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1부 나는 누구일까?
1. 내 몸의 주인은 누구일까? 2. 언제부터 내가 나일까? 3. 어디까지 바뀌어도 내가 나일까? 4. 나는 몇 살일까? 5. 나는 어디에서 왔을까? 2부 우리는 누구일까? 6. 너와 내가 보는 것이 서로 같을까? 7. 순수하다는 착각 8. 정상이라는 환상 9. 우리의 유전자는 이기적일까? 10. 내가 할 수 있는 일, 네가 할 수 있는 일 마치며 참고 문헌 및 이미지 출처 |
이고은의 다른 상품
철학적 질문을 생명과학의 시선으로 답하는
창의융합형 과학책 『세포부터 나일까? 언제부터 나일까?』는 총 10장으로 구성된 흥미로운 주제를 통해 인간의 가치와 생명의 소중함에 대해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언제부터 내가 나일까?”에서는 태아가 생명으로 인정받는 시기에 대해 논의한다. 정자와 난자부터일까? 그렇게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수정란과 세포 분열부터? 심장이 뛰는 순간부터? 뇌가 깨어나는 순간부터? 생명의 시작에 대한 논의는 임신 중단권 등과 연동되는 문제이기도 하다. 이처럼 철학적인 고민이 필요한 질문들에는 한 가지 정답만 있지 않다. 이 책은 철학적 질문에 청소년들이 과학적인 근거를 갖추고, 스스로 답해 볼 수 있도록 돕는다. 사회적으로 심도 있는 논의를 해 나가는 데 있어 과학이 중요한 기본이 된다는 것을 알게 한다. 내 엄지손가락은 티라노사우루스였다? 과학이 말해 주는 생태계의 순환과 그 속의 인간 또한 “나는 어디에서 왔을까?”에서는 막연하고 지루한 철학적인 답변이 아닌 인간의 몸을 구성하는 탄소와 그 순환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한다. 인간 존재를 우월적 지위가 아니라 생태계를 구성하는 일원으로 보게 하는, 사고의 전환이 두드러지는 대목이다. 티라노사우루스가 죽어서 땅에 묻히면 미생물들이 사체를 분해합니다. 이 미생물이 호흡을 하면 티라노사우루스의 몸을 구성하던 탄소를 이산화탄소의 형태로 다시 대기 중으로 돌려보내겠죠. 그렇게 대기를 떠돌던 바로 그 탄소를 올해 여름에 사과나무가 광합성을 통해 사과 열매에 저장하고, 여러분이 그 사과를 먹을 수도 있을 거예요. 그리고 사과 속의 그 탄소는 마침 종이에 베인 엄지손가락의 상처를 회복하기 위해 내 몸의 구성 성분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6700만 년 전 지구에 살던 티라노사우루스와 2020년대의 우리는 오랜 세월을 뛰어넘어 탄소라는 성분을 공유하게 됩니다. (본문 63면) 과학이 차이와 다름에 대해 설명하는 방식 2부에는 여러 생명들 사이의 차이와 다름에 대해서 돌아보게 하는 사례들이 듬뿍 담겨 있다. 어떤 한국인의 유전자 속에는 한국인 유전자 52퍼센트, 일본인 30퍼센트, 중국인 16퍼센트, 몽골인 2퍼센트가 담겨 있는 식이다. 단일 민족이라는 순수성이 착각이었음을, 공동체의 인구 구성이 아니라 한 사람의 유전자 성분을 통해서 말하는 점이 흥미롭다. 또한 색각 이상, 홍채 이색증, 알비노 등 이 세상에는 “정상성”에서 벗어난 경우들이 자연스럽게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하며, 인상적인 사례들 속에서 차이를 차별로 대하지 말아야 한다는 교훈을 분명하게 제시한다. 앞으로 21세기는 공생과 상호 협력이 더욱 중요시되고 융합형 사고와 유연한 전략이 필요해지는 때다. 『세포부터 나일까? 언제부터 나일까?』는 ‘나’에서 출발하여 흥미를 돋우고 ‘우리’와 타자로 나아가게 하는 책이면서, 세상 속의 자아를 탐색하되 최신의 근거를 갖추고 제대로 판단하게 해 주는 가이드가 될 것이다. |
과학은 철학적인 질문들에 가장 합리적인 답을 내놓는 학문이다. 이 책 역시 ‘나는 누구일까?’ ‘내 몸이 복제되면 어디까지가 나일까?’ 등, 아리송한 질문들에 명쾌한 과학적인 답을 제시하며 독자들에게 진정한 과학의 묘미를 선사한다. 또한 저자가 풀어 내는 내용들은 어렵지 않고 신선하다. 너무 재미있어서 책장의 끝을 향해 가는 게 아쉬운 책! 독자들도 나와 같은 경험을 하길 바란다. - 김정훈 (과학 크리에이터 ‘과학드림’)
|
이 책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철학적 질문에 대해 결국 인생의 목표를 설정하고 결정짓는 것은 자아라는 것, ‘우리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공생과 협력, 상호 의존하는 존재라고 설명한다. 생명과학을 통해 철학적 문제에 대해 해답을 제시하는 책이다. 매해 대학수학능력시험 과학 분야 지문의 난이도가 높아지고 있는 요즘, 이 책을 통해 비문학을 어려워하는 학생들이 과학 개념과 원리를 쉽고 재미있게 접하고 과학과 자신의 삶이 연관되어 있음을 이해하는 융합적 사고 능력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 송경화 (장기고등학교 국어교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