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17년 12월 26일 |
---|---|
쪽수, 무게, 크기 | 540쪽 | 1306g | 190*255*35mm |
ISBN13 | 9788997970384 |
ISBN10 | 8997970380 |
발행일 | 2017년 12월 26일 |
---|---|
쪽수, 무게, 크기 | 540쪽 | 1306g | 190*255*35mm |
ISBN13 | 9788997970384 |
ISBN10 | 8997970380 |
간행사 최신판 『論語集註』를 내면서 序說 學而 第一 爲政 第二 八佾 第三 里仁 第四 公冶長 第五 雍也 第六 述而 第七 泰伯 第八 子罕 第九 鄕黨 第十 先進 第十一 顔淵 第十二 子路 第十三 憲問 第十四 衛靈公 第十五 季氏 第十六 陽貨 第十七 微子 第十八 子張 第十九 堯曰 第二十 孔子年譜 論語集註 引用姓氏略解 |
학이란 말은 본받는다는 뜻이다. 사람의 본성은 모두 선하나 이것을 깨닫는 데에는 선후가 있으니, 뒤에 깨닫는 자는 반드시 먼저 깨달은 자가 하는 바를 본받아야 선을 밝게 알아서 그 본초를 회수할 수 있는 것이다. 습은 새가 자주 나는 것이다. 배우기를 그치지 않음을 마치 새 새끼가 자주 나는 것과 같이 한다는 것이다. 열은 기뻐한다는 뜻이다. 이미 배우고 또 때때로 그것을 익히면 배운 것이 익숙해져서 중심에 희열을 느껴 그 진전이 저절로 그만둘 수 없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