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시작하며
1장. 신중에 신중을 거듭하라 이해득실의 양면을 고려하라 적을 관찰하라 적을 알라 적군의 틈새를 찾아라 정찰은 신중하게 지리 파악은 면밀하게 불패의 태세를 구축하라 미리 준비하면 걱정이 없다 적당한 선에서 공세를 멈춘다 군인을 가치 없이 죽게 하지 마라 전쟁이란 속고 속이는 것 [『손자병법』의 발자취] 손자는 둘이었다? 2장. 리더의 마음가짐 전쟁은 국가의 대사 작전이 기용되지 않을 때는 자리에서 물러난다 지휘관은 국가의 보좌역이다 뛰어난 지휘란? 평판은 신경 쓰지 않는다 정공법과 묘책을 잘 사용하라 지휘 명령 계통을 갖추어라 군인을 쓰고 버리는 말처럼 다루지 마라 신상필벌을 명확히 하라 군인의 마음을 하나로 모아라 군대를 일사불란하게 조종하라 안전 관리는 지휘관의 의무 [『손자병법』의 발자취] 손무와 그 시대 3장. 통찰력을 키우는 방법 아군을 잃지 말고 적군을 상처 없이 항복시켜라 속전속결만이 답이다 일기가성으로 휘몰아쳐라 필승의 기회를 노린다 처음에는 양처럼 이후에는 호랑이처럼 열세일 때 두뇌를 써라 열세에서도 이기는 전술 항상 이기는 법칙 따위는 존재하지 않는다 풍림화산의 전술을 구사한다 이기기 위해 알아둘 원칙 패배의 원인은 지휘관의 과실에 있다 [『손자병법』의 발자취] 손빈과 그 시대 4장. 최전선에서 시행하는 전략 군주의 명령보다 국가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마음을 안정시킨다 가능하면 현지에서 조달하라 포상은 인심 좋고 신속하게 적을 생각대로 움직여라 근심을 장점으로 바꿔라 형태가 없는 것이야말로 가장 강한 진형이다 현장에서는 구변九變을 기억하라 속임수를 간파하라 군인의 건강에 신경 쓰라 [『손자병법』의 발자취] 『손자병법』의 편자는 조조일까? 5장. 필승의 계책을 택한다 지형을 분석하라 구지九地에서는 이렇게 움직여라 궁지에 몰린 쥐가 고양이를 문다 적의 거짓말을 간파하라 후방을 공격하면 견고한 진영도 무너진다 스파이를 쓰지 않는 것은 어리석음의 극치다 스파이에는 다섯 종류가 있다 배신하게 하는 정보전 적을 내부에서 붕괴시켜라 [『손자병법』의 발자취] 은작산 한간漢簡의 무덤 부록. 병법에 관한 7개 병서 무경칠서의 발자취 참고문헌 |
Susumu Shimazaki,しまざき すすむ,島崎 晋
시마자키 스스무의 다른 상품
한 권으로 끝내는 인문 교양 시리즈!
불패의 태세를 구축하고, 필승의 기회를 손에 넣어라! 그리고 가능하면 싸우지 않고 이겨라! ‘한 권으로 끝내는 인문 교양 시리즈’는 방대한 양의 전문 지식을 알기 쉽게 설명하는 것은 물론 일러스트로 이해를 돕는 것이 특징이다. 이 책에서는 13편 6천여 자에 달하는 『손자병법』 중 지금도 통용되는 주요 전략과 책략을 선정해 해설한 다음 비즈니스 상황이나 스포츠 경기, 일상 등 현대에 벌어지는 케이스로 재구성한 일러스트로 다시 한번 보여준다. 덕분에 ‘세계 최고(最古)의 지혜’를 현재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입해서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책을 읽기 힘들어하는 사람도, 어른이 되어 다시 인문 교양 지식을 습득하려는 사람에게도 친절한 구성이다. 『손자병법』은 때론 비겁한 전략, 졸렬한 책략을 쓰더라도 승리하라고 말한다. 이는 ‘언제 어느 때고 필승하라’는 뜻으로 오인되고는 한다. 항상 모든 싸움에서 이기라는 의미인 듯하다. 하지만 『손자병법』은 무조건적인 승리만을 말하지 않는다. 손자는 국가나 국민을 곤궁에 빠뜨리는 결과가 예상된다면 아예 개전하지 말라고 했으며, 전쟁이 벌어졌어도 아군과 적군 모두 적은 손해를 입었을 시점에 싸움을 종결하라고 여러 번 강조했다. 『손자병법』의 유명한 구절인 ‘싸우지 않고도 이겨라’는 어떤 수를 써서라도 승리하는 것이 좋다는 뜻으로 해석되고는 하지만 그 이면에는 다툼이나 갈등 상황이 발생하기 전 이를 해결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아무 득도 없는 싸움은 시작하지 않는 편이 좋다는 뜻도 함께 담겨 있다. 경쟁에 뛰어들어야 하는 때, 위기의 순간이 찾아왔을 때, 헤쳐 나가야 할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앞을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이라면 『손자병법』을 읽어보자. 언제 어느 때고, 『손자병법』은 우리에게 ‘진중한 인간 관찰’, ‘어리석은 경쟁의 회피’, ‘현명하게 어려움 극복하기’라는 메시지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