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16년 07월 25일 |
---|---|
쪽수, 무게, 크기 | 284쪽 | 392g | 140*205*18mm |
ISBN13 | 9791185459523 |
ISBN10 | 1185459529 |
출간일 | 2016년 07월 25일 |
---|---|
쪽수, 무게, 크기 | 284쪽 | 392g | 140*205*18mm |
ISBN13 | 9791185459523 |
ISBN10 | 1185459529 |
베스트셀러 에세이 시리즈 『모든 요일의 기록』, 『모든 요일의 여행』 10만 부 돌파 기념 리커버 출간! 2015년 출간 후 독자들에게 꾸준히 사랑받으며 스테디셀러가 된 『모든 요일의 기록』과 2016년 출간된 『모든 요일의 여행』이 10만 부 돌파를 기념해 리커버 에디션으로 새롭게 탄생했다. 저자 김민철의 첫 번째 에세이 『모든 요일의 기록』이 일상에서 아이디어의 씨앗을 키워가는 카피라이터의 시각을 담백하고 진실된 문장으로 보여준다면, 이후 선보인 『모든 요일의 여행』은 낯선 삶의 틈에서 ‘나’의 모습을 찾아가는 여행자의 마음을 오롯이 느낄 수 있는 책이다. 리커버 에디션 표지는 일러스트레이터 에토프(etoffe) 작가의 그림으로 ‘곱슬머리 작가’ 김민철의 모습을 연상시키는 위트와 편안한 감성을 더했다. 출간 후 5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독자들의 극찬이 이어지는 『모든 요일의 여행』은 저자 김민철이 ‘기록하는 여행자’가 되어 자기만의 여행을 직조해가는 이야기다. 여행만큼 자기 자신을 온전히 드러내는 게 또 있을까. ‘여행’이라는 빛 아래에서는 ‘애써 외면했던 게으름이, 난데없는 것에 폭발하곤 하는 성질머리가, 떨칠 수 없는 모범생적 습관’까지, 나도 몰랐던 ‘나’의 모습이 나타난다. 그렇다면 ‘나답다’고 믿었던 것들로부터 더욱 벗어나보는 건 어떨까. 익숙한 공간과 익숙한 시간에서, 익숙한 생각과 익숙한 행동만 해왔다면 말이다. |
프롤로그 / 일상을 떠나, 일상에 도착하는 여행 숙소와 여행 반성문을 쓰는 여행 고향을 찾는 여행 책을 따라 떠나는 여행 영원히 반복되는 여행 일요일이 있는 여행 단골집을 향해 떠나는 여행 마법의 질문을 가지는 여행 한 가지를 위해 떠나는 여행 사랑스러운 결점으로 가득 찬 여행 좋은 술을 영접하기 위해 떠나는 여행 한 시간짜리 도시 마니아의 여행 유용한 여행 무용한 여행 나의 무능한 여행 짝꿍 달라진 나를 만나는 여행 대학로 그 밤의 여행 청춘에 답장을 보내는 여행 선입견을 내려놓고 떠나는 여행 희망을 고집하는 여행 주름살이 없는 여행 천사를 만나는 여행 망원동 여행 |
우한폐렴사태로 전 세계가 몸살을 앓게 된 것이 벌써 3년째 접어들고 있습니다. 잠시 풀리는 듯했지만, 델타변이에 이어서 오미크론 변이까지 나오면서 어디고 안심하고 여행할 수 있는 곳은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감하게 여행에 나서는 이들도 적지 않은 것 같습니다만, 그런 사람들이 해외에서 감염되어 들여온 변이 바이러스가 국내에 확산되는 것에 대한 책임은 느끼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불요불급한 여행을 자제해야 하겠고, 방역당국도 나가는 것은 막지 못하더라고 그런 여행을 다녀오는 사람들의 입국을 차단하는 것이 옳을 것 같습니다.
늦게 시작한 해외여행을 겨우 6년 채우고는 2년을 허송세월하고 있어서 억울한 느낌입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전에 다녀온 여행기를 다시 읽어보거나 다른 이들이 쓴 여행에 관한 책들을 읽어보게 됩니다. 김민철 작가의 <모든 요일의 여행>도 그래서 읽게 되었습니다. 광고문안가로 활동하는 작가는 업무와 관련해서 혹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외국의 다양한 곳을 다니고 있는 것 같습니다.
서문에 보면, ‘왜 나는 여행을 좋아하는가.’라는 주제를 놓고 보니 생각거리가 많아졌다고 합니다. 수많은 여행 끝에 내린 작가의 결론은 “각자의 여행엔 각자의 빛이 스며들 뿐이다.(11쪽)”였다고 합니다. 그래서 작가는 자신만의 빛을 기록하고 싶었다고 합니다. 어떤 여행기도 여행보다 위대할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자신의 여행에 대하여 말하기로 했다는 것입니다. 서문만을 읽어도 광고문안가로서의 내공이 절절하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모두 스물세꼭지의 글은 작가가 결혼 전에 혼자서 했던 여행과 결혼하고서 남편과 함께 한 여행에서 찾아낸 주제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꾸몄습니다. 숙소, 고향, 책, 단골집, 술 등이 그것입니다. 제목은 <모든 요일의 여행>입니다만, 여행 자체나 이 책에 담긴 여행들이 요일과는 전혀 무관한 것 같습니다. 아마도 <모든 요일의 기록>이라는 전작에서 따온 제목이 아닐까 싶습니다. 흥미로웠던 것은 ‘책을 따라 떠나는 여행’이라는 제목의 이야기입니다. 그것도 10년 전에 읽은 책에서 소개한 이탈리아 토스카나 지방의 시골 판자노에 있는 정육점에서 열리는 스테이크 파티에 참석한 이야기입니다. 열댓명이 모여서 엄청 쌓여있는 고기와 술을 마시는데 작가 부부를 제외하고는 모두 이탈리아 사람들이었다고 합니다. 참 대단하신 여행가가 아닐 수 없습니다.
곁들여진 사진들은 이야기의 내용과 부합하는 내용이 많습니다. 여행을 하면서 찍은 사진들을 잘 정리해두셨던 모양입니다. 갈무리해둔 사진들을 뒤적이면서 주제를 떠올리고 이야기를 엮어낸 것은 아닌지 싶었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등장하는 사진도 적지 않습니다. 이야기와 연관이 없어 보이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제 경우는 모르는 사람들을 사진에 담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꼭 찍고 싶은 장면에서 사람들이 비켜주지 않아 배경으로 담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말입니다. 이 책의 작가는 붙임성이 좋은 편인가 봅니다. 외국에 나가서도 사람들하고 쉽게 어울리고, 또 그 사람들을 만나기 위하여 다시 그곳을 방문하는 경우도 있다니 말입니다.
이야기 사이에는 모두 20편의 ‘모든 요일의 여행’이라는 제목 없는 시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눈길을 끄는 대목을 옮겨봅니다. “집 나가면 / 몸이 고생이다. // 하지만 / 집을 나가지 않으면 / 마음이 고생이다. // 적당한 방황과 / 적당한 고생과 / 적당한 낯섦이 그리워 / 수시로 끙끙 앓는 / 마음을 가졌다. // 어쩌다 보니 / 여행자의 마음을 가지게 되었다.(69쪽)” 작가는 천생 여행가인 듯합니다. 작가의 여행이야기에는 외국여행 뿐 아니라 국내 여행, 심지어는 동네 이야기까지도 동원됩니다. 작가에게 여행은 일상인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