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제1장 동양철학이란 무엇인가
1. 동양철학이란 무엇인가 / 2. 동·서양 사유방식의 차이 / 3. 오늘날 우리에게 동양철학은 무엇인가 제2장 공자(孔子) I-인간다움과 군자 1. 춘추전국시대와 제자백가 / 2. 공자의 삶과 위기지학(爲己之學) / 3. 인간다움의 가치 / 4. 군자(君子)와 수기안인(修己安人) 제3장 공자(孔子) II-예(禮)와 정치 1. 예(禮) / 2. 인간다움과 극기복례(克己復禮) / 3. 정치, 정명(正名), 덕(德) 제4장 양주(楊朱) 1. 양주는 누구인가 / 2. 동양철학의 이단아, 이기주의자 양주 / 3. ‘위아(爲我)’, 내 인생은 나의 것 / 4. 동양에도 개인주의는 있었는가 제5장 맹자(孟子) 1. 양주와 묵적 / 2. 맹자의 반격 / 3. 인간의 본성: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 / 4. 덕을 가꾸고 기르는 일 / 5. 결론 제6장 순자(荀子) 1. 순자의 삶과 저작 『순자』 / 2. 도덕성의 기반: 예의와 학문을 통한 나쁜 인간 본성의 교화 / 3. 순자의 정치철학: 왕과 군자, 하늘 / 4. 결론 제7장 노자(老子) 1. 성인(聖人)과 제왕, 그리고 인간 / 2. 오바마 폰의 원조, 청(淸) 옹정제의 밀접(密摺) / 3. 춘추전국(春秋戰國)의 파놉티콘 4. 천년의 권력, 『정관정요』와 당 태종의 지혜 / 5. 제갈공명의 ‘유위(有爲)’와 조지 부시의 ‘무위(無爲)’ / 6. 권력의 무게와 삶의 무게 제8장 장자(莊子)-변화와 자아의 망각 1. 장자의 삶과 『장자』의 구성 / 2. 변화 / 3. 옳고 그름 / 4. 자아의 망각 / 5. 자기 보존에서 죽음의 긍정으로 제9장 주희(朱熹) 1. 새로운 사유의 출현 / 2. 송학을 집대성하다 / 3. 세계와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 제10장 왕양명(王陽明)-마음의 양지 1. 왕양명의 생애:백 번의 죽을 고비와 천 번의 난관 / 2. 심즉리(心卽理) / 3. 지행합일(知行合一) / 4. 치양지(致良知) 제11장 원효(元曉)-한국불교의 뿌리 1. 한국불교의 뿌리를 이룬 원효의 삶 / 2. 한 마음에 두 개의 문(一心二門) / 3. 화쟁의 논리와 합침의 철학 / 4. 한국불교의 전통-합침의 불교 제12장 지눌(知訥)-선종과 교종을 합친 사상가 1. 소 치는 아이처럼 살아간 보조국사 지눌 / 2. 선종이란 무엇인가 / 3. 이 마음이 곧 부처이다 / 4. 선교일치로 이어진 합침의 불교 제13장 퇴계(退溪) 1. 퇴계 이황, 선조에게 『성학십도』를 올리다 / 2. 마음의 해설도에 이르는 길 - 사단칠정 논쟁의 배경 및 전개 제14장 율곡(栗谷) 1. 수양, 교육, 경세에 이르는 다양한 학문적 전개 / 2. 도덕과 욕망은 같은가 다른가 제15장 실학(實學)-근대를 향한 꿈 1. 실학이란 무엇인가 / 2. 실학의 흐름과 유파 / 3. 제도 개혁론 / 4. 실학의 특징과 의미 |
김교빈의 다른 상품
김시천의 다른 상품
田好根
전호근의 다른 상품
최도빈의 다른 상품
윤성훈의 다른 상품
김경희의 다른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