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베스트셀러
인공지능과 국제정치
연구 어젠다의 발굴
베스트
사회과학 계열 30위 대학교재 top100 1주
가격
30,000
30,000
YES포인트?
900원 (3%)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총서

책소개

목차

제1장 인공지능과 국제정치: 연구 어젠다의 발굴
I. 머리말
II. 인공지능과 기술·규제·거버넌스의 국제정치
III. 인공지능과 안보·군사·전쟁의 국제정치
IV. 인공지능과 동맹·평화·질서의 국제정치
V. 맺음말

제1부 인공지능과 국제정치(1): 경제·정치 차원

제2장 인공지능 기술경쟁: 미중경쟁의 맥락
I. 문제제기
II. 분석틀: 이념-제도의 연계와 미중 AI 기술경쟁
III. 미중 AI 능력 평가
IV. 인공지능 산업에서 미중 양국의 이념-제도의 동학
V. 결론 및 한국에 주는 함의

제3장 인공지능과 규제와 안보화: 미국, 중국, EU를 중심으로
I. 서론
II. 신흥안보와 AI의 안보화
III. 미·중·EU의 AI 안보화와 공급망 구축 전략
IV. 미·중 AI 제재와 규제
V. 결론

제4장 인공지능과 거버넌스, 민주주의
I. AI와 거버넌스
II. AI와 감시통제 거버넌스
III. AI와 민주주의
IV. AI 거버넌스에 대한 규범적 합의의 중요성

제2부 인공지능과 국제정치(2): 안보·전쟁 차원

제5장 인공지능과 신흥기술안보: 사이버·데이터·포스트휴먼 안보
I. 서론
II. 신기술 안보의 중심에 있는 인공지능
III. 사이버물리 경계의 초월과 연계 심화 기제로서의 인공지능
IV. 인공지능의 활용 가치와 신뢰성의 결정변수인 데이터
V. 트랜스휴먼으로 진화와 포스트휴먼의 창발
VI. 맺음말

제6장 인공지능과 군사안보: 인공지능의 무기화 경쟁과 군사혁신
I. 인공지능 군비경쟁
II. 인공지능 군사혁신: 이론, 쟁점과 접근시각
III. 군사체계와 인공지능 군사혁신
IV. 군비경쟁과 인공지능 군사혁신
V. 결론 및 함의

제7장 인공지능과 전쟁 수행 방식 변환: 미국 내 논의를 중심으로
I. 서론
II. 미래전 전망 방법론: 전장 중심 접근법 vs 기술 중심 접근법
III. 모자이크전과 무인 스워밍전
IV. 미래전 스팩트럼과 미래전 수행체계의 구축
V. 결론 및 함의

제3부 인공지능과 국제정치(3): 외교·질서 차원

제8장 인공지능과 동맹정치, 중견국 외교
I. 들어가는 글
II. 과학기술과 국제경쟁
III. 인공지능, 미중갈등, 동맹정치
IV. 복합 동맹망과 중견국 외교
V. 나가는 글

제9장 인공지능과 미래 안보·평화: 국가 및 개인 수준의 전망
I. 서론
II. AI 기술활용과 국제정치 안보환경의 변화
III. 국가 수준에서 바라본 인공지능 발전과 미래 안보
IV. 개인 수준에서 바라본 인공지능과 미래안보
V. 결론

제10장 인공지능과 국가주권 질서의 변동
I. 문제 제기
II. 과학기술 발전의 선택적 집중과 진영 공조
III. 인공지능 정책을 둘러싼 패권 대 주권의 갈등
V. 결론

저자 소개11

김상배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책임연구원, 일본 GLOCOM(Center for Global Communications) 객원연구원 등을 역임했고, 현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연구소장으로 재직 중이며 정보화와 세계화를 국제정치학의 시각에서 연구 및 강의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정보혁명과 네트워크의 세계정치학’의 시각에서 본 권력 변환과 국가 변환, 중견국 외교와 관련된 이론적 이슈들, 사이버 안보와 디지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책임연구원, 일본 GLOCOM(Center for Global Communications) 객원연구원 등을 역임했고, 현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연구소장으로 재직 중이며 정보화와 세계화를 국제정치학의 시각에서 연구 및 강의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정보혁명과 네트워크의 세계정치학’의 시각에서 본 권력 변환과 국가 변환, 중견국 외교와 관련된 이론적 이슈들, 사이버 안보와 디지털 경제, 공공외교의 경험적 이슈, 미래전의 부상 등이다.

논저로는 『네트워크 지식국가: 21세기 세계정치의 변환』(공편 2006), 『IT시대의 디지털외교』(2005), 「한류의 매력과 동아시아 문화 네트워크」(2007), 「정보화시대의 제국: 지식/네트워크 세계정치론의 시각」(2005), 「정보기술과 국제정치이론: 구성적 기술론과 정보세계정치론의 모색」(2003) 등이 있다.

김상배의 다른 상품

김용신

 
인하대학교 중국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인문학부에서 중문학·사회학을 이중 전공하고, 정치외교를 부전공으로 하여 학부를 졸업했다. 이후 같은 학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 하와이대에서 중국 정치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박사학위 과정 당시 홍콩 중문대학교, 베이징대학교, 난카이대학교 등에서 방문학자로 있으면서 중국 관련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중국 정치경제이다.

김용신의 다른 상품

홍건식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부연구위원

문용일

 
서울시립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윤정현

 
국가안보전략연구원(INSS) 부연구위원, 외교부 경제안보외교센터 자문위원 및 행정안전부 신종재난발굴 자문위원. 전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선임연구원, 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을 역임하였다. 서울대학교에서 외교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전문 분야는 디지털 전환과 미래사회 전망, 메타버스, 신흥안보 및 미래리스크 연구이다. 주요 논문으로 “사이버평화론에 대한 소고”(2023), “디지털 안전사회의 의미”(2022), “메타버스 가상세계의 진화 전망과 혁신전략”(2021), “포스트 코로나, 일상의 미래”(2021), “국방분야 인공지능 도입의 주요 쟁점과 활용제고 방안”
국가안보전략연구원(INSS) 부연구위원, 외교부 경제안보외교센터 자문위원 및 행정안전부 신종재난발굴 자문위원. 전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선임연구원, 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을 역임하였다. 서울대학교에서 외교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전문 분야는 디지털 전환과 미래사회 전망, 메타버스, 신흥안보 및 미래리스크 연구이다. 주요 논문으로 “사이버평화론에 대한 소고”(2023), “디지털 안전사회의 의미”(2022), “메타버스 가상세계의 진화 전망과 혁신전략”(2021), “포스트 코로나, 일상의 미래”(2021), “국방분야 인공지능 도입의 주요 쟁점과 활용제고 방안”(2021), “신흥안보 거버넌스: 이론적 접근과 대안적 분석틀의 모색”(2019) 등이 있으며, 과학기술과 인문사회를 아우르는 학제 간 융합 연구에 많은 관심이 있다.

윤정현의 다른 상품

윤대엽

 

Yoon, Dae-Yeob,尹大燁

현재 대전대학교 군사학과 및 국가안전융합학부 조교수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일본 게이오대, 대만 국립정치대, 중국 북경대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했다. 주요 저서로 『중국과 일본의 전후 재발견의 정치이념과 동아시아 질서』(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6)가 있으며, 「중국 특색의 경제제재 전략: 의도, 정책수단과 의도하지 않은 결과」, 『통일연구』(2017), 「부상하는 중국의 파워구조와 동아시아 안보: 후발 부상의 한계」, 『안보학술논집』(2016), 「중국의 국가중심 정책 거버넌스와 비공유 경제의 발전: 중소기업정책을 중심으로
현재 대전대학교 군사학과 및 국가안전융합학부 조교수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일본 게이오대, 대만 국립정치대, 중국 북경대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했다. 주요 저서로 『중국과 일본의 전후 재발견의 정치이념과 동아시아 질서』(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6)가 있으며, 「중국 특색의 경제제재 전략: 의도, 정책수단과 의도하지 않은 결과」, 『통일연구』(2017), 「부상하는 중국의 파워구조와 동아시아 안보: 후발 부상의 한계」, 『안보학술논집』(2016), 「중국의 국가중심 정책 거버넌스와 비공유 경제의 발전: 중소기업정책을 중심으로」, 『국제정치논총』(2016), 「대일 경제정책의 사회적 형성: 무역 불균형과 한국과 대만의 정책대응 비교」, 『동아연구』(2016) 등 동아시아 비교정치경제 및 경제안보 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윤대엽의 다른 상품

설인효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외교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국방정책, 한미동맹, 미국 국방/군사전략, 군사혁신과 미래전 등이다. 대표 저서로 『4차 산업혁명과 신흥 군사안보: 미래전의 진화와 국제정치의 변환』(공저, 2021), 『도전과 응전, 그리고 한국 육군의 선택』(공저, 2020), 『통일의 길 위에 선 평화: 한반도 문제의 구조적 이해』(공저, 2019) 등이 있다.

설인효의 다른 상품

정성철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이다. 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으로 재직했다. 미국 럿거스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관심 분야는 국제정치이론과 동아시아 국제관계, 무력분쟁과 군사동맹, 미중 관계와 외교정책 분석이다. 논저로 「Democracy and Diversionary Conflict: External Transparency and Domestic Constraints」, 「The Indo-Pacific Strategy and US Alliance Network Expandability」(공저), 「Religious Identity and the Democratic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이다. 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으로 재직했다. 미국 럿거스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관심 분야는 국제정치이론과 동아시아 국제관계, 무력분쟁과 군사동맹, 미중 관계와 외교정책 분석이다. 논저로 「Democracy and Diversionary Conflict: External Transparency and Domestic Constraints」, 「The Indo-Pacific Strategy and US Alliance Network Expandability」(공저), 「Religious Identity and the Democratic Peace」, 「동아시아 세력전이와 한반도 전쟁: 19세기 청일전쟁과 21세기 미중경쟁」이 있다.

정성철의 다른 상품

장기영

 
경기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장기영 의 다른 상품

송태은

 
국립외교원 교수이다.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UCSD)에서 국제관계학 석사학위를, 서울대학교에서 외교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사이버작전사령부 자문위원, 한국국제정치학회 신기술·사이버안보연구분과 위원장, 한국사이버안보학회 사이버외교안보연구실장 등을 맡고 있다. 현재 국립외교원 국제안보통일연구부에서 신흥안보 분야와 과학기술외교 분야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다. 『데이터 안보의 복합지정학』, 『사이버안보의 국제정치학』, 『인공지능과 국제정치』, 『신흥기술·사이버안보의 국가전략』, 『미래전의 도전과 항공우주산업』 등의 공저를 출간했다.

송태은의 다른 상품

김상배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책임연구원, 일본 GLOCOM(Center for Global Communications) 객원연구원 등을 역임했고, 현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연구소장으로 재직 중이며 정보화와 세계화를 국제정치학의 시각에서 연구 및 강의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정보혁명과 네트워크의 세계정치학’의 시각에서 본 권력 변환과 국가 변환, 중견국 외교와 관련된 이론적 이슈들, 사이버 안보와 디지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책임연구원, 일본 GLOCOM(Center for Global Communications) 객원연구원 등을 역임했고, 현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연구소장으로 재직 중이며 정보화와 세계화를 국제정치학의 시각에서 연구 및 강의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정보혁명과 네트워크의 세계정치학’의 시각에서 본 권력 변환과 국가 변환, 중견국 외교와 관련된 이론적 이슈들, 사이버 안보와 디지털 경제, 공공외교의 경험적 이슈, 미래전의 부상 등이다.

논저로는 『네트워크 지식국가: 21세기 세계정치의 변환』(공편 2006), 『IT시대의 디지털외교』(2005), 「한류의 매력과 동아시아 문화 네트워크」(2007), 「정보화시대의 제국: 지식/네트워크 세계정치론의 시각」(2005), 「정보기술과 국제정치이론: 구성적 기술론과 정보세계정치론의 모색」(2003) 등이 있다.

김상배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4년 05월 29일
쪽수, 무게, 크기
324쪽 | 152*224*30mm
ISBN13
9791167071521

출판사 리뷰

책의 구성과 주요 논지

이 책은 국제정치학의 시각에서 보는 AI 관련 9대 어젠다를 선정하고 그 취지와 배경을 설명했다. 우선 AI와 기술·규제·거버넌스의 국제정치 주제로서, AI 기술경쟁, AI 규제표준과 안보화, AI와 거버넌스 및 민주주의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둘째, AI와 안보·군사·전쟁의 국제정치 주제로서 AI와 관련된 신흥기술안보 이슈(사이버·데이터·인지전·포스트휴먼 안보), 군사안보 분야의 AI 군비경쟁과 군사혁신, 그리고 AI와 전쟁 수행방식의 변환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AI와 외교·평화·질서의 국제정치 주제로서 AI와 관련된 동맹 및 연대의 전략과 중견국 외교, 국제규범 및 안보·평화, 주권국가 질서의 변동 등을 살펴보았다.

제2장은 미국과 중국이 이념·제도 동학을 통해 어떤 혁신체제를 구축했고, 이러한 혁신체제가 구체적으로 AI 영역에서 어떤 경쟁의 동학을 만들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글에 따르면, 결국 미중 AI 경쟁은 AI 육성 전략에 대한 양국의 지향점과 정책집행 과정에 있어 상당한 차이를 만들어 낼 수밖에 없다고 한다.

제3장은 글로벌 AI 리더십 확보의 필수 요소로서 AI기술 담론의 방향을 설정하고 AI 분야의 표준을 구축하는 기술패권의 확보를 강조한다. 미국은 시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부의 역할은 최소화하려는 입장이며, AI기술 경쟁력의 확보 및 중국 견제를 목적으로 다양한 정책들을 점차 체계화하고 있다. 중국은 AI 규제에 대해 공산당의 정치적 안정성을 목적으로 국가 중심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 한편 유럽연합(EU)은 기술을 기업에 맡겨두기보다는 사용자와 시민의 권리에 초점을 맞춘 권리 중심적 접근 방식을 취한다.

제4장은 AI의 사례에 주목하여 신흥기술의 등장과 발전이 기존 정치체제와 권력 지형에 미칠 영향에 대한 기대와 우려, 가능성과 한계를 살펴보았다. AI의 발전은 사회의 안정과 거버넌스의 발전을 가져와 인류의 삶을 더 편리하고 윤택하게 해줄 것인가? 아니면 감시와 통제의 거버넌스 시스템을 발전시켜 시민들의 자유와 권리를 속박할 것인가? 제4장은 AI의 발전이 감시통제 거버넌스의 발전으로 나타날 수 있는 논제들을 세 가지 측면에서 지적하였다. 아울러 생성형 AI의 발전이 민주주의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세 가지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제5장은 오늘날의 디지털 전환을 견인하는 대표 기술이라 할 수 있는 AI의 활용이, 필요한 산업 영역들을 상호 융합하여 다양한 혁신을 창출하고 있으며, 각국은 이를 주도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중이라고 지적한다. 제5장은 인공지능의 진화가 초래하는 안보위협의 양적·질적 변화 양상과 그것이 초래하는 국제정치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특히 AI의 부정적 효과와 미래 위협 대응을 위해 진화된 AI의 트렌드 및 생성형 AI로 명명되는 기술이 기존 AI와 어떠한 차이를 보여주는지 밝혔다.

제6장은 군사혁신 시각에서 AI 무기화 경쟁이 군사전략 및 미래전쟁에 주는 함의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AI 군사혁신의 체제적 과제를 세 가지로 요약해서 주장하였다. 첫째, AI 군사혁신은 알고리즘, 빅데이터, 연산능력, 클라우드, 네트워크 등 연관 기술의 성단(星團)을 구축해야 한다. 둘째, AI가 군사전략, 부대구조, 무기체계에 통합·활용되는 것은 기술변화의 속도보다 어려운 과제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끝으로, AI 기반 무기가 C6ISRI 체계에 통합되어 활용되기 위해서는 기술적·조직적 장벽과 함께 규범적 쟁점이 해소되어야 한다.

제7장은 AI 기술로 인한 전쟁 수행방식의 변환을 최근까지 미국 내 논의 동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미중 전략경쟁, 방대한 산업기반, 높은 수준의 기술 등을 고려할 때, AI 기술에 기반을 둔 새로운 전쟁수행 방식의 출현은 미중 두 나라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제7장은 이러한 미래 전쟁수행 방식에 대한 정교한 전망을 위해 ‘기술 중심 접근법’과 ‘전장 구조 접근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비교를 바탕으로 해서 두 접근법의 종합적 적용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두 접근법을 종합적으로 적용해 볼 때 미국 내에서 구상하고 있는 미래전은 어느 한 유형으로 수렴하기보다 유인과 무인의 비중과 역할에 따라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존재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제8장은 미중 관계, 동맹 정치, 중견국 외교라는 세 가지 요소와 연계하여 AI를 둘러싼 외교의 부상이 한국의 대외관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한다. 우선 AI는 미중경쟁을 세 가지 영역, 즉 경제, 기술, 가치 영역에서 심화시키면서 ‘민주주의 대 권위주의’ 구도를 강화하리라 예상한다.

제9장은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국제기구 차원에서의 AI기술의 평화적 사용에 대한 논의를 넘어서, 국가 및 개인 수준에서 AI 기술이 미래의 안보환경에 미칠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국가 수준 접근법 중의 대표적인 이론인 민주평화론과 경제적 상호의존론에 중점을 두고 AI 군사기술 발전이 민주주의 국가들 또는 경제적으로 밀접한 교류가 있는 국가들 사이의 평화적 관계에 미칠 영향을 전망하였다.

제10장은 미중 기술패권 경쟁 시대를 맞아 AI 기술의 도입이 초래하고 있는 글로벌 패권과 국가주권의 경합 구도, 그리고 그러한 과정에서 파생되는 근대 주권국가 질서의 변동 문제를 살펴보았다. 국가가 특정 AI 기술을 사용하는 문제는 단순히 기술적인 유용성이나 효율성에 의해서만 선택할 수 있는 종류의 사안은 아니라는 것이 제10장의 주장이다.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30,000
1 3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