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2023.07.20.
원서
Minor Detail
베스트
세계각국소설 top20 10주
가격
15,000
10 13,500
YES포인트?
75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한국문명교류연구소 예술총서

이 상품의 시리즈 알림신청

이 상품의 태그

책소개

목차

1부
2부
역자 후기

저자 소개2

아다니아 쉬블리

관심작가 알림신청

Adania Shibli

1974년 팔레스타인 갈릴리에서 출생했다. 영국 이스트런던대학교에서 미디어문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논문 주제는 ‘대 테러전에서 시각 매체의 역할’. 이후 영국과 팔레스타인, 독일 등지 대학에서 비평 이론과 문화론을 강의했다. 2002년 첫 장편소설(영문 번역본 『접촉(Touch)』)을 베이루트에서 출간했고, 2004년 두번째 장편(영문 번역본 『우리 모두 공평하게 사랑과는 거리가 멀다(We Are All Equally Far From Love)』)을 출간했다. 아울러 희곡 『실수』가 런던의 트리스탄 베이츠 극장에서 상연되었다. 작가의 작품은 영어를 포함하여 많은 언어로
1974년 팔레스타인 갈릴리에서 출생했다. 영국 이스트런던대학교에서 미디어문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논문 주제는 ‘대 테러전에서 시각 매체의 역할’. 이후 영국과 팔레스타인, 독일 등지 대학에서 비평 이론과 문화론을 강의했다. 2002년 첫 장편소설(영문 번역본 『접촉(Touch)』)을 베이루트에서 출간했고, 2004년 두번째 장편(영문 번역본 『우리 모두 공평하게 사랑과는 거리가 멀다(We Are All Equally Far From Love)』)을 출간했다. 아울러 희곡 『실수』가 런던의 트리스탄 베이츠 극장에서 상연되었다. 작가의 작품은 영어를 포함하여 많은 언어로 번역 소개되었다. 알카탄 재단이 주관하는 ‘팔레스타인 젊은 작가상’을 두 번 수상했다. 2005년 광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위원회 초청으로 처음 한국 땅을 밟은 이래 여러 차례 한국을 방문하며 한국 작가들과도 활발하게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 한국어로는 단편소설과 산문이 여러 편 번역 소개된 바 있지만, 장편소설로는 『사소한 일(Minor Detail)』이 처음이다.
서울대학교와 하버드대학교에서 영문학과 비교문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보스턴칼리지에서 강의하고 있다. 문예계간지 [ASIA] 편집위원으로 활동했으며, 권여선, 은희경, 한강, 황정은 등 다수의 한국문학 작품을 영어로 소개해 왔다. 우리말로 옮긴 책으로 『설득』, 『오만과 편견』, 『그레이트존스 거리』, 『에드거 앨런 포 단편선』, 『도심의 절간』, 『아서 고든 핌의 이야기』,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의 기이한 이야기』와 앨런 홀링허스트의 부커상 수상작 『아름다움의 선』, 샤힌 아크타르의 아시아문학상 수상작 『여자를 위한 나라는 없다』 등이 있다. Jeon Seung He
서울대학교와 하버드대학교에서 영문학과 비교문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보스턴칼리지에서 강의하고 있다. 문예계간지 [ASIA] 편집위원으로 활동했으며, 권여선, 은희경, 한강, 황정은 등 다수의 한국문학 작품을 영어로 소개해 왔다. 우리말로 옮긴 책으로 『설득』, 『오만과 편견』, 『그레이트존스 거리』, 『에드거 앨런 포 단편선』, 『도심의 절간』, 『아서 고든 핌의 이야기』,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의 기이한 이야기』와 앨런 홀링허스트의 부커상 수상작 『아름다움의 선』, 샤힌 아크타르의 아시아문학상 수상작 『여자를 위한 나라는 없다』 등이 있다.

Jeon Seung Hee is a literary scholar and critic as well as a leading translator of Korean literature. Her research interests include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and she has published articles on war trauma, memories, and truths. Her translations include the 2016 Man Booker Prize-winning novelist Han Kang’s Convalescence (2013) and Bang Hyeonseok’s fiction Time to Eat Lobster (2016), which was selected for “75 Notable Translations of the Year” by World Literature Today, as well as Shaheen Akhtar’s The Search, which won the 3rd Asian Literature Award in 2020. She has been honored with a Fulbright Grant, a Korea Foundation Fellowship, and two Daesan Foundation Translation grants. Based in both Boston and Seoul, she is an associate professor in Korean at Boston College.

전승희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3년 07월 20일
쪽수, 무게, 크기
172쪽 | 125*200*20mm
ISBN13
9788982183201

출판사 리뷰

팔레스타인의 현대 작가들 중에서도 아다니아 쉬블리는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침략과 점령, 팔레스타인인 축출을 직접 겪지 않은 차세대 작가다. 따라서, 경험의 차이 때문이겠지만 팔레스타인의 역사와 현 상황에 대한 그의 접근 방식은 이전 세대와는 약간 다르다. 이전 세대의 작품에서 나크바 이전의 팔레스타인에 대한 향수, 나크바 이전 상태를 회복하고자 하는 강한 의지와 혁명적 열정 등이 두드러진다면, 아다니아 쉬블리의 작품에서 눈에 띄는 것은 1948년의 대재앙 이후 계속되고 진전되어온 상황, 즉 폭력이 정상화된 21세기 팔레스타인인들의 일상적인 삶이다.

이런 초점의 이동과 더불어 팔레스타인의 현대사를 보는 쉬블리의 관점도 이전 세대와는 약간 차이가 있다. 이전 세대의 작품의 중심에 있는 것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민족 갈등과 팔레스타인인의 독립 투쟁이라면, 쉬블리의 경우 같은 소재를 다루더라도 그 갈등을 좀 더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더 크고 근원적인 문제의 일부로 본다. 쉬블리의 관점에서는, 이스라엘에 의한 팔레스타인 억압은 민족 대립도 종교 대립도 성별 대립의 문제도 아니다. 그보다는 현 상황의 바탕에 있는 문제는 모든 차이를 억압의 기제로 전환시키는 사고방식과 그런 태도를 중심으로 움직이는 체제다. 쉬블리는 그런 의미에서 팔레스타인의 현 상황은 민족이나 종교의 문제가 아닌 윤리적인 문제, 억압과 폭력의 현 체제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에게 주어진 윤리적 선택의 문제라고 말한다.

작품은 희생자인 소녀의 목소리를 대변하거나 소녀 편의 진실을 말해주지는 않는다. 이 작품에 대한 한 인터뷰에서 쉬블리는 “염소도 다른 염소가 도살장에 끌려갈 때 그것을 알아차리는데, 사람이 (동료 인간에 대해) 그걸 못한다는 말인가?”라고 항변하며, 자신이 하려는 것은 희생자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것도, 팔레스타인인의 고난을 증언함으로써 외부인을 설득하는 것도 아니라고 말한다. 『사소한 일』에서 우리가 알게 되는 것은 가해자인 소대장의 내면과 행위, 그리고 반세기도 넘은 후에 그녀의 진실을 찾아 나선 한 팔레스타인 여성의 내면과 행위다. 희생자의 목소리는 과거 속에 묻히고 사라졌으며 그것은 영원히 회복될 수 없다. 대신 이 작품은 1948년의 나크바, 즉 대재앙이 결코 일회성 사건이 아니었으며, 오히려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심화되어왔고, 그것이 그때나 지금이나 다양성의 평화로운 공존과 상호작용이 아니라 차이를 억압의 구실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체제의 산물이라는 것을 역설하며 이 사실은 결코 외면될 수 없다는 것을 알려준다. 쉬블리는 같은 인터뷰에서 어떤 화자가 같은 비극을 반복해 말한다면 청자는 지루하겠지만 화자에게는 비극적 상황의 증폭을 의미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는데, 이 작품의 미덕은 그 증폭된 상황의 근본 원인을 천착하면서, 그것을 깨닫지 못한다면 우리 자신이 그 희생자가 될 수도 있고, 억압적 체제의 일부일 수도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주는 데 있다.

추천평

『사소한 일』은 읽는 내내 놀랍고 흥미진진하다. 도덕적 지성, 정치적 열정, 소설적 기예가 조화롭게 결합된 보기 드문 수작이다. - 판카지 미슈라 (『분노의 시대』 저자)
수난의 땅 팔레스타인의 작가 아다니아 쉬블리는 1949년 8월 네게브 사막 니림에서 이스라엘 점령군에 의해 자행된 ‘3일 참사’의 시간을 현대적인 시각에서 냉철하게 그리고 있다. 망각을 일깨우는 작가의 예지가 깊은 울림으로 다가온다. - 정수일 (문명교류학자 ? 한국문명교류연구소 연구소장)
2005년 한국 땅을 처음 밟은 아다니아는 이렇게 말했다. “매일 밤 잠들기 전 나는 내 꿈이 현실보다 추하지 않기를 기도한다.” 소설가로서 그녀는 팔레스타인 문학에 대한 기왕의 편견을 거부한다. 무자비한 폭력과 일상적인 수모를 날것 그대로 폭로하는 일과는 다른 방식의 저항을 선택한 이유도 그 때문이다. 그것은 ‘알리바바 이야기’에 나오는 신기료장수와 다르지 않게, 인간을 파괴하는 야만에 대해서 지극히 사소한 단서들일망정 하나하나 찾아내고, 한 땀 한 땀 끈기 있게 기워나가는 일이다. 그리하여 마지막 책장을 덮을 때 독자들은 작가가 그 사소한 단서들을 가지고 기어이 어떤 거대한 그림을 그려냈는지, 경탄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 『사소한 일』은 여전한 점령하에서도 아다니아의 꿈이 여전히 아름답다는 반증이다. - 김남일 (소설가)

리뷰/한줄평1

리뷰

10.0 리뷰 총점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채널예스 기사1

  • [서점원 돌콩의 매대] 팔레스타인의 이야기를 전하는 책
    [서점원 돌콩의 매대] 팔레스타인의 이야기를 전하는 책
    2024.08.02.
    기사 이동
13,500
1 13,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