한일관계에 미친 영향: 민주당 정권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진창수의 다른 상품

현) (사)유라시아정책연구원(KEPI) 부원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정치학과에서 석사학위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을 지냈다. 주요 논저로, 『현대러시아정당사』(2014), 『한러 전략적 협력의 쟁점과 과제』(공저, 2019), “한미중 삼각구도에서 러시아의 역할과 의미”(2016) 등이 있다.

서동주의 다른 상품

고려대학교 국제관계학 박사.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연구교수와 국제학부 GKS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한국국방연구원(KIDA)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미국 외교·안보정책, 한미동맹, 미중관계, 국제안보이며, 저서로는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정책 연구: 안보·국방 분야를 중심으로』, 『바이든 행정부의 아태지역 안보·국방정책: 국제정치이론의 적용』, 『트럼프 이후의 중간선거: 정당 양극화와 미국의 분열(공저)』, 『트럼프의 퇴장?: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의 평가와 전망(공저)』, 『World Politics: 미국 국내정치와 외교정책(공저)』, 『Amer
고려대학교 국제관계학 박사.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연구교수와 국제학부 GKS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한국국방연구원(KIDA)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미국 외교·안보정책, 한미동맹, 미중관계, 국제안보이며, 저서로는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정책 연구: 안보·국방 분야를 중심으로』, 『바이든 행정부의 아태지역 안보·국방정책: 국제정치이론의 적용』, 『트럼프 이후의 중간선거: 정당 양극화와 미국의 분열(공저)』, 『트럼프의 퇴장?: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의 평가와 전망(공저)』, 『World Politics: 미국 국내정치와 외교정책(공저)』, 『American Presidential Elections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공저)』, 『The Oxford Handbook of South Korean Politics (공저)』 등이 있다.

이수훈의 다른 상품

모스크바국립대학교 대학원 국제경제학과 경제학 박사 현) (사)유라시아정책연구원(KEPI) 부원장 전) 국가안보전략연구원(INSS) 수석연구위원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경남대 정치학 박사 현) 세종연구소 일본연구센터 객원연구위원 전)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실 행정관
존스홉킨스대학교 고등국제학대학원(SAIS) 국제관계학 박사 현) 국립 공주대학교 국제학부 부교수 전) 리츠메이칸 국제관계학부 조교수

임은정의 다른 상품

Lee, Kitae,李奇泰

일본 게이오대학교 정치학박사. 현재 통일연구원 평화연구실 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일본의 외교안보정책, 한일관계, 북일관계 등이며, 저서로는 『한일 관계의 긴장과 화해(공저)』, 『‘일본회의’와 아베 정권의 우경화(공저)』, 『아베 시대 일본의 국가전략(공저)』, 『전후 일본 패러다임의 연속과 단절(공저)』 등이 있다.

이기태의 다른 상품

고려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KAIST에서 경영공학 석사, 러시아 IMEMO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민대학교 유라시아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에서도 러시아 및 유라시아 경제를 가르치고 있다. 논문으로 「자유주의 경제 질서의 균열과 러시아 경제의 진로」, 「유라시아 지역에서 러시아와 중국의 협력과 대립가능성」, 「푸틴 집권 4기 러시아의 동북아·한반도 정책과 한러 외교·경협의 과제」, 「한국과 체제전환 경험 EU국가와의 중견국 경제협력 모형」 등이 있고, 공저로 『한러 혁신기술 협력』, 공역서로 『러시아를 움직이는 힘』 등이 있다.

이상준의 다른 상품

Yoon, Dae-Yeob,尹大燁

현재 대전대학교 군사학과 및 국가안전융합학부 조교수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일본 게이오대, 대만 국립정치대, 중국 북경대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했다. 주요 저서로 『중국과 일본의 전후 재발견의 정치이념과 동아시아 질서』(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6)가 있으며, 「중국 특색의 경제제재 전략: 의도, 정책수단과 의도하지 않은 결과」, 『통일연구』(2017), 「부상하는 중국의 파워구조와 동아시아 안보: 후발 부상의 한계」, 『안보학술논집』(2016), 「중국의 국가중심 정책 거버넌스와 비공유 경제의 발전: 중소기업정책을 중심으로
현재 대전대학교 군사학과 및 국가안전융합학부 조교수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일본 게이오대, 대만 국립정치대, 중국 북경대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했다. 주요 저서로 『중국과 일본의 전후 재발견의 정치이념과 동아시아 질서』(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6)가 있으며, 「중국 특색의 경제제재 전략: 의도, 정책수단과 의도하지 않은 결과」, 『통일연구』(2017), 「부상하는 중국의 파워구조와 동아시아 안보: 후발 부상의 한계」, 『안보학술논집』(2016), 「중국의 국가중심 정책 거버넌스와 비공유 경제의 발전: 중소기업정책을 중심으로」, 『국제정치논총』(2016), 「대일 경제정책의 사회적 형성: 무역 불균형과 한국과 대만의 정책대응 비교」, 『동아연구』(2016) 등 동아시아 비교정치경제 및 경제안보 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윤대엽의 다른 상품

고려대학교 국제관계학 박사 현) 통일연구원 국제전략연구실 부연구위원 전)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연구교수

김민성의 다른 상품

일본 게이오대학 법학연구과 정치학 박사. 동 대학 한국연구센터 연구원,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현재 국립외교원 일본연구센터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연구로는 「일본의 적기지 공격 능력 보유 문제: 분석 및 함의」, 「문재인-스가 정부 시기의 한일관계: 평가 및 전망」, 「1965년 체제와 아베 정권의 보통의 한일관계 만들기: 12·28 합의, 강제동원 문제 사례를 중심으로」, 「2020년 도쿄 올림픽과 아베의 올림픽: 부흥 올림픽, 헌법 개정 그리고 올림픽 연기」, 「청년세대(MZ 세대)와 일본군‘위안부’ 문제」, 「1990년대의 한일관계와 한일공동선언: 한일관
일본 게이오대학 법학연구과 정치학 박사. 동 대학 한국연구센터 연구원,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현재 국립외교원 일본연구센터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연구로는 「일본의 적기지 공격 능력 보유 문제: 분석 및 함의」, 「문재인-스가 정부 시기의 한일관계: 평가 및 전망」, 「1965년 체제와 아베 정권의 보통의 한일관계 만들기: 12·28 합의, 강제동원 문제 사례를 중심으로」, 「2020년 도쿄 올림픽과 아베의 올림픽: 부흥 올림픽, 헌법 개정 그리고 올림픽 연기」, 「청년세대(MZ 세대)와 일본군‘위안부’ 문제」, 「1990년대의 한일관계와 한일공동선언: 한일관계의 구조 변동에 의한 탈냉전기 협력과 제도화 시도」 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윤석정의 다른 상품

아산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한국국방연구원KIDA에서 근무했고, 청와대 위기정보상황팀장을 역임하였다. 한국국방연구원에서 23년간 근무 후 한국국제교류재단KF으로 자리를 옮겨 교류협력이사를 지냈다. 통일연구원 초청연구위원,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수,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객원교수 등을 역임하기도 했다. 공저로는 『한반도 2022』, 『현대 한미관계의 이해』, 『민주주의와 리더십 이야기』가 있다.

차두현의 다른 상품

중국 상하이 푸단대 외교학 박사. KMI 현지연구원, 세종연구소 객원연구위원을 거쳐 현재 아주대 정치외교학과 강사로 재직 중이다. 현재 아주대학교에서 ‘중국정치’, ‘중국의 대외관계’ 등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는 『일대일로의 모든 것』, 『동북아 신 네트워크』, 『시진핑 집권 2기의 이슈와 전망(공저)』, 『미국 바이든 행정부 시대 미중 전략경쟁과 한국의 선택 연구(공저)』, 『갑오: 120년 전 뉴스 일러스트로 본 청일전쟁(역서)』 등이 있다.

이창주의 다른 상품

Oh, Seunghee,吳承熺

동아시아연구원 수석연구원.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인정투쟁의 중일관계: ‘하나의 중국’에 대한 일본의 외교정책분석(1949-1972)>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일본 외교정책, 중일관계, 외교정책분석 등이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 『전후 중일관계 70년: 마오쩌둥-요시다 시기부터 시진핑-아베 시기까지』 (공저, 2019), “전후 일본의 인정투쟁과 중일국교정상화: 하나의 중국론에 대한 인정론적 접근” 「한국정치학회보」 (2017), “아베 내각의 아시아 정책: 강한 일본을 위한 아시아의 타자화” 「일본연구」 (2018)
동아시아연구원 수석연구원.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인정투쟁의 중일관계: ‘하나의 중국’에 대한 일본의 외교정책분석(1949-1972)>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일본 외교정책, 중일관계, 외교정책분석 등이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 『전후 중일관계 70년: 마오쩌둥-요시다 시기부터 시진핑-아베 시기까지』 (공저, 2019), “전후 일본의 인정투쟁과 중일국교정상화: 하나의 중국론에 대한 인정론적 접근” 「한국정치학회보」 (2017), “아베 내각의 아시아 정책: 강한 일본을 위한 아시아의 타자화” 「일본연구」 (2018), “미· 중 이중적 위계 구조와 한국의 지전략.” 「국방연구」 (공저, 2020) 등이 있다.

오승희의 다른 상품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국제학 박사 현)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학술연구교수

이주연의 다른 상품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2013년 정치학 박사를 취득한 홍석훈은 현재 국립창원대학교 국제관계학과에 재직하며 북한정치, 국제정치, 한미· 북미관계, 통일·대북정책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통일연구원 연구위원과 기획조정실장, 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 등을 역임했고, 현재 창원대 미래융합연구소 미래시대준비통일센터장, 한국국제정치학회 편집위원, 한국동북아학회 총무이사 등을 수임하고 있다. 최근 수행한 주요 연구로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박영사, 2022), ‘지속 가능한 대북정책을 위한 남남갈등 쟁점 분석(JNKS, 2022),’ ‘North Korea’s Tra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2013년 정치학 박사를 취득한 홍석훈은 현재 국립창원대학교 국제관계학과에 재직하며 북한정치, 국제정치, 한미· 북미관계, 통일·대북정책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통일연구원 연구위원과 기획조정실장, 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 등을 역임했고, 현재 창원대 미래융합연구소 미래시대준비통일센터장, 한국국제정치학회 편집위원, 한국동북아학회 총무이사 등을 수임하고 있다. 최근 수행한 주요 연구로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박영사, 2022), ‘지속 가능한 대북정책을 위한 남남갈등 쟁점 분석(JNKS, 2022),’ ‘North Korea’s Transition of its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2018)’ 등이 있다.

홍석훈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3년 08월 30일
쪽수, 무게, 크기
240쪽 | 173*243*20mm
ISBN13
9791193058107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18,000
1 18,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