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한 권으로 읽는 튜레틴 신학
양장
가격
25,000
5 23,750
YES포인트?
500원 (2%)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추천사
서문

『변증신학 강요』의 상황과 배경: “독자에게 부치는 서문”을 중심으로 · 권경철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프란시스 튜레틴의 성경관 · 이은선
Ⅰ. 서론
Ⅱ. 프란시스 튜레틴의 생애와 소뮈르학파와의 논쟁
Ⅲ. 튜레틴의 성경관의 형성의 시대적 배경과 스콜라주의 방법론의 사용
Ⅳ. 말씀에 의한 계시와 성경의 필요성
Ⅴ. 성경의 권위와 인식
Ⅵ. 성서의 무오류의 문제
Ⅶ. 성서의 온전성
Ⅷ. 적응의 교리
Ⅸ. 성경의 완전성과 명료성
Ⅹ. 결론

프란시스 튜레틴의 예정론 연구 · 이은선
Ⅰ. 서론
Ⅱ. 하나님의 속성론을 통한 소시니안주의자들의 작정교리 비판
Ⅲ. 선택의 원인과 선택의 확실성 - ‘오직 은혜’의 원리
Ⅳ. 실천적 삼단논법과 구원의 확신
Ⅴ. 예정론의 교육과 설교 - 오직 성경으로
Ⅵ. 결론

프란시스 튜레틴의 섭리론: 죄의 원인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 유정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프란시스 튜레틴의 인간의 자유의지: 공시적 우연성과 양립 가능한 결정론 사이의 섬세한 이해 · 김현관
Ⅰ. 서론
Ⅱ. 프란시스 튜레틴의 인간의 자유의지
Ⅲ. 최근 논쟁에서의 튜레틴 해석이 보여주는 문제점
Ⅳ. 결론

프란시스 튜레틴의 인간론 · 이신열
Ⅰ. 서론
Ⅱ. 인간의 기원: 순수한 본성의 상태와 하나님의 형상을 중심으로
Ⅲ. 죄의 정의, 원인, 그리고 결과
Ⅳ. 자유의지와 죄
Ⅴ. 자연언약과 자유의지
Ⅵ. 결론

언약의 실체 그리스도: 프란시스 튜레틴의 은혜 언약의 일체성 이해 · 문병호
Ⅰ. 은혜 언약의 실체에 있어서 하나임
Ⅱ. “그리스도”를 믿음 - 언약의 질료
Ⅲ. 그리스도를 “믿음” - 언약의 도구
Ⅳ. “그리스도를 믿음” - 언약의 성취와 효과
Ⅴ. 결론: 칼빈 - 개혁주의 언약관의 수립

그리스도의 구약 언약 보증에 대한: 프란시스 튜레틴의 견해 · 권경철
Ⅰ. 서론
Ⅱ. 그리스도의 구약 언약 보증에 관한 신학논쟁의 역사
Ⅲ. 그리스도의 구약 언약 보증에 대한 튜레틴과 레이데커의 입장 비교분석
Ⅳ. 논제 제시, 첫 번째 분과
Ⅴ. 증명, 두 번째 분과
Ⅵ. 해법을 위한 자료들, 세 번째 분과
Ⅶ. 결론: 기존 연구들 평가 및 수정

프란시스 튜레틴의 개혁주의 정통 기독론: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론’을 중심으로 · 김은수
Ⅰ. 프란시스 튜레틴의 생애 및 신학적 특징과 중요한 공헌들
Ⅱ. 약속의 메시아: 나사렛 예수(XIII.Q.1-2)
Ⅲ. 성자 하나님의 성육신(XIII.Q.3-5) Ⅳ. ‘위격적 연합’과 그에 따른 두 본성의 관계와 영향들(XIII.Q.6-8)
Ⅴ. ‘속성의 교류’에 관한 이해와 논쟁(XIII.Q.8)
Ⅵ. 결론

프란시스 튜레틴의 성령론 · 이신열
Ⅰ. 서론
Ⅱ. 성령의 존재
Ⅲ. 성령의 사역
Ⅳ. 성령과 그리스도
Ⅴ. 성령과 은사
Ⅵ. 결론

저자 소개7

네덜란드 아플도른신학대학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고신대학교 신학과 교의학 교수이며, 신학대학장 및 개혁주의학술원장으로 섬기고 있다. 저서로는 『칼빈신학의 풍경』, 『종교개혁과 과학』,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본 기독교 윤리학』이 있으며, 역서로는 『과학의 영혼』(저자 : 낸시 피어스 & 찰스 택스턴), 『성찬의 신비』(저자 : 키이스 매티슨), 『구약 윤리학.구약의 하나님은 윤리적인가?』(저자 : 폴 코판) 등이 있다. 기독교와 과학의 관계, 오순절 및 은사주의 신학에 대한 개혁주의적 비판, 칼빈신학의 현대적 함의 등이 주요 연구 분야이다.

이신열의 다른 상품

번역자 권경철은 총신대학교 신학과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하였고, 미국 필라델피아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칼뱅 100년 이후의 제네바 신학을 책임졌던 프랑수아 투레티니가 본 그리스도의 구약 언약 보증에 대한 논문으로 역사신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해외에서 출판된 이 논문 외에도 『뿌리내리는 정통주의 신학』, 『프랑수아 투레티니 평전』,『기독교의 역사』 등과 같은 다수의 저서와 역서 그리고 논문을 출간하였고,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한국성서대학교,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아신대학교 강사로 후학들을 가르치다가, 현재는 안양에 있는 열린교회 부목사로 섬기고 있다.

권경철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와 고려신학대학원을 졸업하였고, 미국 칼빈신학대학원을 거쳐 트리니티 복음주의신학대학원에서 조직신학을 전공하였으며, “시간, 영원, 그리고 삼위일체”(Time, Eternity, and the Trinity: A Trinitarian Analogical Understanding of Time and Eternity)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Ph.D.)를 취득하였다. 미국에서 한인교회를 섬기며 연구하다 귀국하여 그동안 여러 신학교에서 강의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지금은 백석대학교 연구교수와 “한국개혁신학연구소”의 연구소장직을 수행하면서 조직신학을 연구하며 가르치고 있다. 저
서울대학교와 고려신학대학원을 졸업하였고, 미국 칼빈신학대학원을 거쳐 트리니티 복음주의신학대학원에서 조직신학을 전공하였으며, “시간, 영원, 그리고 삼위일체”(Time, Eternity, and the Trinity: A Trinitarian Analogical Understanding of Time and Eternity)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Ph.D.)를 취득하였다. 미국에서 한인교회를 섬기며 연구하다 귀국하여 그동안 여러 신학교에서 강의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지금은 백석대학교 연구교수와 “한국개혁신학연구소”의 연구소장직을 수행하면서 조직신학을 연구하며 가르치고 있다. 저자가 가진 주된 학문적 관심은 사도적 정통개혁주의 신학(Apostolic Orthodox Reformed Theology)을 이 시대적 상황 속에서 새롭게 정립함과 동시에 신학과 자연과학 및 인문학과의 간학문적(interdisciplinary)인 대화를 통하여 신학적 통섭(Theological Consilience)의 자리를 찾는 것이다. 저자는 한국복음주의신학회, 한국개혁신학회, 한국장로회신학회, 한국칼빈학회 등에서 활동하며 계속하여 연구논문들을 발표해 왔고, 현재 한국복음주의신학회 및 한국장로교신학회의 편집위원/편집위원장으로 섬기고 있다. 『Time, Eternity, and the Trinity』 (Pickwick Publications, 2010), 『개혁주의 신앙의 기초』(개정판)(SFC, 2011), 『칼빈과 개혁신앙』 (SFC, 2011) 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김은수의 다른 상품

미국?칼빈신학교에서?조지?M.?마즈던?교수의?지도?하에?조나단?에드워즈의 자유 의지에?관한?연구로?박사?학위를?취득했다.?현재?서울?한영대학교와?동대학원의?역사신학?교수로?재직?중이다.?
고려대학교 법대 법학과(B.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 Div.)을 졸업했고, 미국 홀랜드의 웨스턴신학교에서 신학석사 학위(Th. M.)를 수여받았고, 영국 스코틀랜드 에든버러대학교에서 ‘칼빈의 기독론적 율법 이해’에 관한 논문을 작성하여 박사학위(Ph. D.)를 취득하였다. 유학 중에 미국 칼빈신학교와 스위스 제네바대학교 종교개혁센터에서 공부하고 연구하였다. 현재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조직신학 교수로서 기독론, 신학서론, 칼빈신학, 라틴어를 가르치고 있으며, 십자가지기교회에서 섬기고 있다. 주된 학자적 관심은 터툴리안, 아타나시우스, 어거스틴, 알렉산드리아의 키릴
고려대학교 법대 법학과(B.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 Div.)을 졸업했고, 미국 홀랜드의 웨스턴신학교에서 신학석사 학위(Th. M.)를 수여받았고, 영국 스코틀랜드 에든버러대학교에서 ‘칼빈의 기독론적 율법 이해’에 관한 논문을 작성하여 박사학위(Ph. D.)를 취득하였다. 유학 중에 미국 칼빈신학교와 스위스 제네바대학교 종교개혁센터에서 공부하고 연구하였다.
현재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조직신학 교수로서 기독론, 신학서론, 칼빈신학, 라틴어를 가르치고 있으며, 십자가지기교회에서 섬기고 있다.
주된 학자적 관심은 터툴리안, 아타나시우스, 어거스틴, 알렉산드리아의 키릴을 비롯한 초대교부들로부터 칼빈을 거쳐 뚤레틴과 오웬 등으로 대변되는 정통 개혁신학자들과 청교도 신학자들 그리고 바빙크와 핫지와 워필드를 위시한 근현대의 개혁신학자들에 이르는 정통적 입장을 계승하고 심화시킴으로써 참 신학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수립하는데 있다. 이와 더불어 슐라이어마허, 바르트, 라너를 필두로 하는 자유주의, 신정통주의, 로마 가톨릭 신학의 오류를 지적함으로 정통신학을 변증하는 일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저서로는 영국에서 출판된 Christ the Mediator of the Law: Calvin’s Christ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Law as the Rule of Living and Life-Giving (Milton Keynes, UK: Paternoster, 2006), 『기독론』 (서울: 생명의말씀사, 2016), 『30주제로 풀어 쓴 기독교 강요: 성경교리정해』 (서울: 생명의말씀사, 2011, 수정증보판, 2013), 『교회의 ‘하나 됨’과 교리의 ‘하나임’: WCC의 ‘비(非)성경적,’ ‘반(反)교리적’ 에큐메니즘 비판, 정통 개혁주의 조직신학적 관점에서』 (서울: 지평서원, 2012), 『칼빈신학: 근본 성경교리 해석』 (서울: 지평서원, 2015), 『개혁신학과 한국 장로교 보수신학』 (서울: CLC, 2019), 『기독교의 진리』 (서울: 생명의말씀사, 2016)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존 칼빈, 『라틴어직역 기독교강요: 경건에 대한 순수한 가르침』 (서울: 생명의말씀사, 2009)이 있다.

문병호의 다른 상품

미국 칼빈신학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교회사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저(역)서로는 『John Edwards(1637-1716) on Human Free Choice and Divine Necessity』, 『Glory to the Three Eternal』, 『청교도 인물사』 등이 있다.

유정모의 다른 상품

안양대학교 신학대학 교수. 충남 부여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와 교육대학원을 마치고 총신대에서 목회학 석사(M. Div.), 신학 석사(Th. M.), 그리고 철학 박사(Ph. D.) 학위를 받았다. 1991년부터 안양대학교 신학대학 기독교문화학과에서 교회사를 가르치고 있으며, 교목실장직과 신대원장을 역임했다. 복음주의역사신학회 회장으로 일했으며 현재 한국개혁신학회 총무를 맡고 있다. 2001년에는 예일대학교에 교환 교수로 있었다. 저서로는 『칼뱅의 신학적 정치 윤리』, 『신학을 배우려는 젊은이들에게』, 『종교개혁자들 이야기』, 『청교도 입문』 등이 있고,
안양대학교 신학대학 교수. 충남 부여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와 교육대학원을 마치고 총신대에서 목회학 석사(M. Div.), 신학 석사(Th. M.), 그리고 철학 박사(Ph. D.) 학위를 받았다. 1991년부터 안양대학교 신학대학 기독교문화학과에서 교회사를 가르치고 있으며, 교목실장직과 신대원장을 역임했다. 복음주의역사신학회 회장으로 일했으며 현재 한국개혁신학회 총무를 맡고 있다. 2001년에는 예일대학교에 교환 교수로 있었다.

저서로는 『칼뱅의 신학적 정치 윤리』, 『신학을 배우려는 젊은이들에게』, 『종교개혁자들 이야기』, 『청교도 입문』 등이 있고, 역서로는 『16세기 맥락에서 본 진정한 칼뱅 신학』, 『종교개혁 후 개혁주의 교의학』, 『영국의 복음주의』, 『주제별 교회사 상·하』, 『개혁자들의 신학』 외 다수가 있다.

이은선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3년 05월 15일
판형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344쪽 | 152*225*30mm
ISBN13
9791198053527

추천평

이 책은 프란시스 튜레틴 신학연구와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의 지식과 적실성에 대한 놀라운 공헌이다.? - 헤르만 셀더르하위스 (네덜란드 아플도른신학대학 교회사)
호기심의 영역에 머물러 있던 프란시스 튜레틴이라는 신학자에 한 걸음 성큼 다가가게 해 준 이 책에 감사한다. - 김재윤 (고려신학대학원 교의학)
튜레틴의 『변증신학 강요』는 존 칼빈의 『기독교 강요』 이후에 작성된 개혁파 신학의 중요한 지침서라고 할 수 있다. - 유창형 (칼빈대학교 역사신학)
다양한 신학적 도전에 직면한 한국 교회의 신학적 성숙에 기여하게 되리라고 믿어진다. - 유태화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조직신학)
잘 알려지지 않았던 튜레틴의 신학적 배경에서부터 그의 깊은 신학 자체로 들어가 사려깊게 분석하여 17세기 정통 개혁신학의 내용이 어떠한지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 이남규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한국교회는 오랫동안 17세기 개신교 정통주의를 부정적으로 인식해 왔는데, 이 책은 이런 한국교회의 부박을 일거에 해소하는 진지한 연구서라고 생각한다.? - 이상규 (백석대학교 역사신학)
칼빈에서 구프린스턴 아니면 신칼빈주의로 건너뛰기 쉬운 국내 상황에서 그 사이에 풍성한 신학을 제공했던 개혁파 정통주의자들의 신학 사상이 더욱 더 연구되고 활용되기를 바란다. - 이상웅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조직신학)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23,750
1 23,750