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추천의 글 지금 왜 ‘문화다양성’인가 ● 한경구
서론 ‘혐오’와 ‘차별’이란 무엇인가 홍성수 1 학교는 평등과 행복을 추구하는가: 학교에서 일어나는 차별과 혐오 ● 한희정 2 함께 거주할 수는 없는가: 공공 임대 주택을 둘러싼 혐오와 차별 ● 박미선 3 정체성과 혐오의 정치학: 민족의 위계적 구조와 조선족 ● 한건수 4 성소수자는 당신의 일상 속에 있습니다 ● 이혜민 5 성차별적 혐오 표현이란 어떤 것인가: 온라인 공간과 여성 혐오 ● 김수아 6 혐오 · 차별과 문화다양성 ● 홍성수 |
金秀娥
김수아의 다른 상품
박미선의 다른 상품
이혜민의 다른 상품
한희정의 다른 상품
한건수의 다른 상품
홍성수의 다른 상품
현재 한국 사회의 혐오와 차별을 진단하고 문화다양성을 모색하는 책 [차별과 혐오를 넘어서: 왜 문화다양성인가]가 출간되었다.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집필한 이 책은 최근 한국 사회에서 쟁점이 되어 온 다양한 사례를 바탕으로 혐오?차별을 진단하고 문화다양성을 통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장은 학교 현장에서 벌어지는 성차별적 언어, 외모 차별, 이주민 차별, 능력 차별 등을 통해 평등과 진정한 행복을 추구해야 할 학교에서 일어나는 차별과 혐오를 다룬다.
2장은 공공 임대 주택 건설을 반대하는 사례와 비하 호칭을 토대로 공공 임대 주책을 둘러싼 혐오와 차별을 살펴본다. 3장은 조선족 이주민 사회의 정체성을 비롯해 재한 조선족의 재현과 혐오 등을 살펴본다. 4장은 최근 한국 사회에서 일어난 성소수자 관련 사건들을 통해 성소수자에 가해지는 낙인과 혐오를 들여다본다. 5장은 온라인 공간에서 일어나는 성차별적 혐오 표현에 대해서 짚어본다. 6장은 혐오와 문화다양성을 연결시키는 이론적, 정책적 의의를 살펴본다. 이는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이를 통해 이 밖에도 우리 사회에 만연해 있는 장애, 지역, 학력, 연령 등의 혐오와 차별 문제를 통찰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사회에서 혐오와 차별이 이슈화된 것은 얼마되지 않았지만, 그 확산 속도는 무서울 정도로 빠르다. 혐오와 차별은 성별, 장애, 종교, 피부색, 성적 지향 등을 이유로 비난하거나 불이익을 주거나 폭력을 행사하는 문제다. 이 책은 혐오와 차별에 대한 기존의 논의에 문화다양성 관점과 실천을 연계하는 새로운 논의의 장이 될 것이다. |
평화와 인권에 대한 이해가 변화하고 문화 산업과 창의성과 관용이 중시되면서 비로소 다양성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는 인식이 확산되었습니다. 문화다양성은 울창한 숲과 같아서 다양한 우리 사회의 구성원이 서로의 사회적, 문화적 배경과 지향을 존중하고 함께 자유롭게 공존할 때 충분히 꽃피울 수 있습니다. 문화다양성 보호와 증진을 위한 생각할 거리와 통찰력 있는 내용들이 많이 담겨 있는 이 책은 우리 사회가 혐오와 차별이라는 협곡을 건너 문화다양성으로 나아가는 길로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할 것입니다. - 한경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무총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