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첨되신 분들께는 응모 시 입력한 휴대폰 번호로 티켓이 발송됩니다.
|
박혜선의 다른 상품
100여 년 만에 다시 찾은 이름
외규장각에 보관된 의궤의 자부심은 대단합니다. 강화도의 선선한 바닷바람과 맑은 공기까지, 의궤는 언제나 즐겁고 행복한 나날을 꿈꿔요. 그러던 어느 날이었어요. 외규장각 책방 문이 열리더니 낯선 냄새, 낯선 목소리, 낯선 발소리가 들려왔죠. 프랑스의 습격이었어요. 거친 손길은 의궤를 상자에 담더니 알 수 없는 곳으로 끌고 갔죠. 망망대해를 건너고 다시 옮겨지기를 여러 번, 몇몇은 팔려가고, 몇몇은 버려졌어요. 남은 의궤들은 프랑스의 낡은 도서관 창고 안에 갇혔죠. 캄캄한 어둠 속, 할 일이라곤 고향을 그리워하며 시간을 보내는 것뿐이었어요. 그렇게 100년도 넘는 시간이 훌쩍 지나간 어느 날이었어요. “이제야 만났어! 조선 의궤! 외규장각 어람용 의궤!” 얼마나 듣고 싶던 이름이었는지! 드디어 의궤를 알아보는, 진짜 이름을 불러 주는 조선 사람이 찾아왔어요. 의궤들은 얼싸안고 기쁨의 눈물을 흘립니다. 의궤는 고향으로 돌아가 다시금 귀하고 곱게 쓰일 날을 그리기 시작해요. 20년에 걸친 싸움 - “프랑스에 잡혀 왔다고 우리가 프랑스 것이 될 수는 없어.” 하지만 고향으로 가는 길은 쉽게 열리지 않습니다. 의궤는 오랜 시간 동안 다시 어둠 속에 갇혀야 했어요. “빼앗아 간 문화재를 돌려 달라”는 대한민국과 “프랑스에 들어온 문화재는 이미 프랑스 것”이라는 프랑스 입장이 팽팽하게 맞섰어요. 문화재 반환을 둘러싸고 우리나라 시민과 학계가 나섰어요. 어린이들은 대사관과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편지를 썼죠. 프랑스 지식인들 중에도 문화재 반환 운동에 동참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었어요. 마침내 다시 고향으로 2011년 봄, 어람용 의궤는 강화도 외규장각을 떠난 지 꼭 145년 만에 비행기를 타고 대한민국으로 옵니다. 우리나라는 이봉행렬(중요한 의물을 봉안한 가마를 모시는 조선 시대 의식)로 의궤를 맞이했어요. 1783년 규장각에서 어람용 의궤를 비롯한 도서들을 외규장각으로 옮기는 과정을 기록한 ‘내각일력(규장각 일기)’의 내용을 그대로 재현한 행사였죠. 광화문 세종로에서 경복궁 근정전까지, 다시 강화산성에서 외규장각 터까지, 성대한 행렬과 수많은 인파는 어람용 의궤의 영구 귀환을 바라는 국민들의 바람을 담고 있었어요. 이 책에는 이때의 행렬 모습이 대문접지로 실려 있어요. 두 배 넓어진 판형은 마치 의궤 속 반차도를 재현한 듯한 모습으로, 그때 그곳의 감동을 선사하죠. 문화재 환수를 꿈꾸는 작가가 그리는 의궤의 무한한 매력 이 글을 쓴 박혜선 작가는 의궤라는 위대한 문화유산을 만든 선조들에 대한 자부심은 물론, 우리나라 문화재의 소유국이 프랑스라는 안타까움을 의궤의 시선으로 담아냅니다. 의궤가 들려주는 이야기는 힘없는 나라의 백성으로 이 땅의 수많은 이들이 겪어야만 했던 전쟁의 공포, 고향에 돌아오지 못하는 한(恨), 그럼에도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떠오르게 해요. 한편으로 우리 어린이들이 바로잡아 나가야 할 문화재 환수에 대해 생각해 볼 시간을 제공합니다. 이 책에 그림을 그린 정인성?천복주 작가는 의궤가 품고 있는 거대한 반차도(의례의 행렬을 있는 그대로 그려낸 그림)에 착안해 독자들을 의궤의 매력에 흠뻑 빠져들게 합니다. 죽은자의 수호신이자 신령한 상상희 동물인 청룡, 백호, 주작, 현무를 비롯해 방상씨(무서운 복장을 하고 악귀를 쫓는 사람)를 캐릭터로 만들었을 뿐 아니라 깃발을 잃어버리고 당황한 기수, 말 위에서 졸고 있는 선비, 걷기 싫어 고개를 트는 말 등의 모습을 더해 독자들을 웃음 짓게 해요. 행렬을 따르는 선비와 궁인, 깃발과 가마 하나까지 반차도의 모습 그대로를 참고하여 그린 그림들은 화려하고 독보적인 우리나라 의궤의 우수성을 드러내 보이죠. 끝나지 않은 유물 전쟁 여전히 프랑스 소유인 어람용 의궤 현재 우리나라에 보관 중인 어람용 의궤는 대한민국국립박물관 의궤실에 보관 및 전시되고 있어요. 안타까운 사실은 ‘외규장각 어람용 의궤’ 297책의 소유권이 여전히 프랑스에 있다는 점이에요. 우리나라는 5년마다 계약을 갱신하는 조건으로 의궤를 대여하고 있죠. 프랑스를 비롯한 제국주의 열강들의 문화재 약탈과 환수 문제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에요.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 영국 대영 박물관 등에는 지금도 세계 각국에서 약탈해 온 문화재들이 전시되어 있죠. 한 나라의 국보급 문화재가 경매시장에 나와 그 나라 국민들의 분노를 사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에 따르면, 지금도 약 25만 점이 넘는 문화재가 낯선 나라에서 떠돌고 있다고 해요. 우리가 잃어버린 문화재 환수에 관심을 가지고 끝없이 노력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어요. 작가의 말처럼, “한 나라의 역사이며 한 나라의 얼굴인 문화재가 꼭 제 나라, 제 고향에서 행복하게 살” 수 있기를, 이 책이 그 활동에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s*****1
2025.03.16.(일) 오전 11시 일반 2명
l***u
2025.03.16.(일) 오전 11시 일반 2명
a****n
2025.03.16.(일) 오전 11시 일반 1명
y****6
2025.03.16.(일) 오전 11시 일반 1명
l**********g
2025.03.16.(일) 오전 11시 일반 2명
2025.03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