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나는 약속-신입생 박배 샘에게 학교를 안내하다2. 학교 탐험대 출동!-학교를 구석구석 살펴보고 학교 안전 신문을 만들다3. 학교를 바꾼다고?-‘우리가 만들어 가는 학교’에 도전하다4. 특별 수업의 시작-우리가 만들어 가는 학교 ① 좋아하는 놀이 말하기5. 이런 수업, 들어 봤어?-우리가 만들어 가는 학교 ② 좋아하는 놀이 함께하기6. 햇살초의 으뜸 장소-우리가 만들어 가는 학교 ③ 학생들이 가장 좋아하는 곳 세 군데 꼽아 보기7. ‘옥상 가자’ 팀의 탄생-우리가 만들어 가는 학교 ④ 옥상 아래 공간 관찰하기8. 아무도 모르는 뒤뜰의 규칙-우리가 만들어 가는 학교 ⑤ 뒤뜰 관찰하기9. 텃밭, 농사보다 놀이-우리가 만들어 가는 학교 ⑥ 텃밭 앞 공터 관찰하기10. 세상에 이런 건물이 있다니!-우리가 만들어 가는 학교 ⑦ 참고 자료 살펴보며 생각 깨우기11. 생각이 무럭무럭-우리가 만들어 가는 학교 ⑧ 아이디어 떠올리고 그림으로 표현하기12. 삐뚤빼뚤해도 괜찮아-우리가 만들어 가는 학교 ⑨ 설계 도면에 그림 그리고 모형 만들기13. 마지막 설계안-우리가 만들어 가는 학교 ⑩ 건축가와 상의하며 설계안 마무리하기14. 진짜로 바뀌다니!-공간, 새롭게 탄생하다
|
배성호의 다른 상품
서지현의 다른 상품
학교를 좀 더 편안하고 신나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한 특별 수업햇살초등학교 6학년 5반 아이들은 학교를 좀 더 편안하고 신나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한 특별 수업을 시작한다. 그런데 수업을 위해 초대한 건축가 선생님은 첫 만남부터 아이들에게 좋아하는 놀이가 뭐냐고 묻더니, 심지어 다음 수업 시간에 같이 한다. 학교에서 가장 좋아하는 장소가 어디냐는 질문에 아이들은 토론 끝에 뒤뜰·옥상 아래 공간·텃밭 앞 공터를 꼽고, 함께 이 세 군데를 새롭게 바꿔 보기로 한다. 그런데 숙제가 있다. 각각의 공간을 관찰하는 것이다. 학교 공간을 자신들이 바라는 대로 뚝딱 바꾸는 줄 알았던 아이들은 어리둥절하기만 하다. 아이들은 친구들과 동생들이 그 공간을 어떻게 이용하는지 관찰하고 몇몇을 인터뷰한다. 선생님이 나눠 준 다양한 참고 자료를 보면서 생각을 깨우고 자신들의 바람을 현실에 어떻게 적용시킬지 상상한다. 아이디어를 그림으로도 그려 보고, 모형으로도 만들어 본다. 그렇다면 이 세 공간은 어떻게 변신했을까? 뒤뜰에는 앉아서 쉴 수 있는 벤치·숲을 감상할 수 있는 평상·신발주머니 걸이·벽에 쓴 낙서가 지워지지 않게 보호할 수 있는 지붕이, 텃밭 앞 공터에는 앉을 수도 있고 미끄럼틀로도 활용할 수 있고 농기구까지 보관할 수 있는 나무 의자가, 옥상 아래 공간에는 썼다 지웠다 할 수 있는 낙서용 칠판과 창밖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계단 의자가 생겼다. 아이들의 바람이 현실이 된 것이다. 눈에 보이는 결과물보다 아이들 스스로 ‘학교’라는 공간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을 중시이 책의 실제 사례인 서울삼양초등학교 공간 바꾸기는 2016년에 하자센터와 서울삼양초등학교가 함께 진행한 ‘움직이는 창의클래스–삶의 공간으로서의 학교’ 프로젝트였다. 하자센터가 기획하고 한국암웨이가 후원한 ‘생각하는 청개구리’ 사업의 하나로 진행된 이 프로젝트에서는 교육문화 분야 기획자·건축가·사진작가·도시공학과 대학원생들이 6학년 5반 아이들을 만나 학교라는 ‘공간’을 새롭게 살펴보고, 아이들이 주인공이 되어 학교 곳곳을 바꾸어 나가도록 도왔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학교 공간 전문가는 바로 아이들이라고 생각하며 아이들의 의견을 존중했다. 어른들이라면 결코 주목하지 않았을 뒤뜰·옥상 아래 공간·텃밭 앞 공터가 변화의 주인공이 된 이유이다. 또한 아이들이 학교의 주인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자신이 즐겨 찾는 공간을 생각해 보며 학교에서 무엇을 바랐는지 인식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멋스러운 결과물에 힘쓰기보다 아이들 스스로 ‘학교’라는 공간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하고 더 나은 공간을 꿈꾸게 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한 만큼 다양한 사진을 실어 생생함을 더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